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의 시각량 산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한 연속경관 시퀀스 분석기법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Technique of Sequence Landscaping through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Visual Amount Calculation Program of Landscap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5, 2016년, pp.12 - 25  

구민아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관을 시간의 개념을 포함한 연속적 시퀀스로 분석하기 위해 연속경관의 무수히 많은 프레임을 추출하여 각 프레임들이 가지고 있는 구성요소들의 시각량을 수치화하여 데이터화한 다음 시퀀스 리듬으로 산출하여 경관계획, 설계 시 필요한 정량적인 데이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경험자 시선흐름에 근접하도록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 연속적 경로인 경관회랑에 따라 경관구역과 경관통제점에 컴퓨터 Motion 기법들을 각각 적용하였다. 동영상에서 일정간격으로 많은 프레임을 추출하여 각 프레임별 경관 구성요소들의 시각량을 연속적으로 산출하기 위해서 CRVP Koo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검증한 다음 대상지에 적용해 보았다. 적용결과, 각 경관의 구성요소별로 수치화된 정량적인 리듬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Photoshop에서 수작업한 결과와 오차도 매우 작았으며, 수작업의 단점을 극복할 수도 있었다. 도출된 시퀀스 리듬은 경관의 경험자 체험에 근접한 것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정량적인 분석기법 도출이 가능하였으며, 경관계획이나 설계를 위한 정량적인 데이터와 분석기법으로 활용 가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n order to facilitate analysis in a continuous sequence, including the concept of the landscape experience time, countless frames of a continuous landscape were extracted. The amount of visual elements in each frame was data-converted numerically to take advantage of the quantita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량 시퀀스 리듬분석의 편의성을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 파일 mp4에서 주어진 시간마다 일정하게 프레임을 추출하고,색 범위에 의거하여 구성요소를 지정한 후에 동일한 폴더에 있는 프레임들에서 시각량을 일제히 추출해주는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 언어 C#로 작성하였으며, 개발자의 이름과 특성을 따 CRVP Koo(Calculation on Ration of Visual Presentation Koo)로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의 발달된 컴퓨터 기술과 동영상처리 기술 등을 바탕으로 공간의 경험자들에게 노출되어지는 경관 구성요소들의 연속적인 시각량을 그대로 수치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지에 적용해 보아 연속경관의시퀀스 리듬을 분석하는 기법을 연구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경관을 연속적으로 시간의 개념을 포함한 시퀀스로 분석하는 기법을 도출하기 위해 시각량 산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상지에 적용하여 시퀀스 리듬을 추출하여 경관계획, 설계 시 필요한 정량적인 시퀀스 리듬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추출된 시퀀스 리듬은 거리와 면적, 시간의 정량적인 데이터를 가진 것으로서, 이를 바탕으로 시각적 노출의 우위, 리듬의 다이나믹 정도, 시간과 거리로 환산된 지배적 요인의 노출정도, 시각적 흡수능력, 외적요소에 대한 시간과 거리로 산출된 노출량 등에 대한 연속경관 시퀀스 분석기법을 정량적으로 도출해 내었다.
  • 하지만 연속적 경관에서 인지하는 경관의 무수한 프레임에서 시각량을 수작업으로 하나씩 분리해 내는 일은 매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드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프레임에서 구성요소별 시각량을 산출해 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대상지에 적용해 산출해 내었다.

가설 설정

  • 동영상 처리, 2. 이미지 처리, 3. 데이터 처리로서 시각량 산출하는 순서대로 이루어져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관의 지각은 무엇인가? 경관의 지각은 경험자의 시각에 의해서 우리의 일상을 둘러싸고 있는 ‘보여지는 대상’, ‘체험하는 대상’인 경관을 가장 일차적으로 보는 것이며, 인식과 인지의 과정을 거쳐 경험자에게 기억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여지는 경관, 체험되어지는 경관은 정지해 있지 않고, 경험자의 시선의 흐름, 움직임에 의해서 시간적 개념을 포함하여 시-공간적 흐름으로 연속된다.
보여지는 경관, 체험되어지는 경관의 특성은 무엇인가? 경관의 지각은 경험자의 시각에 의해서 우리의 일상을 둘러싸고 있는 ‘보여지는 대상’, ‘체험하는 대상’인 경관을 가장 일차적으로 보는 것이며, 인식과 인지의 과정을 거쳐 경험자에게 기억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여지는 경관, 체험되어지는 경관은 정지해 있지 않고, 경험자의 시선의 흐름, 움직임에 의해서 시간적 개념을 포함하여 시-공간적 흐름으로 연속된다. 경관체험에서 특히 이동을 전제로 하는 가로, 도로, 고속도로, 골목길 투어, 관광코스 등에 있어서 경험자는 이동속도에 의해 시간적으로 연속되는 4차원으로 경관을 인식, 인지하게 되며, 따라서 연속적 경관체험 시퀀스가 매우 중요한 설계주제가 된다.
공간 경험시 시선흐름과 경로에 따른 조망형, 표적진행형, 경로진행형은 어떠한 장소인가? 조망형인 View motion은 정지해 있어서 이동경로와 속도는 없지만, 주변의 경관을 조망하는 시선흐름만 가지는 공간으로경관통제점 중에서도 광장, 공원, 전망대, 주 조망대상지 등 한곳에 서서 주변을 둘러보는 장소에 해당된다. 표적진행형인 Target motion은 멀리 아주 두드러진 조형물,건축물, 설계 주대상물 등의 랜드마크가 뚜렷하게 드러나, 그것을 주시하면서 이동하는 시선흐름을 가진 장소에 해당된다. 경로진행형인 Path motion은 뚜렷이 보이는 지형지물은 없으나, 다음 공간으로의 이동을 위해 전방을 주시하면서 동선의 경로와 같은 방향으로 시선이 흘러가는 장소에 해당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bernathy, B. L. and S. Noe(1966) Urbanography. Progressive Architecture (April): 184-190. 

  2. Bae, H. M. and J. H. Kim Trans(2010) Landscpae Analysis and Planning. Sinohara, O. Landscape Analysis and Planning. Seoul: Naeha Press. pp. 25-96. 

  3. Chae, B. S. and J. J. Seo(1996) A study on the urban landscape planning for small to medium sized city based on the urban graphical condition(1).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31(6): 6123-6145. 

  4. Halprin, L.(1965) Motion. Progressive Architecture 46(July): 126-133. 

  5. Hwang, G. W.(2011) Interpretation of Landscap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322-327. 

  6. Im, S. B.(2009) Theories in Landscape Analy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5-137. 

  7. Jacobs, P. and D. Way(1968) Visual Analysis of Landscape Development.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SA: Harvard University Press pp.2-35. 

  8. Jo, S. H. and Y. K. Jin(1997) A visual preference study on Namdaemun and its surroundings using visual simulation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3): 12-24. 

  9. Kim, C. S.(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rban landscape simulator by incorporation GIS and CAD techniqu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2(3): 247-254. 

  10. Kim, H. J.(2009) Assessment method of visibility blocking from frames animated along roa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Autumn Symposium: 143-155. 

  11. Kim, J. E., J. W. Park and S. H. Lee(2013a) A sequence landscape analysis for the management of urban landscap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9(12): 239-247. 

  12. Kim, M. H. Trans(2000) The Beautiful of Environment. Urio Sepanma. The Beautiful of Environment. Seoul: SinGu Press pp. 58-63. 

  13. Kim, M. S., J. Y. Yu and E. S. Jo(2013b) A fundamental study on sequence landscape analysis in terms of waterfront walking spac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4(1): 79-86. 

  14. Kim, S. B., W. K. Sim and J. H. No(2007) A study of the landscape preference for 'Oreum' by analysis features & visual eleme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1): 46-58. 

  15. Kim, S. W. and C. H. Kim(2008) A study on the building height regulations using GIS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3(3): 71-80. 

  16.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2004) Urban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Eighth Edition. Seoul: Munundang. pp. 2-89. 

  17. Lee, H. T.(2009) Landscape Aesthetic. Seoul: Taelim. pp. 198-203. 

  18.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Mass: MIT Press. 

  19. Park, C. J., J. S. Lee, D. H. Kang, E. H. Jung, H. J. Jun and S. B. Park(2007) Study of walking speed and step length corresponding to the age. Proceedings of the Autumn Symposium: Ergonomics Society of Korea. pp. 430-434. 

  20. Park, C. Y. and J. Y. Hyun Trans(1994) Theory of Landscape Design. Motloch, J. L., Introduction to Landscape Design. Seoul: Daewoo Press. pp. 7-187. 

  21. Seoul(1998) Seoul View Landscape Plan of Major Mountains. pp. 5-30 

  22. Thiel, P.(1961) A sequence experience notation. Town Planning Review 32(April): 33-52. 

  23. Yang, B. H.(2002) Landscape management mechanismto protect scenic view in tile city in the case of Woomyon mountain in Seoul.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40: 14-169. 

  24. Yu, B. M.(1996) Landscape Engineering. Seoul: Dongmunsa. pp. 16-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