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술폰과 폴리아미드 경계층에 형성된 폴리실록산을 이용한 정삼투 복합 박막의 유량 향상
Novel Thin Film Composite Forward Osmosis Membranes of Highly Enhanced Water Flux with Interlayer Polysiloxane Between Polysulfone and Polyamide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6 no.5, 2016년, pp.391 - 400  

정보람 (동의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노원 (동의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폴리술폰층 표면에 계면 중합 반응을 시켜 정삼투 복합 박막을 얻는 방법에 있어서, 지지층인 폴리술폰층과 활성층인 폴리아미드층 사이에 테트라에톡시실란 단량체의 졸-젤 반응을 통하여 고분자를 합성함으로써 친수성 경계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제조법을 제시하였다. 폴리술폰층은 막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아주 얇은 부직포를 사용하였다. 테트라에톡시실란의 졸-젤 반응으로 형성된 고분자 경계층이 폴리술폰층과 폴리아미드층 사이에 형성된 정삼투 분리막은 친수화도, 유량 향상 등 정삼투 분리막 투과 특성에 있어 향상된 결과를 보여 주었다. 폴리아미드 계면 중합과 테트라에톡시실란 졸-젤 중합의 순서를 변화시킴으로써 표면 구조 특성 및 정삼투 투과 특성이 크게 달라짐을 볼 수 있었다. 정삼투막의 투과 특성은 실험실 용량의 정삼투 평가 장치를 통하여, 정삼투 분리막 내 폴리실록산의 분포와 구조는 FE-SEM과 EDAX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PS_PA_TEOS막의 경우 유량에 있어 79.2 LMH로 현격한 증가가 있었으나 염의 역확산 속도 역시 7.10 GMH로 증가하였다. 반면 PS_TEOS_PA막의 경우 PS_PA막에 비해 염의 역확산 속도는 1.60 GMH로 유지되면서 유량이 54.1 LMH로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work, novel thin film composite (TFC) forward osmosis (FO) membranes are developed via interfacial polymerization on the polysulfone (PS) substrate, using TEOS as the a sol-gel reagent to form hydrophilic interlayer polymer between PS and polyamide (PA). The PS substrate was cast on a ver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소재 개발의 관점에서 FO 공정에 적합한 분리막의 개발을 하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해결 방법은 기존 RO 분리막 구조를 벗어난 새로운 시도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그 해결 방법의 하나로 복합 박막의 지지층 구조를 기존 RO의 조밀한 sponge-like structure에서 비대칭성이 향상된 미세다공성(microporous) 구조를 가지며 저항이 유발되는 두께를 줄이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기존 RO막은 삼투압보다 높은 압력의 구동력이 외부에서 전달되어야 하므로 기계적 강도가 무시할 수 없는 물리적 특성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비대칭 막의 제조를 위하여부직포의 두께를 줄인 고분자 재료의 FO 복합막 제조방법에서 TEOS를 이용한 sol-gel 반응을 PS와 PA 경계면에 정착시킴으로써 유-무기 복합막을 형성하여 유량과 제거 효율이 향상된 막을 제막하고자 하였다. FO막을 통과한 투과수가 분리막 내부로부터 배출이 일어나는 것을 원활하게 하고 유도용액의 유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막저항을 줄이는 방법으로 폴리에스터 부직포의 두께를 33µm로 줄여 FO 복합 박막(PS_PA)을 제조함으로써 부직포에 의한 액상의 이동 저항을 최소화시키고자 하였다.
  • 복합막은 압력에 대한 기계적 강도를 가져야 하므로 sponge-like 구조를 가져야 하고, RSF를 높이기 위하여 표면에 활성층이 존재하여야 하며, 분리막의 수투과 저항을 줄여주기 위하여 분리막 저항 감소를 줄이는 박막 구조를 가져야한다. 이러한 인자들을 고려하면서도 내부 농도 분극을 최소화하는 PS_PA 경계층에 polysiloxane 친수층을 정착시키는 개질 방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 박막의 지지층에서 유체 저항이 적은 구조를 가진 기술은? 최근 미국 Yale대 연구 그룹에서 시도하고 있는 narrow finger-like structure가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13-15]. Narrow finger-like structure가 좋은 대안이기는 하지만 복합 박막이 아닌 단일막 구조를 가지고 있어 분리막의 유체 저항 및 농도 분극에는 극복할 수없는 기술적 한계가 여전히 남아있다고 할 수 있다.
FO 공정이란? 정삼투(forward osmosis, FO) 막분리 공정의 적용은 낮은 구동 압력과 높은 염 제거 효율을 얻을 수 있어 저비용의 수자원 확보를 가능하게 해 줄 것으로 기대되는 공정이다[1]. FO 공정은 유도 용액의 삼투압을 탈염수처리 공정에 적용하는 공정이므로 hydraulic pressure가 적게 소모되는 공정이다[1,2]. 탈염에 필요한 에너지의 관점에서 높은 삼투압과 회수가 용이한 유도용질(draw solute)의 사용 시 해수 담수화의 경우 5.
FO의 실용화 시 한계는?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FO 분야의 기술적 완성도는 정수처리 분야에 적용하기에는 극복해야만 하는 많은 기술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5-7]. 최근 수십 년간 많은 연구자들이 FO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나 아직도 분리막 표면 농도 분극(ex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ECP)과 분리막 내부 농도분극(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ICP), 분리막의 오염(fouling), 용질의 역 확산(reverse salt flux, RSF),적합한 유도 용질 발굴 등 실용화 단계에 반드시 극복되어져야 할 기술적 한계를 해결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8-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N. Y. Yip, A. Tiraferri, W. A. Phillip, J. D. Schiffman, L. A. Hoover, Y. C. Kim, and M. Elimelech, "Thin-film composite pressure retarded osmosis membranes for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from salinity gradients", Environ. Sci. Technol., 45, 4360 (2011). 

  2. K. L. Lee, R. W. Baker, and H. K. Lonsdale, "Membranes for power generation by pressure-retarded osmosis", J. Membr. Sci., 8, 141 (1981). 

  3. T. Cath, A. Childress, and M. Elimelech, "Forward osmosis : principles, application, and recent developments", J. Membr. Sci., 281, 70 (2006). 

  4. K. Lutchmiah, E. R. Cornelissen, D. J. H. Harmsen, J. W. Post, K. Roest, K. Lampi, H. Ramaekers, and L. C. Rietveld, "Water recovery from sewage using forward osmosis", Water Sci. Technol., 64, 1443 (2011). 

  5. A. Achilli, T. Y. Cath, E. A. Marchand, and A. E. Childress, "The forward osmosis membrane bioreactor: a low fouling alternative to MBR processes", Desalination, 239, 10 (2009). 

  6. O. Kessler and C. D. Moody, "Drinking water from sea water by forward osmosis", Desalination, 18, 297 (1976). 

  7. S. Hong, S. Lee, J. H. Kim, J. H. Kim, and Y. Ju, "Evolution of RO process for green future", KIC News, 14, 9 (2011). 

  8. A. Achilli, T. Cath, and A. Childress, "Power generation with retarded osmosis : An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 J. Membr. Sci., 343, pp. 42 (2009). 

  9. R. Babu, N. K. Rastogi, and K. S. M. S. Raghavarao, "Effect of process parameters on transmembrane flux during direct osmosis", J. Membr. Sci., 280, 185 (2006). 

  10. E. Kravath and J. A. Davis, "Desalination of seawater by direct osmosis", Desalination, 16, 151 (1975). 

  11. D. Xiao, C. Y. Tang, J. Zhang, W. C. L. Lay, R. Wang, and A. G. Fane, "Modeling salt accumulation in osmotic membrane bioreactor simplications for FO membrane selection and system operation", J. Membr. Sci., 366, 314 (2011). 

  12. G. Gray, J. McCutcheon, and M. Elimelech, "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in forward osmosis : role of membrane orientation", Desalination, 197, 1 (2006). 

  13. J. R. McCutcheon, R. L. McGinnis, and M. Elimelech, "Desalination by a novel ammonia-carbon dioxide forward osmosis process: influence of draw and feed solution concentrations on process performance", J. Membr. Sci., 278, 114 (2006). 

  14. J. R. McCutcheon, R. L. McGinnis, and M. Elimelech, "A novel ammonia-carbon dioxide forward (direct) osmosis desalination process", Desalination, 174, 1 (2005). 

  15. G. D. Mehta and S. Loeb, "Internal polarization in the porous substructure of a semi-permeable membrane under pressure-retarded osmosis", J. Membr. Sci., 4, 261 (1978). 

  16. D. Stillman, L. Krupp, and Y.-H. La, "Mesh-reinforced thin film composite membranes for forward osmosis applications: The structure-performance relationship", J. Membr. Sci., 4, 261 (1978). 

  17. A. Yamaguchi, F. Uejo, T. Yoda1, T. Uchida, Y. Tanamura, T. Yamashita, and N. Teramae, "Self-assembly of a silica-surfactant nanocomposite in a porous alumina membrane", Nature Materials, 3, 337 (2004). 

  18. H. Ahn, J. Kim, and Y. Kwon, "Preparation of cellulose acetate membrane and its evaluation as a forward osmosis membrane", Membr. J., 24, 136 (2014). 

  19. S. H. Ahn, I. C. Kim, D. H. Song, J. Jegal, Y. Kwon, and H. W. Rhee, "Pore structure and separation Properties of thin film composite forward osmosis membrane with different support structures", Membr, J., 23, 251 (2013). 

  20. B. Jung, J. H. Kim, B. S. Kim, Y. I. Park, D. H. Song, and I. C. Kim, "Effect of support membrane property on performance of forward osmosis membrane", Membr. J., 20, 23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