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 목조건축물의 상록하단(上綠下丹) 단청기법 수용
The Adaptation of Sangrokhadan Technique on the Color Painting of Wooden Buildings in the Goryeo Dynast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5 no.5, 2016년, pp.15 - 25  

이은희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lor that painted on the ground of Dancheong becomes Gachil(basecoat)-Dancheong and underpainting of Moro-Dancheong or Geum-Dancheong. So, the color of underpainting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hat determines impression of the building. Thus, the architecture after using "Sangrokhadan" has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에서 上綠下丹이 적용된 시기가 언제부터인지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고려 시대 이전의 건물은 고구려 고분벽화와 고려불화를 통한 간접적인 탐색과 동시기 중국과 일본의 목조건축으로 하고, 송(宋)시대 『營造法式』에 기록된 채화와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元시대에 발전된 이와 같은 건축기법들은 明·靑시대 건축 발전에 기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다.20) 이러한 요소들 중 하나가 바로 上綠下丹 기법의 정형화이다. 물론 11세기부터 부분적으로 상부에 녹색 사용이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인 上綠下丹의 기법은 13세기가 되면 대부분의 건물에 적용되었다.
  • 이슬람 교단이 사용하던 기하문과 식물 문은 그 중요성을 더하게 되었다.21) 새롭게 유입된 기하 문과 식물 문양은 기존의 문양과 결합하여 새로운 건축 장식을 가져오게 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록하단(上綠下丹) 기법은? 상록하단(上綠下丹) 기법은 건물에 단청을 할 때 햇빛을 많이 받는 기둥에는 붉은색을 칠하여 힘과 능력을 강조하고, 처마 등의 그늘진 곳에는 녹청색으로 명도를 높여서 전체 조화를 이루는 것1)으로 한국 단청의 특징 중 하나로 꼽힌다.
조선시대 단청은 무엇을 그려 넣었는가? 조선시대 단청은 기둥이나 동자주 등의 수직부재는 붉은색 계열의 석간주(石間朱)로 칠하고 창방이나 도리 및 보 등의 횡부재와 서까래, 부연과 같은 지붕가구는 녹색 계열의 뇌록(磊綠)으로 칠한 다음 문양을 그려 넣었다. 석간주와 뇌록으로만 칠하는 단청을 가칠단청(假漆丹靑)이라 하는데, 여기에 건물의 종류나 성격에 따라 문양을 베풀고 문양이 부재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모로단청(毛老丹靑)이나 금단청(錦丹靑)이 된다.
한국 단청과 달리 같은시기 동아시아 건축 채색 경향은 어떠한가? 이 때문에 최근 복원된 고구려, 백제, 통일신라시대 건물의 단청에도 上綠下丹 기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같은 시기 동아시아 목조건축 문화권에 적용된 건축 채색 경향은 上綠下丹과는 달리 대부분 건물 전체를 붉은색으로 칠해진 것을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高麗史 

  2. 高麗史節要 

  3. 東國李相國集 

  4. 營造法式 

  5. 장기인.한석성, 한국건축대계 III: 단청, 보성각, 1998 

  6. 김재원, 미술.고고학 용어집: 건축편, 을유문화사, 1955 

  7. 임영주, 단청, 대원사, 1991 

  8. 곽동해, 한국의 단청, 학연문화사, 2002 

  9. 남북의 단청,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2004 

  10. 정세훈, 화려한 색채예술 단청,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6 

  11. 김희정, 한국 단청의 이해, 한티미디어, 2012 

  12. 윤장섭, 중국의 건축,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13. 潘谷西 主編, 中國古代建築史: 第4卷,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1 

  14. 李允?, 華夏意匠, 天津大學出版社, 2005 

  15. 윤장섭, 일본건축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16. 문화재관리국, 안압지발굴조사보고서, 1978 

  17. 김동욱, 주심포 다포라는 용어는 언제부터 쓰였을까?, 건축역사연구, 17권, 5호, 2008 

  18. 한석성 구술; 박해진 정리,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단청, 현암사, 2004 

  19. 박미례, 한국단청의 전통과 가치, 남북문화예술연구, 11호, 2012 

  20. 김동욱, 한국건축 중국건축 일본건축, 김영사, 2015 

  21. 이은희, 고려시대 단청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봉정사 극락전 수리공사 보고서, 1992 

  23. 문화재청, 봉정사 극락전 수리.실측 보고서, 2003 

  24. 孫大章, 中國古代建築彩畵, 中國建筑工業出版社, 2006 

  25. 神居文彰 著, 平等院 編, 平等院鳳凰堂, 東方出版, 2002 

  26. 敦煌文物硏究所, 中國石窟: 敦煌莫高窟, 文物出版社, 1999 

  27. 한국의 미 7: 고려불화, 중앙일보사, 1981 

  28. 국립중앙박물관, 고려불화대전, 2010 

  29. 김리나 편, 세계문화유산 고구려고분벽화, ICOMOS 한국위원회.문화재청, 2004 

  30.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편,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서울대출판부, 2000 

  31. 지심귀명례: 수덕사! 천년의 아름다움, 수덕사근역성보관, 2008 

  32. 李路珂, 營造法式 彩畵硏究, 東南大學出版社, 2011 

  33. 곽동해, 한국단청의 원류, 학연문화사,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