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열증기 처리온도에 따른 마늘의 불쾌취 제거 효과를 비롯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과열증기 장치의 장점으로는 에너지 효율적이고 환경오염이 적으며, 식품 고유의 영양성분 변화가 적게 일어난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마늘 특유의 불쾌취 및 매운맛 정도를 알아보는 total thiosulfinate, total pyruvate 함량에서는 비처리구보다 과열증기 처리한 모든 조건에서 감소하였고, 관능평가에서는 비처리구보다 과열증기 처리한 모든 조건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마늘의 휘발성 향기물질 특성에서도 비처리구보다 과열증기 처리구에서 마늘 특유의 불쾌취를 생성하는 향기성분이 크게 저감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산화 활성 및 총 페놀 화합물 함량에서는 비처리구가 과열증기 처리구보다 다소 높은 특성을 나타내었지만 과열증기 처리 시에도 FRAP는 77~93%, ABTS 라디칼 소거능은 89~97%,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76~79%로 잔류하여 모든 항산화 활성에서 비교적 높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감 항목에서는 과열증기 처리구가 비처리구보다 경도가 다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균성 특성에서는 비처리구가 과열증기 처리구보다 큰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모든 균주에서 비처리구는 10 mm 이상의 inhibition zone을 형성하였고, 과열증기 처리구에서는 1.0~10.0 mm의 inhibition zone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일반세균, 대장균군, 효모 및 곰팡이 균수에서는 대장균군과 효모 및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일반세균수는 비처리구에서 8.69 log CFU/g이었으며 과열증기 처리 온도를 $100{\sim}350^{\circ}C$로 처리한 T100~T350 처리구들에서는 각각 5.65, 5.18, 5.15, 4.85, 4.75, 2.92 log CFU/g으로 대조구보다 3~6 log CFU/g의 수준이 감소한 균수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과열증기 처리는 마늘 특유의 불쾌취 및 매운맛을 저감화하며 다른 열처리에 비해 마늘의 영양물질 및 생리활성 물질이 높게 유지하고, 또한 미생물 제거 및 저감화에도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erheated steam (SHS) 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garlic. The garlic was treated by SHS at temperatures of 100, 150, 200, 250, 300, and $350^{\circ}C$ for 60 s. The moisture content of raw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현미를 과열증기 처리했을 시 lipase 및 lipoxygenase와 같은 지방 산화 효소를 저해시켜 지방의 산화를 억제한다는 연구도 보고되었다(2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식품산업에 소개된 과열증기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증기온도에서 마늘을 처리할 때 마늘의 항산화 활성, thiosulfinate 및 pyruvate의 함량, 휘발성 향기성분, 항균 및 미생물 특성, 그리고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 특유의 불쾌취 및 매운맛을 나타내는 성분은? 마늘은 환경 조건에 의해 마늘 세포가 파괴되면 alliinase 효소와 alliin이 반응하여 allicin 과 pyruvic acid를 생성한다(11). Allicin은 마늘의 주요한 생리활성 물질로 마늘의 주된 불쾌취와 매운맛 성분이며 이후에 diallyl disulfide, diallyl trisulfide, allyl methyl disulfide 등과 같은 sulfide 형태로 존재한다(12-15). 그리고 이러한 불쾌취와 매운맛 성분들은 몸에 오랫동안 존재하고 관능적 문제를 야기하여 식품산업에서 마늘 가공품의 소비를 제한한다.
마늘이란? 마늘(Allium sativum L.)은 대표적인 Allium 속 식물로 백합과의 과속에 속하는 다년초 식물이며, 오랜 세월에 걸쳐 식품에 사용되어 오는 향신료이다(1). 또한, 방부 및 강장 효과가 있어 우리 민족이 오랫동안 섭취하여 온 향신료로 알려져 있다(2).
마늘의 원산지는? 또한, 방부 및 강장 효과가 있어 우리 민족이 오랫동안 섭취하여 온 향신료로 알려져 있다(2). 마늘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와 지중해 연안 지방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미국 및 남부 유럽 등지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593 1996 

  2.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79 1994 

  3.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293 1999 

  4. Environ Mol Mutagen 50 247 2009 10.1002/em.20474 

  5. Mol Nutr Food Res 51 1382 2007 10.1002/mnfr.200700073 

  6. Phytother Res 20 581 2006 10.1002/ptr.1917 

  7. Planta Med 58 468 1992 10.1055/s-2006-961517 

  8. J Agric Food Chem 48 3753 2000 10.1021/jf990521+ 

  9. J Agric Food Chem 49 2592 2001 10.1021/jf001287m 

  10. Food Chem 111 56 2008 10.1016/j.foodchem.2008.03.035 

  11. J Agric Food Chem 19 273 1971 10.1021/jf60174a007 

  12.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00 2007 

  13.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5 2009 10.3746/jkfn.2009.38.1.105 

  14. J Agric Food Chem 41 800 1993 10.1021/jf00029a023 

  15. LWT-Food Sci Technol 55 347 2014 10.1016/j.lwt.2013.08.027 

  16. Food Sci Technol Res 12 114 2006 10.3136/fstr.12.114 

  17. Can Agric Eng 42 43 2000 

  18. J Food Eng 132 39 2014 10.1016/j.jfoodeng.2014.01.032 

  19. Korean J Food Cook Sci 29 387 2013 10.9724/kfcs.2013.29.4.387 

  20. Korean Chem Eng Res 46 258 2008 

  21. Food Sci Technol Res 18 515 2012 10.3136/fstr.18.515 

  22. Int J Food Sci Technol 47 1720 2012 10.1111/j.1365-2621.2012.03026.x 

  23. Food Sci Technol Res 16 93 2010 10.3136/fstr.16.93 

  24. Biochem Soc Trans 1 1150 1973 10.1042/bst0011150 

  25. J Agric Food Chem 9 301 1961 10.1021/jf60116a018 

  26. Food Chem 107 1636 2008 10.1016/j.foodchem.2007.10.033 

  27. Food Chem 81 321 2003 10.1016/S0308-8146(02)00423-5 

  28.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33 2010 

  29. J Korea Contents Assoc 9 339 2009 

  30. Korean J Food Sci An 33 103 2013 10.5851/kosfa.2013.33.1.103 

  31. Food Chem 142 217 2014 10.1016/j.foodchem.2013.07.057 

  32. J Agric Food Chem 55 1280 2007 10.1021/jf062587s 

  33.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901 1997 

  34.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65 2008 10.3746/jkfn.2008.37.8.965 

  35. Trends Food Sci Technol 11 419 2000 10.1016/S0924-2244(01)00027-9 

  36. J AOAC Int 79 1466 1996 10.1093/jaoac/79.6.1466 

  37.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637 2007 10.3746/jkfn.2007.36.12.1637 

  38. J Am Chem Soc 69 3565 1949 

  39. Korean J Culinary Res 18 4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