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복소비가치에 따른 집단별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Differenc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mong Clothing Consumption Value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8 no.5, 2016년, pp.606 - 616  

김인숙 (신한대학교 글로벌통상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tend an empirical assessmen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demographic variables among groups classified by the clothing consumption values. The questionnaires are administered to 493 female and male adults above 20 years old in Seoul, Gyeonggi-do, Da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의복소비가치에 근거하여 집단을 세분화하고 각 세분집단간의 외모관리행동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외모관리시장 세분화 변수로서 가치관의 유용성을 입증하는 한편, 세분화된 소비자 집단의 특성을 이해하고 소비자 욕구를 보다 정확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외모관리를 위한 소비행동 역시 개인의 일상적 삶에, 그리고 사회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생활의 필수적인 요소로 인지되어지고 있으며, 외모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면서 외모관리행동은 삶의 중요한 일부분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날의 외모는 어떻게 간주되고 있는가? 현대사회의 소비문화는 소비자의 개성을 중심으로 점차 세분화되어, 소비자들의 의식이 개인화되고 소비행위를 통한 자아실현 욕구가 커지면서 욕구충족의 방법이나 형태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오늘날의 외모는 ‘타고난’ 것이라는 과거의 개념과는 달리, 명백히 만들어지고 관리되는 것이라는 사회문화적 관념이 형성되면서 외모는 하나의 중요한 자아실현의 방편으로 간주되고 있다. 아름다운 외모, 성적 매력, 건강함과 유머가 섞여 나타나는 생동력, 옷이나 헤어스타일, 향수를 포함한 사회적 표현력, 그리고 섹슈얼리티의 요소가 결합된 매력자본(erotic capital)이 강력한 경제자본으로 인식되면서 (Hakim, 2010), 외모관리는 단순히 자신을 가꾸는 차원이나 아름다워지고 싶은 욕망을 넘어서 개인의 사회적 성공조건이 되거나 사회적 지위 또는 부를 상징하는 기준이 될 만큼 생활 속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게 되었다(Kim & Lee, 2007).
매력자본이란 무엇인가? 특히 오늘날의 외모는 ‘타고난’ 것이라는 과거의 개념과는 달리, 명백히 만들어지고 관리되는 것이라는 사회문화적 관념이 형성되면서 외모는 하나의 중요한 자아실현의 방편으로 간주되고 있다. 아름다운 외모, 성적 매력, 건강함과 유머가 섞여 나타나는 생동력, 옷이나 헤어스타일, 향수를 포함한 사회적 표현력, 그리고 섹슈얼리티의 요소가 결합된 매력자본(erotic capital)이 강력한 경제자본으로 인식되면서 (Hakim, 2010), 외모관리는 단순히 자신을 가꾸는 차원이나 아름다워지고 싶은 욕망을 넘어서 개인의 사회적 성공조건이 되거나 사회적 지위 또는 부를 상징하는 기준이 될 만큼 생활 속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게 되었다(Kim & Lee, 2007). 또한 아름다운 외모를 가진 사람은 자기 스스로 만족을 느끼고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도 긍정적인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현대인들에게 있어서는 외모관리가 사회생활의 필수적인 요소로 인지되며, 외모관리를 위한 소비행동이 개인의 일상적 삶에, 그리고 사회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외모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의복인 이유는 무엇인가? 의류학 분야에서의 소비가치와 연관된 연구는 의복소비가치라는 개념을 특화되어 연구되어 왔으며, 소비자의 소비가치, 혹은 의복소비가치가 소비자들의 구체적이고 행동적인 차원을 측정하기에 적절한 변인으로 개인의 제품에 대한 구매행동과 의복 행동에 갖는 영향은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Hwang & Cho, 2012; Kim, 1999; Lim, 2005; Paik, 2000; Park & Lee, 2003; Ryou, 2002). 의복을 선택한다는 것은 자신이 기대 하는 외모를 갖기 위한 노력의 표시이자 의도적 행동이며 이는 결국 실제 향상 수단이 되어 그의 외모를 결정한다(Park & Yoo, 2013). 의복을 도구로 하여 의사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동시에 의복을 타인 평가 및 판단의 도구로 이용하기도 하여 의복에 개인의 가치관이 잘 반영될 것으로 예상되기에 의복을 포함한 외모관리행동에도 개인의 가치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의복이 자신의 외모를 더욱 돋보이게 함과 동시에 자신감도 높아지므로 외모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의복소비가치는 소비자행동의 일환인 외모관리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며, 외모 관련 제품 소비시장에서 영향력 있는 소비자 특성으로서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Choi, S. K., & Kang, K. J. (2007). A study of clothing value and makeup behavior of wome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6(2), 395-405. 

  2. Goffman, E. (1965). Identity kits. in M. E. Roach & J. B. Eicher (Eds.), Dress, adornment and the social order. New York: John Wiley & Sons. 

  3. Hakim, C. (2010). Erotic capital.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1-20. doi:10.1093/esr/jcq014 

  4. Han, H. J., & Kim, M. S. (2002). Relating consumption value to prepurchase decision making of appar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6), 853-864. 

  5. Hwang, J. S., & Cho, J. J. (2012). The comparison between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preferences of fashion brand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5(1), 57-68. 

  6. Hwang, J. S., & Kim, Y. H. (2006). The effect of appearance management on body ima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3), 143-155. 

  7. Hwang, Y. J. (2007).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elf-esteem, and physical attractiveness perceptiveness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Catholic University, Daegu. 

  8. Jung, U. J. (2011). A study on attitude and characteristics towards appearance care of adult ma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2(2), 27-45. 

  9. Kaiser, S. B. (1985).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and personal adornment. New York: Macmillan. 

  10.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New York: Macmillan. 

  11. Kang, H. W. (1995).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eoul: Gyomoon Publisher. 

  12. Kang, N. S. (2011). The effect of body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beauty consumption behavior.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ology, 9(1), 1-17. 

  13. Kim, E. J. (2001). A research on the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s in college wom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14. Kim, I. S., & Kim, E. H. (2014).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 Differential, material and practical value -.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6), 897-907. doi:10.5805/SFTI.2014.16.6.897 

  15. Kim, H. J. (2008). A study on th appearance involvement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 depending on narcissis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Kim, H. S., & Won, M. S. (2008). Life style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 among ambivalent clothing consuming behavior group. Journal of the Korean of Clothing and Textiles, spring workshop working paper, 63-64. 

  17. Kim, S. E. (2006). A study of the knowledge and the management of skin health among the male adults of Korean soc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8. Kim, S. H. (1999). A study on the structure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the relation between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clothing involvement and fashion leader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Kim, S. H. (2003).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 Focused on females in their twenties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5), 99-108. 

  20. Kim, S. N., & Lee, K. S. (2007). A research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20~40's women according to degree of appearance concer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1(4), 29-41. 

  21. Kim, Y. S., & Park, J. Y. (2009). The analysis on appearance management of male college students: Focused on management of hair, skin, cosmetic surgery, fashion and body shap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1), 259-273. doi:10.5934/KJHE.2009.18.1.259 

  22. Kwon, M. W. (2000). Consumption value and rationality of consumption behavior of adolescent consum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3. Lee, H. O. (2008). A structural study on the interpersonal appearance factors influencing on cosmeceuticals usage inten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4. Lee, H. O., & Ku, Y. S. (2014). Study on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n appearance concer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6), 888-896. doi:10.5805/SFTI.2014.16.6.888 

  25. Lee, J. H. (2003). A study on the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s in university man - As related to sex role identity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6. Lee, M. H., & Yoo, H. S. (2011). Relationship between shangri-la syndrom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3(2), 194-204. 

  27. Lim, K. P. (2005). Transactions : A study on the women consumers'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involvement - Comparative analysis of large and small city -. Journal of the Korean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68-78. 

  28. Moon, H. K., & Choo, H. J. (2008).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on ambivalent clothing consum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2), 1-14. 

  29. Oh, S. Y. (2012). The appearance involvement of a consumer population according to the values and a buying behavior of the skin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0. Paik, S. Y. (2000). The effect of adolescents' consumption values on the clothing products evalu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1. Park, E. H., & Ku, Y. S. (2008). Fashion product purchasing behavior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consumption value typolog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4), 759-769. doi:10.5934/KJHE.2008.17.4.759 

  32. Park, H. J., & Park, S. H. (2011). The effects of fashion and beauty consumption behavior on self-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of Clothing and Textiles, 35(11), 1285-1296. doi:10.5850/JKSCT.2011.35.11.1285 

  33. Park, H. W., Kim, H., & Lim, S. J. (2005). A study on clothing behavior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based on valu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103-113. 

  34. Park, K. W., & Kim, I. S. (2013). Differenc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lifestyle group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4), 554-564. doi:10.5805/SFTI.2013.15.4.554 

  35. Park, T. H., & Lee, M. S. (2003).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consumer satisfaction of buyers at department store and mark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7), 83-94. 

  36. Park, K. H. (2000). A study on consumer values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1(1), 49-58. 

  37. Park, K. H., & Yoo, H. S. (2012). An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appearance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Economics Association, 50(1), 51-63. doi:10.6115/khea.2012.50.1.051 

  38. Park, K. H., & Yoo, H. S. (2013). Effects of appearance interes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clothing conformity.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2), 210-218. doi:10.5805/SFTI.2013.15.2.210 

  39. Park, S. J., & Park, K. S. (2008). The changing aspect of appearance in male fashion magazin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1), 105-114. doi:10.5934/KJHE.2008.17.1.105 

  40. Park, T. H., & Lee, M. H. (2003).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consumer satisfaction of buyers at department store and mark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7), 83-94. 

  41. Rha, S. I., & Lee, M. J. (2004). Fashion trend preferences according to clothing consumption values - Focusing on career women -.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6(3), 314-328. 

  42.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43. Ryou, E. J. (2002). A study on the effect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on service quality of internet apparel shopping m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3), 161-169. 

  44.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doi:10.1016/0148-2963(91)90050-8 

  45. Vinson, D. E., Scott, J. E., & Lamont, L. M. (1977). The role of personal values in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April, 44-55. doi:10.2307/12506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