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축산물 HACCP의 현황
HACCP Trends of livestock and its products 원문보기

축산식품과학과 산업, v.5 no.2, 2016년, pp.70 - 76  

이주연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HACCP에 대한 용어가 식품안전관리기준으로 개정되고, 식품안전관리가 식품의 약품안전처로 통합되면서 관련법 및 고시의 개정 등 축산물 HACCP과 관련하여 많은 변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HACCP이 축산식품의 안전관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 배경과 HACCP 관련 변화사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중독으로 인한 피해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식중독으로 인한 피해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의 안정과 발전을 위협하는 존재이며, 사회적 부대비용을 발생시켜 국가경쟁력 저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WHO의 2015년도 보고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약 6억 건의 식중독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한 총 사망자는 42만명에 이르렀으며, 경제적 손실은 35조가 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WHO, 2015).
2010년 기준으로 식중독으로 인한 사망자는 총 몇 명인가? 식중독으로 인한 피해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의 안정과 발전을 위협하는 존재이며, 사회적 부대비용을 발생시켜 국가경쟁력 저하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WHO의 2015년도 보고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약 6억 건의 식중독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한 총 사망자는 42만명에 이르렀으며, 경제적 손실은 35조가 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WHO, 2015). 미국에서만 매년 6명중 1명이 식중독에 걸려 총 4천 8백만 명이 아프고, 이 중 128,000명이 입원하고 3,000명이 사망하며, 연간 15조 이상의 사회적 부대비용이 지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DC, 2014; Hoffmann et al.
1993년 Codex에서 HACCP를 권고하는 지침을 어떠한 근거로 제시하였는가? 1995년 1월 세계무역기구(World Trade Organization, WTO)가 창립되면서 SPS 협정(Agreement on Sanitary-and Phytosanitary Measures, 위생 및 식물위생조치협정)이 발효됨에 따라 회원국의 경우 인간, 동물 또는 식품의 생명이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국제적 조화, 동등성, 위험평가와 위생 및 식품위생 보호의 적정수준 결정, 투명성 등의 원칙에 따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TBT 협정 (Agreement on Technical Barriers to Trade, 무역기술장벽에 대한 협정)에 따라 무역에 대한 기술장벽을 낮추고 자유무역을 활성화하기 위해 각국은 식품의 기준·규격을 국제표준에 맞추도록 하고 있다(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 표준원, 2016). 즉, 식품의 수입 시 회원국에서는 국제기준, 지침, 또는 권고를 제일 우선으로 적용하고, 국제기준보다 높은 보호수준을 요구하고자 할 시 과학적 정당성이나 위험평가에 기초하여 판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1993년 Codex에서 HACCP을 권고하는 지침을 제시함에 따라, HACCP은 국제적인 식품의 위생안전관리 기준으로 인정받게 되었고, 각 국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HACCP을 적용하기 위한 법적 근거 마련과 확대방안을 펼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Acheson DW. (1999). Foodborne infections. Curr Opinion Gastroenterol., 15:, 538-45 

  2. CDC(Centers for Disease COntorl and Prevention). (2014). Estimates of Foodborne Illness in the United States. http://www.cdc.gov/foodborneburden/estimates-overview.html. 

  3. WHO. (2015). WHO Estimates of The Global Burden of Foodborne Diseases (2015) 

  4. Sandra Hoffmann, Bryan Maculloch, and Michael Batz. (2015). Economic Burden of Major Foodborne Illnesses Acquired in the United Sates. Economic Information Bulletin Number 140. USDA 

  5. 2015년 무역기술장벽(TBT) 보고서. (2016).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6. 신호성, 이수형, 김종수, 김진숙, 한규홍. (2010). 식중독의 사회경제적 비용추정 : 삶의 질 개념을 적용한 질병비용 추정법을 이용하여.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3(4): 352-361 

  7.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2015). 안전관리통합인증 업체가 되면 어떤 점이 좋을까? http://blog.naver.com/hellohaccp/22057028205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