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강과 쌀 단백질의 비율과 분해 시간에 따른 효소분해물의 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Enzymatic Hydrolysates of Rice Bran and Rice Protein by Mixing Ratio and Hydrolysis Tim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10, 2016년, pp.1460 - 1466  

선유경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식품산업연구센터) ,  구후모 (매일식품주식회사) ,  박광근 (매일식품주식회사) ,  양은주 ((재)전남생물산업진흥원 식품산업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쌀 단백질 유래의 감칠맛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도정 부산물인 미강과 쌀 단백질을 원료로 효소분해물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미강과 쌀 단백질의 비율을 4:0, 3:1, 2:2, 1:3(w/w)으로 달리하여 효소분해한 후 분해물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3:1의 비율에서 질소분해율 및 감칠맛과 종합 기호도가 우수하였다. 효소분해 원료로 미강과 쌀 단백질을 3:1의 비율로 선정하여 13일 동안 효소분해를 진행하면서 시간에 따른 분해물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질소, 아미노태 질소, 질소분해율은 분해 10일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 전기영동 결과 효소분해 시간이 길어질수록 펩타이드의 저분자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리 아미노산 분석 결과 분해 시간에 따른 모든 효소분해물에서 감칠맛 성분인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효소분해 시간에 따라 쓴맛 성분은 감소했지만 단맛 성분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색, 향, 감칠맛, 종합기호도)은 분해 10일의 효소분해물에서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미강과 쌀 단백질을 3:1의 비율로 하여 효소분해를 10일 동안 진행하였을 때 효소분해물은 쌀 유래의 감칠맛 소재로서 품질 특성이 우수하며, 영 유아식과 건강식에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avory ingredient using rice material. We made hydrolysates with ratios of rice bran and rice protein of 4:0, 3:1, 2:2, and 1:3 (w/w) using commercial enzymes, and then investigated their quality properties. At a ratio of 3:1, nitrogen degradation ratio (NDR),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영양성과 기능성이 우수하면서도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낮은 미강과 쌀 단백질을 원료로 효소분해 법을 이용하여 감칠맛이 우수한 조미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미강과 쌀 단백질의 비율과 효소분해 시간에 따른 효소분해물의 특성을 평가하여 쌀 유래의 감칠맛 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건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강이란? 쌀은 밀, 옥수수와 함께 세계 3대 작물에 포함되며, 아시아 국가에서 주식으로 사용되는 주요 곡물이다. 미강은 현미를 백미로 도정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40~60만 톤의 미강이 부산물로 발생하고 있다. 현재 미강은 일부만 미강유 생산에 사용되며 대부분은 사료로 사용되거나 농업폐기물로 처리되고 있으나(1), 최근에는 미강의 우수한 영양성과 기능성이 보고되면서 식품뿐만 아니라 의약용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미강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은? 현재 미강은 일부만 미강유 생산에 사용되며 대부분은 사료로 사용되거나 농업폐기물로 처리되고 있으나(1), 최근에는 미강의 우수한 영양성과 기능성이 보고되면서 식품뿐만 아니라 의약용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미강에는 식이섬유, γ-aminobutyric acid(GABA)를 비롯하여 phytic acid, γ-oryzanol, tocopherols, tocotrienols, phenolic 성분의 항산화 물질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2), 항산화 활성(3), 항암 작용(4), 항염증 작용(5), 항알레르기(6), 면역촉진 효과(7)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식물성 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이유는? 현재 천연조미료의 제조는 미생물의 작용으로 단백질을 분해하여 된장, 간장 및 액젓 등을 제조하는 발효법과 산분해 또는 효소분해법을 통하여 동물성 및 식물성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17). 특히 가수분해 식물성 단백질(hydrolyzed vegetable protein, HVP)은 복합조미료, 소스류, 풍미증진제 등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18), HVP의 원료로 탈지 대두박이나 소맥 글루텐이 주로 사용되며 이들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Sampson(19)은 영유아 및 어린이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으로 우유, 달걀, 땅콩, 대두, 밀이 90%를 차지한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Food Eng Prog 15 41 2011 

  2.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82 2012 10.3746/jkfn.2012.41.2.182 

  3.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624 2010 10.3746/jkfn.2010.39.4.624 

  4. J Agric Food Chem 53 816 2005 10.1021/jf0490293 

  5.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22 2004 

  6.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97 2006 10.3746/jkfn.2006.35.10.1297 

  7. Int Immunopharmacol 17 191 2013 10.1016/j.intimp.2013.06.013 

  8. J Agric Food Chem 47 411 1999 10.1021/jf9806964 

  9. Cereal Foods World 41 839 1996 

  10. Food Eng Prog 16 157 2012 

  11. J Sci Food Agric 87 1219 2007 10.1002/jsfa.2819 

  12.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3 62 2010 

  13. J Agric Sci 37 61 2010 

  14. Food Funct 15 2747 2016 

  15. Nutrients 7 6313 2015 10.3390/nu7085292 

  16. Cereal Chem 73 406 1996 

  17. Food Eng Prog 13 85 2009 

  18.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125 1997 

  19. J Allergy Clin Immunol 103 717 1999 10.1016/S0091-6749(99)70411-2 

  20. Arerugi 50 621 2001 

  21. Food Eng Prog 14 322 2010 

  22. Pediatr Allergy Immunol 21 577 2010 10.1111/j.1399-3038.2010.00991.x 

  23.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550 2014 10.3746/jkfn.2014.43.4.550 

  24. Kor J Env Hlth 30 22 2004 

  25. J Agric Life Sci 46 177 2012 

  26.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00 2002 

  27. Cereal Chem 43 145 1966 

  28. J Appl Biol Chem 53 174 2010 10.3839/jabc.2010.031 

  29. Food Eng Prog 15 143 2011 

  30. J Life Sci 21 309 2011 10.5352/JLS.2011.21.2.309 

  31. Food Eng Prog 18 140 2014 10.13050/foodengprog.2014.18.2.140 

  32. Food Chem 99 600 2006 10.1016/j.foodchem.2005.08.0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