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찬공기 특성을 고려한 낙동정맥 관리방안 연구 - 부산, 울산, 포항 인근을 대상으로 -
Management of the Nakdong-Jeongmae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d Air - Focused on Busan, Ulsan, Pohang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5, 2016년, pp.103 - 115  

엄정희 (계명대학교 도시학부 생태조경학전공) ,  손정민 (계명대학교 도시학부 생태조경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낙동정맥의 녹색에어컨 기능을 활용 확대하기 위해 낙동정맥의 찬공기 생성과 흐름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 낙동정맥의 중요한 찬공기 생성지역 보호 및 인근 도시로의 찬공기 활용 극대화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정맥 인근에 위치한 부산 구덕산 일대, 울산 고헌산 일대, 포항 운주산 일대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정맥의 지형적 특징 및 토지이용에 따른 찬공기 흐름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녹색 에어컨 기능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부산 구덕산 일대는 정맥 경계에 인접한 지역에서의 고밀도 개발로 인해 생성된 찬공기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며, 시가지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정맥 접경지역에 대한 개발 압력이 매우 커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정맥의 녹색서비스 기능 강화를 위해 높은 보전정책이 요구된다. 울산 고헌산 일대는 넓은 계곡에 위치한 농공단지와 산업단지에는 충분히 발달된 찬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고 있어 현재의 찬공기 유입을 유지할 수 있는 관리방안이 필요하며, 넓고 평평한 지형으로 인해 향후 개발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전이 반드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포항 운주산 일대는 복잡한 산악 및 계곡지형으로써 생성된 찬공기가 좁은 계곡을 통해 이동하면서 계곡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발달하고 있으므로, 찬공기 생성지역 가까이에 위치한 계곡 지형을 활용해야 한다. 특히, 영천호 주변은 찬공기층이 가장 높으면서도 흐름이 가장 낮으므로 찬공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낙동정맥의 체계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녹색에어컨 기능산지의 양적 확대 및 보전을 위한 정맥관리 강화 등 산지의 녹색에어컨 기능을 확대하는 정책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cold air production and its flow of Nakdong-Jeongmaek(mountain ranges), and to suggest management strategies for Nakdong-Jeongmaek in order to enhance the green air conditioning functions of Jeongmaek. For this purpose, three study sites including Gudeok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낙동정맥의 녹색에어컨 기능을 활용․확대하기 위해 낙동정맥의 찬공기 생성과 흐름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 낙동정맥의 중요한 찬공기 생성지역 보호 및 인근 도시로의 찬공기 활용 극대화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후)있어 녹색에어컨">있어 녹색에어컨 기능의 활용이 특히 기대되는 정맥이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정맥의 녹색에어컨 기능을 활용·확대하기 위해 낙동정맥의 찬공기 생성과 흐름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 낙동정맥의 중요한 찬공기 생성지역 보호 및 인근 도시로의 찬공기활용 극대화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낙동정맥 인근에 위치한 다양한 특성의 도시를 선정하여 정맥의 지형적 특징 및 토지이용에 따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낙동정맥의 녹색 에어컨 기능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부산 구덕산 일대는 대도시에 인접한 지역으로, 정맥 경계에 인접한 지역에서의 후)찬공기 활용">찬공기활용 극대화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낙동정맥 인근에 위치한 다양한 특성의 도시를 선정하여 정맥의 지형적 특징 및 토지이용에 따른 찬공기 흐름의 특징을 분석하고, 지형과 지역 특색에 따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낙동정맥의 체계적인 관리계획을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정맥이란? 한편, 많은 인구가 분포하는 도시지역 인근에 위치하는 정맥은 입지적․지형적 조건으로 인해 도시의 온도저감을 위한 녹색에어컨으로써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한반도에 위치한 13개의 정맥 중 낙동정맥은 백두산에서 뻗어 지리산까지 남하하는 백두대간의 정맥으로써, 남북으로 길게 뻗은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정맥을 따라 큰 도시들이 형성되어 있어녹색에어컨 기능의 활용이 특히 기대되는 정맥이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정맥의 녹색에어컨 기능을 활용․확대하기 위해 낙동정맥의 찬공기 생성과 흐름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 낙동정맥의 중요한 찬공기 생성지역 보호 및 인근 도시로의 찬공기활용 극대화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KALM 방법의 장점은? KALM(Schädler and Lohmeyer, 1994)은 바람이 없는 맑은야간시간의 찬공기 생성 정도 및 흐름을 산정하는데, 한국과같이 복잡한 지형에서의 찬공기 흐름을 분석하는데 유용하다.KALM은 유체 역학의 기본 방정식의 단순화된 형식인 shallowwater equations(천수 방정식)을 사용한다.
찬공기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모델은?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대상지 범위를 감안하여 실제 관측을 통한 조사 분석 대신 일정한 조건으로 넓은 지역을 동시에 분석할 수있는 시뮬레이션 방법을 활용하였다. 다양한 찬공기 분석 모형 중 독일에서 개발된 찬공기 분석 모형인 KALM(Kaltluftabflussmodell)을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 S. M., K. S. Lee and C. Y. Yi(2015) Building wind corridor network using roughness length.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3): 101-113. 

  2. Baek, S. H. and E. H. Jung(2009) A study on microclimate change via time series analysis of satellite images: centered on Dalseo district, Daegu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2): 34-43. 

  3. Eum, J. H.(2008) Integration of Climate Information into Spatial Planning in Seoul, South Korea. Dissertation. TU Berlin. p.164. 

  4. Eum, J. H.(2010) Establishing the urban climate information and its applications for spatial planning in Yongsan garrison.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5(1): 185-198. 

  5. Eum, J. H., D. Scherer, U. Fehrenbach and J. H. Woo(2011) Development of an urban landcover classification scheme suitable for representing climatic conditions in a densely built-up Asian megac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3(3-4): 362-371. 

  6. Eum, J. H., J. H. Woo and B. E. Yang(2001) Establishing the urban climate information and its applications for spatial planning in Yongsan garrison.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36(1): 231-241. 

  7. Hwang, K. H., J. T. Lee, S. O. Hur and K. M. Shim(2001a)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boundary layer during frost nights. Proceedings of the Annua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01(1): 65-67. 

  8. Hwang, K. H., J. T. Lee, S. O. Hur and K. M. Shim(2001b) Characteristics of nocturnal atmospheric cooling on a mountain slope. Proceedings of the Annua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001(1): 68-71. 

  9. Kim, K. J., I. A. Yeo and S. H. Yoon(2011)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greening typ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6): 229-236. 

  10. Kim, M. K., J. S. Lee and J. C. Park(2014)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air cooling by urbanization in the northern area of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9(2): 107-124. 

  11. Korea Forest Service(2012) The First Basic Plan for Forest-land Management. p.96. 

  12. Lee, K. G. andW. H. Hong(2008) A study on the urban heat environment pattern analysis and alleviation pla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4(9): 253-260. 

  13. Lee, S. H., M. H. Park and H. D. Kim(2008) Study on the variation of nighttime cooling rate associated with urbaniz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4(1): 83-90. 

  14. Park, M. H. and H. D. Kim(2011) Evaluation of mitigation effect of Upo-swamp on the air temperature variation with nighttime cooling rate.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0(3): 309-319. 

  15. Ryu, J. W., E. H. Jung, D. W. Kim, J. G. Cha and K. S. Son(2008) A study on evaluation analysis of wind formation function using KLAM_ 21: the case of Daegu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2): 85-92. 

  16. Schadler, G. and A. Lohmeyer (1994) Simulation of nocturnal drainage flows on personal computers. Meteorologische Zeitschrift N.F.3: 167-171. 

  17. Song, B. G. and K. H. Park (2010) An analysis of cold air generation area considering climate-ecological function: A case study of Changwo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 114-127. 

  18. Yi, C. Y., K. R. Kim, Y. J. Choi, H. Y. Won and D. Scherer(2012) Nocturnal surface cooling and cold air transport analysis based on high density observation: A case study of Eunpyeong New Town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 124-137. 

  19. Yoon, S. H., S. J. Park and I. A. Yeo(2010)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by E-GIS database for urban greenery.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12): 357-364. 

  20. Yun, J. I.(2011) Observation of the cold-air drainage and thermal belt formation in a small mountainous watershed by using an infrared imaging radiomete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2): 7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