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에서 치유조경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of Healing Landscape in Housing Complex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5, 2016년, pp.26 - 37  

천현우 (배재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이시영 (배재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하여 외부의 조경공간을 통해 치유환경을 제공하여 치유기능을 높이기 위한 조경계획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집합주거공간의 외부공간 조성에 있어 거주민들에게 생활환경을 높일 수 있는 기회와 함께 조경설계기법의 대안적인 기준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정형화되어 있지 못하고 있는 조경설계 분야의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 학자들의 치유정원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환경특성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 국내 외 문헌을 통하여 세부항목을 설정하며, 선행연구와 사례조사, 설문분석을 통해 치유조경계획 요소를 도출하였다. 치유환경의 기능적 계획요소 6가지 항목을 설정하였다. 안전한 환경, 치료적 환경, 보조적 환경, 지남력 강화환경, 쾌적성, 사회적 환경으로 구분하였고, 공간계획요소는 국내 외 사례고찰로 병원, 요양원, 숲 등을 대상으로 하여 육체적, 정신적 안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공간 및 시설을 도입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획요소로 공간계획, 동선계획, 포장계획, 수경계획, 식재계획, 시설계획,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항목을 외부공간의 단지출입 영역, 내 외부 전이영역, 외부활동 영역, 테마별 공간영역으로 구분하고, 계획 요소로 공간계획에는 자연속 산책이 가능하고, 범죄로부터 안전, 다양한 휴게시설이 있도록 계획한다. 식재계획으로는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수목 식재, 촉각 미각, 후각을 자극하는 식물 식재, 풍부하고 다양한 식물 식재로 계획한다. 동선계획은 외부로부터 동선을 분리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산책, 지압로, 흙길 등 자연감상이 가능한 동선으로 계획한다. 포장계획은 위험에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인공재료보다는 자연형 재료로 계획한다. 시설물계획은 취약계층을 위한 안내표, 강설시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쉘터 및 이동 가능한 벤치를 계획한다. 수 공간계획은 잔잔한 물 공간을 조망하는 사색 가능한 물시설과 분수 등 깔끔하고 도식적인 물시설로 계획한다. 치유프로그램으로는 휴식 명상을 취할 수 있으며, 요가, 산책 등 가벼운 운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한다. 치유조경계획 요소를 도출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으나, 계획요소와 계획내용들이 치유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을지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평가가 제한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ctivities and convenience of residents in outdoor spaces in apartment houses have been considered important, strategies for making outdoor spaces in apartment houses healing spaces have emerged as a major inte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elements for planning healing to create he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Shin et al.(2013)의 실버세대를 위한 치유디자인 요소 추출에 관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노인복지관 환경 개선에 필요한 실버치유디자인 요소 추출에 관한 기초연구로 실버 치유 디자인의 개념을 정리하고, 치유 디자인의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실버 치유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여 향후 노인복지관에 치유디자인을 접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 치유적인 공간에 대한 연구는 어떠한 대상을 통한 공간적 치유공간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전 연령대 및 장애인과 비장애인 등 함께 공동체 생활을 하는 아파트 등 집합주거단지로서의 치유공간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기존 연구들은 병원이나 고령자, 신체적 부자유 등 육체적, 정신적 제약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를 주로 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일반 거주민들을 대상으로 치유개념을 적용하고자 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선행연구의 치유공간계획요소의 공통요소를 공간적 요소, 환경적 요소, 치료적 요소, 행위적 요소로 구분하였다(Table 2 참조)
  • 이러한 치유개념을 이용하여 병원이나 요양원 등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기관들에서 외부공간에 치유환경 요소를 적용하여 정원을 조성하고, 이를 치료활동의 하나로 이용하려는 추세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또한, 도시 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은 삭막한 도시환경과 복잡한 사회구조 속에서 대부분이 정신적 스트레스 및 육체적 피로감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가까운 거리의 공원이나 먼 거리의 자연환경을 찾아 활력을 얻고자 한다. 실제로 현대인들이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유발은 심각한 수준에 올라와 있으며, 이러한 치유개념을 접목시킬 수 있는 환경의 조성이 요구되고 있다.
  • 따라서 공동주택단지의 거주자들의 심리적, 신체적, 행동적 스트레스의 영향을 저감시켜 주거나, 치유해 줄 수 있는 치유 공간으로서의 외부환경계획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하여 외부의 조경공간을 통해 치유환경을 제공하여 치유기능을 높이기 위한 조경 계획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공동 주택단지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치유효과를 높이기 위해 계획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계획요소와 공간 조성기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치유개념을 적용한 기초적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의 옥외공간에 적용할 치유조경계획의 계획요소를 밝히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치유환경과 치유조경계획요소를 도출한다.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조경계획에 치유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을 인식하여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치유조경계획 방안을 모색하고자 치유조경계획 요소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하여 외부의 조경공간을 통해 치유환경을 제공하여 치유기능을 높이기 위한 조경 계획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공동 주택단지의 외부공간을 대상으로 치유효과를 높이기 위해 계획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계획요소와 공간 조성기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치유개념을 적용한 기초적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 현재 공동주택단지의 거주민을 대상으로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이용목적과 현재 치유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 치유효과에 대한 반응정도를 파악하고, 단지 내 치유환경 조성을 위한 방향 탐색을 위해서 식재, 공간, 동선, 포장, 수공간, 치유프로그램 등을 어떠한 방향으로 계획하는 것이 필요한지를 묻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주택단지 조경의 중요성은 왜 커지고 있는가? 현대 조경공사의 대부분이 공동주택단지에서 진행되고 있어 생활환경 개선에 있어서도 외부공간을 다루는 조경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또 자연에 대한 동경과 쾌적한 생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여 환경에 대한 관심과 생태적인 환경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어 공동주택단지 조경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Shin, 2010).
왜 최근 자연환경의 역할로서 회복환경을 기대하고 있는가? 자연환경에 대한 최근 트렌드는 보고 즐기는 웰빙의 시대를 지나 이를 적극적으로 체험하고 오감으로 조성하여 몸과 마음을 치유하려는 회복환경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이는 현대사회에서 인간이 자신의 심리적•신체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고,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자연환경이 갖는 치유적 특성을 기대하기 때문이다(Kaplan and Kaplan, 1989).
치유는 무엇인가? 치유란 환자에 초점을 맞춰 환경적,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지원을 통해 건강에 접근해가는 방법으로, 질병 상태뿐만 아니라,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에까지 의미를 확대 해석할 수 있다(Lee, 2009). 그러므로 치유조경은 조경의 개념에 치유를 적극 적으로 도입한 정원•조경의 형태일 뿐만 아니라, 원예치료 활동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계획된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Deug-Soo, Na-Ra Jeong and Young-Eun Choi(2006) Planning on the healing garden of a psychiatric hospital.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10(3): 9-19. 

  2. Choi, Gwang-seok and Gil-chae Gim(2002) A study on the supportive design conditions for the hospital stress in Korea.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8(1): 61-67. 

  3. Choi, Young-Mi and Nae-Won Yang(2007) A study on healing environment factors according to spatial behaviors of residents with dementi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5): 91-100. 

  4. Cooper Marcus, C.(1999) Introduction: Historical and cultural perspective on healing gardens. In Healing Gardens: Therapeutic Benefits and Design Recommendations, eds. Cooper Marcus, C. and Barnes, M., New York: John Wiley & Sons. 

  5. Hong, Gwang-ho(2007)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and Case Evaluations of Outdoor Space in Senior Housings. Master's Thesis, PaiChai University. Korea. 

  6. Jeong, Il-Yeong(2001) A Study on the Planning of Healing Garden for the School of Mentally Retard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7. Jeong, Mu-Ung(2004) Architectural Design and Human Behavior. Kimoondang. 

  8. Kang, Seok-Youn(2002) A Study on the Planning of Therapeutic Gardens for Mental Retardation Disorder: Including the Case of Seoul In-gang Schoo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Korea. 

  9. Kaplan, R. and S. Kaplan(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Kaplan, S.(1995) The restorative benefits of nature: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6: 169-182. 

  11. Kim, In-Ha, Mi-Hui Choi and Yeong-Gi Park(2007) An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healing garden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1): 303-306. 

  12. Kim, Ji-Ae and Seung-Bin Im(2011) Components and design guidelines for healing environments: Focused on roof gardens in general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Insti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1: 81-86. 

  13. Kim, Sun-Mi(2006) A Design Guideline for Outdoor Space for Dementia Patients using the Therapeutic Environment Concept.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4. Kim, Sun-Mi(2010)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hy on Stress and Mental Health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Korea. 

  15. Kim, Dae-Hyun, Dae-Soo, Kim, Ji-Hoon Sin and Soon-Boon Kim(2005) The change of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 and its causes. Journal of the Korea Insti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6): 52-67. 

  16. Kim, Geon-Yeong and Jae-Seung Park(2010)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methods of O.P.D&the construction of healing environment on O.P.D waiting area in children's hospital in Seoul Metropolis.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6(3): 37-42. 

  17. Kong, Eun-Mi(2009) Transformation of Apartment Complex Outdoor Space fromthe Perspective of Urban Sociology.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Korea. 

  18. Lee, Bo-Ram(2012) A Study on Guidelines for Designing Healing Garden for Handicapped Childre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9. Lee, Jung-Ohk(2009) Design of Rooftop Landscape of Senior Welfare Facilities with Introduction of a Healing Environment.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Korea. 

  20. Lee, Son-Sun(2013)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Direction of Healing Garden based on Residential Feng Shui.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Korea. 

  21. Marcus, Cooper and M. Barnes(1999) Healing Garden. WILEY. 

  22. Min, Byeong-Uk(2013) Healing landscape design for hospital outdoor space - Acase of the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Changwon. Journal of the Korea Insti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1): 82-92. 

  23.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2008) Therapeutic Forest in Saneum. 

  24. Park, Sun-Hee, Deung-Soo Ahn and Chong-Min Park(2008) Analysis on the preference of women on the healing garden.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12(2): 11-20. 

  25. Park, Yong-Whan(1992) Designing for the Handicapped. VM Space. 

  26. Shim, U-Gyeong(1997) Horticulture Therapy. 

  27. Shin, Kyung-Jun(2010) The Transition of Outdoor Space and Periodical Characteristics of Landscaping in Korean Apartment Housing. Doctor's Thesis, Dankook University. Korea. 

  28. Shin, Yun-Jin, Seong-Eun Hyung and Jeong-Pyo Hong(2013) A basic study on extraction of healing design elements for silver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Design 12(4): 9-20. 

  29. Song, Hyo-Ju and Sang-Heon Choi(2009)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reatment conditions of the nursing hom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unicipal nursing homes in Seoul-.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15(3):31-39. 

  30. Sung, Yun-Jung, Ji-young An and Jin-kyung Paik(2013) A review of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guidelines of the supportive design of healing environ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6(1): 507-523. 

  31. Tak, Yeong-Ran(2012) Therapeutic Garden Design Proposal of a Long Term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Seoul Dongbu Senior Care Center.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32. Ulrich, Roger S.(1999) Effects of gardens on health outcomes: Theory and research. In Healing Gardens: Therapeutic Benefits and Design Eecommendations, ed. Cooper Marcus, C. and Barnes, M., New York: Joh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