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귤 콤부차 발효액의 인체 방광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와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Growth Inhibition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Bladder Cancer Cells Induced by Fermented Citrus Kombuch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10, 2016년, pp.1422 - 1429  

김청이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승식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성수 (제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홍차버섯이라고 알려진 콤부차(Kombucha, K)에 플라보노이드 성분 및 각종 기능성 물질이 풍부한 감귤액을 첨가하여 감귤의 생리활성 물질들이 콤부차로 이행되는 효과를 기대하여 감귤 콤부차(citrus Kombucha, CK)를 배양한 후 항산화 능력 및 인체 방광암세포(T-24와 5637)를 이용한 항암 효과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암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천연소재 탐색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항산화총페놀 함량 결과는 K보다 CK의 항산화 능력과 페놀 함량이 높게 확인되었으며 방광암세포 T-24와 5637에 K 혹은 CK를 24시간 처리한 후 MTT assay를 통해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특히 T-24 세포에서는 CK를 처리하였을 때 현저한 세포의 형태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Western immunoblot을 통해 apoptosis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을 확인하였는데 T-24에 CK 처리하였을 때 Bcl-2의 발현은 크게 감소하였으며, pro-caspase-9, pro-caspase-8, pro-caspase-3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cleaved caspase-9, cleaved caspase-8, cleaved caspase-3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cleaved PARP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일반 콤부차보다 감귤액을 첨가한 감귤 콤부차가 인체 방광암세포 T-24에 caspase에 의한 apoptosis가 유도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mbucha is a slightly sour beverage fermented by symbiotic micro-organisms, including bacteria and yeas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citrus Kombucha (CK) produced by addition of citrus extract to original Kombucha (K). After fermentation for 10 days, radical scaveng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대식세포의 세포 생존율은 8 mg/mL까지 대조군 대비 100% 이상이었다(data not shown). 그러므로 세포의 사멸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농도인 0~8 mg/mL의 농도를 설정하여 방광암세포를 대상으로 하는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방광암세포(T-24와 5637)에 K 와 CK를 0부터 8 mg/mL까지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MTT assay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 이에 콤부차 발효 공정에 녹차 추출물과 감귤액을 첨가하여 각 성분의 생리적 활성에 대한 콤부차로의 이행 효과를 유도하였으며, 감귤 콤부차(citrus Kombucha, CK) 발효액의 항산화 능력과 총페놀 함량을 확인하였고, 방광암세포 증식 억제 및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천연물 소재 유래 발효음료의 건강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치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귤의 효능은? 감귤은 정균 및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알칼로이드 및 비타민 계열의 성분이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며, 암 예방 효과, 지질과산화물 형성 억제, 노화 지연, 항염증 효과, 모세혈관 보호, 항콜 레스테롤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12).
콤부차의 효능은? 콤부차(Kombucha, K)는 국내에서 홍차버섯이라고 알려진 발효음료로서 관절염 환자의 통증 완화, 고혈압 환자의 혈압 조절, 면역 T세포의 증가, 소화기 혹은 대사성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해독작용 및 항균 활성이 있는 usnic acid의 함량이 높고, glucuronic acid, vitamin B1, B2, B6와 같은 영양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이 보고되 었다(13-16). 일반적으로 콤부차를 제조할 때에 홍차, 녹차, 우롱차 등을 사용하는데 그중 녹차는 홍차나 우롱차 같은 발효차에 비해 차 카테킨 함량이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17).
콤부차 및 감귤 콤부차에 24시간 노출시킨 T-24와 567 방광암세포에서 scratch wound assay를 통해 관찰한 세포들의 이동성은 콤부차 및 감귤콤부차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에 T-24와 5637 방광암세포들을 K 혹은 CK에 24시간 노출시킨 후 scratch wound assay를 통해 세포들의 이동 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방광암세포 T-24의 비교군에서는 24시간 후에 세포의 이동이 현저하게 증가하 였으나, K 혹은 CK 하에서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세포의 이동성이 점점 억제됨을 확인하였다(Fig.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emin Oncol 39 559 2012 10.1053/j.seminoncol.2012.08.001 

  2. Anticancer Drugs 14 555 2003 10.1097/00001813-200308000-00008 

  3. FEBS J 277 3437 2010 10.1111/j.1742-4658.2010.07750.x 

  4. Vet Parasitol 112 337 2003 10.1016/S0304-4017(03)00008-6 

  5.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17 2003 10.3746/jkfn.2003.32.2.217 

  6. Acta Pharm 54 243 2004 

  7.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 362 2003 

  8. Z Lebensm-Unters Forsch 198 258 1994 10.1007/BF01192606 

  9. Farmaco 50 595 1995 

  10. Acta Biotechnol 16 199 1996 10.1002/abio.370160219 

  11. J Gen Intern Med 12 643 1997 10.1046/j.1525-1497.1997.07127.x 

  12. Nutr Rev 41 293 1983 

  13. Eur J Pharmacol 500 177 2004 10.1016/j.ejphar.2004.07.023 

  14. J Oleo Sci 50 599 2001 10.5650/jos.50.599 

  15. Nature 181 1199 1958 10.1038/1811199a0 

  16. Free Radic Biol Med 31 869 2001 10.1016/S0891-5849(01)00638-4 

  17.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2 1997 

  18. Food Chem 109 227 2008 10.1016/j.foodchem.2007.12.037 

  19. J Biol Chem 12 239 1912 10.1016/S0021-9258(18)88697-5 

  20. Food Sci Biotechnol 17 251 2008 

  21. Annu Rev Cell Dev Biol 21 581 2005 10.1146/annurev.cellbio.21.122303.133159 

  22. Annu Rev Cell Dev Biol 25 407 2009 10.1146/annurev.cellbio.042308.1132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