$\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evaluate dietary quality and eating behavior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6, 2020년, pp.629 - 647  

이정숙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지윤 (상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세혁 (한남대학교 비즈니스통계학과) ,  정해랑 ((주)영양과 미래) ,  곽동경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명희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영선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혜영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애주기 중 학령기 아동을 위한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NQ-C)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평가항목 선정을 위해 학령기 아동 대상의 영양섭취 및 식생활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식생활지침 및 국가 영양정책,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 심층면접을 통해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 41문항 (식품섭취 영역: 20문항, 식행동·식습관 영역: 21문항)을 개발하였다. 학령기 아동 260명을 대상으로 체크리스트 문항과 1일 식사섭취조사를 포함한 파일럿 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평가항목별 점수와 식사섭취 조사 결과인 영양섭취 수준 간의 상관성이 높은 24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시도별, 학교 유형별로 층화추출된 초등학생 1,144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20개 항목, 5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평가항목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추정된 경로 계수를 활용하여 5개 요인별 가중치와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학령기 아동용 영양지수를 위한 5개 요인과 가중치는 각각 균형 0.25, 다양 0.15, 절제 0.25, 환경 0.15, 실천 0.20 이었다. '균형' 요인에는 과일, 흰 우유, 콩이나 콩제품, 생선류, 고기류 섭취 빈도 5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고, '다양' 요인에는 끼니별 채소 반찬 섭취, 반찬 골고루 먹기, 편식의 3개 평가항목이, '절제' 요인에는 달거나 기름진 빵, 가공 음료, 가공 육류, 라면, 카페인 음료, 길거리 음식 (학교 앞 음식) 섭취 빈도의 6개 평가항목이, '실천' 요인에는 영양성분표시 확인, 식사 전 손 씻는 빈도, 숨이 찰 정도의 운동 빈도 3개의 평가항목이, '환경' 요인에는 아침식사 빈도,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빈도, 정해진 장소에서 식사하기의 3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수 (NQ-C) 평균 점수는 65.7점이었고, 요인별 점수는 균형 66.4점, 다양 67.0점, 절제 55.4점, 환경 75.3점, 절제 69.2점이었다. 영양지수와 각 요인별 등급은 전국단위 조사 결과의 백분위수 분포를 기준으로 75 to 100백분위의 경우 '상' 등급, 50 to < 75 백분위의 경우 '중상' 등급, 25 to < 50백분위의 경우 '중하' 등급, 0 to < 25 백분위의 경우 '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NQ-C) 점수가 72.4-100점의 경우 '상' 등급, 65.8-72.3점의 경우 '중상' 등급, 59.2-65.7점의 경우 '중하' 등급, 65.7점 미만의 경우 '하'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NQ-C)는 20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통해 영양지수 점수와 균형, 다양, 절제, 실천, 환경 요인의 점수 산출이 가능하고, 상대적인 영양지수 등급 부여를 통해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가 양호한 지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는 초등학생들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 평가,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뿐만 아니라 정부의 영양교육사업, 영양정책의 효과 평가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 nutrition quotient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NQ-C) for evaluating the overall dietary quality and eating behaviors. Methods: The NQ-C was developed by implementing 3 stage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Candidate food behavior...

주제어

참고문헌 (26)

  1. Oh SM, Yu YL, Choi HI, Kim KY.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increasing vegetables, fruits, and dairy foods consumption for pre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517-529. 

  2. Lee AR, Yu YL, Kim HJ, Kim KA, Kim KY. Status of dietary life 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food preference and dietary behavior of preschoolers in Kyu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3): 274-283. 

  3. De Cosmi V, Scaglioni S, Agostoni C. Early taste experiences and later food choices. Nutrients 2017; 9(2): 107. 

  4. Kang MH, Lee JS, Kim HY, Kwon S, Choi YS, Chung HR, et al. Selecting items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NQ) for children. Korean J Nutr 2012; 45(4): 372-389. 

  5. Kim HY, Kwon S, Lee JS, Choi YS, Chung HR, Kwak TK, et al. Development of a nutrition quotient (NQ) equation modeling for children and the evaluation of its construct validity. Korean J Nutr 2012; 45(4): 390-399. 

  6. Feskanich D, Rockett HR, Colditz GA. Modifying the healthy eating index to assess diet qua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Diet Assoc 2004; 104(9): 1375-1383. 

  7. Hurley KM, Oberlander SE, Merry BC, Wrobleski MM, Klassen AC, Black MM. The healthy eating index and youth healthy eating index are unique, nonredundant measures of diet quality among low-income,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J Nutr 2009; 139(2): 359-364. 

  8. Branscum P, Sharma M, Kaye G, Succop P. An evalu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food behavior checklist modified for children. J Nutr Educ Behav 2010; 42(5): 349-352. 

  9. Serra-Majem L, Ribas L, Ngo J, Ortega RM, Garcia A, Perez-Rodrigo C, et al. Food, youth and the Mediterranean diet in Spain. Development of KIDMED, Mediterranean diet quality index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ublic Health Nutr 2004; 7(7): 931-935. 

  10. Yoo JS, Choi YS. Evaluation of items for the food behavior checklist and nutrition quotient score on children in rural areas of Gyeongbuk. J Nutr Health 2013; 46(5): 427-429. 

  11. Boo MN, Cho SK, Park K. Evaluation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using nutrition quotient. J Nutr Health 2015; 48(4): 335-345. 

  12. Bae JM, Kang MH. Age difference in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nutrition quotient scores of preschoolers and school children. J Nutr Health 2016; 49(6): 447-458. 

  13. Jung YH, Kim JH. Evaluation of nutrition quotient and related factors i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1): 1-11. 

  14.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rimitive Data Download [Internet]. Cheongju: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c2020 [cited 2020 Mar 14].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5.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children.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11. 

  16. Joreskog KG, Sorbom D. LISREL 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SIMPLIS command language. Chicago (IL):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1993. 

  17. Marshall S, Burrows T, Collins CE. Systematic review of diet quality indice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health-related outcom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Hum Nutr Diet 2014; 27(6): 577-598. 

  18. Choi Y, You Y, Go KA, Tserendejid Z, You HJ, Lee JE, et al.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the level of adherence to the Korean dietary action guides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Nutr Res Pract 2013; 7(3): 207-215. 

  19. Altavilla C, Caballero-Perez P. An update of the KIDMED questionnaire, a Mediterranean diet quality index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ublic Health Nutr 2019; 22(14): 2543-2547. 

  20. Cheng G, Duan R, Kranz S, Libuda L, Zhang L. Development of a dietary index to assess overall diet quality for Chinese school-aged children: the Chinese children dietary index. J Acad Nutr Diet 2016; 116(4): 608-617. 

  21. Toffano RB, Hillesheim E, Mathias MG, Coelho-Landell CA, Salomao RG, Almada MO, et al. Validation of the Brazilian healthy eating index-revised using biomark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utrients 2018; 10(2): 154. 

  22. Ronca DB, Blume CA, Cureau FV, Camey SA, Leotti VB, Drehmer M, et al. Diet quality index for Brazilian adolescents: the ERICA study. Eur J Nutr 2020; 59(2): 539-556. 

  23. Lee SJ, Kim Y. Evaluation of the diet and nutritional stat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Daegu area by using nutrition quotient for children. J Nutr Health 2013; 46(5): 440-446. 

  24. Kim WK, Kang MH, Kim SH. Survey on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using the nutrient quotient (NQ) of children for dietary educ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9; 48(4): 456-468. 

  25. Lee JS, Kang MH, Kwak TK, Chung HR, Kwon S, Kim HY, et al.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preschoolers (NQ-P):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J Nutr Health 2016; 49(5): 378-394. 

  26. Kim HY, Lee JS, Hwang JY, Kwon S, Chung HR, Kwak TK, et al. Development of NQ-A,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 to assess dietary quality and food behavior. J Nutr Health 2017; 50(2): 142-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