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FLP 마커를 이용한 소규모 사시나무림의 공간적 유전구조 구명
Fine-scale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a Small Natural Stand of Populus davidiana in South Korea using AFLP markers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5 no.3, 2016년, pp.309 - 314  

이민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  홍경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  박유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  이제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  임효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변화하는 자연환경에서 식물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유전다양성을 유지할 뿐 아니라 지역적응성을 갖추어야 세대를 성공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다. 만약 유전다양성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면 집단이 쇠퇴하고 소멸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본 연구는 주변 집단으로 부터 화분이나 종자의 유입이 어려운 소규모 사시나무 집단의 유전구조를 구명하였다. 월악산 미륵리의 사시나무림은 전체 분포면적 $14,000m^2$에 성목은 350개체로 추정되며, 임분내에 설정한 $70m{\times}70m$ 조사구에 출현하는 123개체 중 61개체를 대상으로 AFLP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변이를 분석하였다. 조사구내 사시나무의 수령은 평균 16년 최고 32년생이었으며, 개체의 공간적 분포는 약한 밀집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AFLP primer 6조합에서 196개 증폭산물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151개는 다형성을 보였다. primer 조합당 평균 유전자좌수는 32.7(표준편차=7.2), 이형접합도 기대치($H_e$)는 0.154, Shannon의 다양성 지수(S.I.)는 0.254로 나타나서, 월악산 사시나무는 우리나라 사시나무 집단 평균에 비하여 매우 낮은 유전다양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유전구조는 24 m 이내에서 분포하는 개체들 간에 유전적 유사성이 나타났으며, 소규모 면적과 고립된 분포지 특성으로 인하여 비교적 작은 유전군락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ocally adapted plant population under harsh environmental changes might survive for a long generation through maintaining proper level of genetic diversity. When it happens losing the genetic diversity too much fast, the population could be declining and probably become extinct. An isolated sma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AFLP 마커를 이용하여 주변 집단으로부터 고립되어 소규모로 존재하는 월악산 사시나무 집단의 유전다양성을 측정하고 개체들의 공간분포 특성에 따른 유전구조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월악산 사시나무 집단의 유전다양성과 공간적 유전구조를 구명하였다. 월악산 사시나무림은 일본잎갈나무 채종원내에 폭 70 m, 길이 200 m 띠모양으로 전체 14,000 m2면적에 350개체가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임의로 설정된 조사구 4,900 m2 내에 123개체 중 61개체를 대상으로 유전변이를 분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시나무속 수종의 특징은 무엇인가? 사시나무속 수종들은 번식이 쉽고 생장이 빠르며, 유전체의 크기가 작은 특징 때문에 임목유전학의 모델 수종으로 이용되고 있다(Bradshaw et al., 2000).
사시나무의 껌질과 목재는 어떻게 쓰이는가? , 2005), 수고 20 m, 지름 1 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 교목으로 꽃은 4월에 암수딴그루로 피며, 종자는 5월경에 성숙한다. 껍질은 한약재(Choi et al., 2013), 목재는 가구재로 쓰인다(Kim,2009). 극동러시아, 중국, 일본에 분포하고 있으며, 북한에는 함경남북도, 평안남도, 남한에서는 태백산을 중심으로 해발 400 m - 600 m에 자생하는 수종이고, 최남단 분포지는 대구의 팔공산으로 알려져 있다(Noh et al.
AFLP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AFLP는 우성마커로써 정확한 이형접합도를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고 순도 높은 template DNA와 염기서열분석기를 사용해야 하는 등 비교적 높은 실험기술을 필요로한다(Mba and Tohme, 2005). 그러나 다른 우성마커에 비하여 재현성이 우수하고 많은 다형성 표지자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집단의 유전 분화나 클론 번식과(clonality) 같은 유전구조의 분석뿐 아니라 종과 품종의 식별, 계통유전학 연구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Meudt and Clarke,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ooy, G., Hendriks, R.J.J., Smulders, M.J.M., Groenendael, J.V., and Vosman, B. 2000. Genetic diversity and the survival of populations. Plant Biology 2(4): 379-395. 

  2. Bradshaw, H.D., Ceulemans, R., Davis, J., and Stettler, R. 2000. Emerging model systems in plant biology: poplar (Populus) as a model forest tree. Journal of Plant Growth Regulation 19(3): 306-313. 

  3. Cervera, M.T., Storme, V., Soto, A., Ivens, B., Van Montagu, M., Rajora, O.P., and Boerjan, W. 2005. Intraspecific and interspecific genetic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Genus Populus based on AFLP markers. Theoretical and Applied Genetics 111(7): 1440-1456. 

  4. Chang, C.S., Kim, H., and Chang, K.S. 201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Design Post. Gyeonggido, Republic of Korea. pp. 510. 

  5. Choi, G.Y., Kang, Y.M., Moon, B.C., and Kim, H.Y. 2013. A comparative study about the origins of crude drugs in the northeast asian pharmacopoeias: centered on same name of materials but different genus. Korea Journal of Herbology 28(5): 103-111. 

  6. Clark, P.J., and Evans, F,C. 1954. Distance to nearest neighbor as a measure of spatial relationships in populations. Ecology 35(4): 445-453. 

  7. Ellstrand, N.C. and Elam, D.R. 1993. Population genetic consequences of small population size: implications for plant conservation.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4: 217-242. 

  8. Epperson, B.K. 1992. Spatial structure of genetic variation within populations of forest trees. New Forests 6(1): 257-278. 

  9. Fossati, T., Patrignani, G., Zapelli, I., Sabatti, M., Sala, F., and Castiglione, S. 2004.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s to assess the level of introgression of Populus tremula into P. alba natural populations. Plant Breeding 123(4): 382-385. 

  10. Han, S.U., Kim, C.S., Kang, K.S., and Oh, C.Y. 2007. Management of Seed Orchard for the Production of Improved Seed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uwon, Republic of Korea. pp. 256. 

  11. Hedrick, P.W. and Kalinowski, S.T. 2000. Inbreeding depression in conservation biology.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31: 139-162. 

  12. Hong, K.N. 1997. Molecular Phylogeny of Section Leuce and Genetic Variation of Natural Pouplations of Populus davidiana in Korea Based on RAPD Marker Analysi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pp. 88. 

  13. Jang, C.S., Yang, S.G., Jang, H.D., Lee, R.Y., Park, M.S., Kim, K.H., and Oh, B.U. 2015. Floristic study of Worak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8(1): 35-63. 

  14. Kang, H.K., Back, S.J., and Kim, S.H. 2013.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Yonghagugok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4): 487-497. 

  15. Kim, D.K.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ooden furniture used with dyed glued laminated wood.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20(1): 82-94. 

  16. Lande, R. and Shannon, S. 1996. The role of genetic variation in adaptation and population persistence in a changing environment. Evolution 50(1): 434-437. 

  17. Leimu, R. and Fischer, M. 2008. A meta analysis of local adaptation in plants. Plos One 4(12): 4010. 

  18. Lee, K.M., Kim, Y.Y., and Chung J.M. 2009. Genetic diversity of natural populations of Populus maximowiczii Henry in Korea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 analysis. pp. 129-138. In: Korean Forest Society. Proceedings of Korean Forest Society. Donggu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9. Lee, K.M., Kim, Y.Y., and Jung, O.H. 2011. Genetic variation in populations of Populus davidiana Dode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 analysis. Genes and Genomics 33(2): 163-171. 

  20. Lee, J.Y., Oh, J.G., Jung, S.H., and Kim, H.S. 2015a.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the Geumsusan and Doraksan area in the Worak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2): 129-138. 

  21. Lee, J.Y., Oh, J.G., Jang, I.S., and Kim, H.S. 2015b.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the Youngbong area in the Worak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1): 51-60. 

  22. Mba, C. and Tohme, J. 2005. Use of AFLP markers in surveys of plant diversity. Methods in Enzymology 395: 177-201. 

  23. Meudt, H.M. and Clarke, A.C. 2007. Almost forgotten or latest practice? AFLP applications, analyses and advances. Trends in Plant Science 12(3): 106-117. 

  24. Mariette, S., Chagne, D., Lezier, C., Pastuszka, P., Raffin, A., Plomion, C., and Kremer, A. 2001. Genetic diversity within and among Pinus pinaster populations: comparison between AFLP and microsatellite markers. Heredity 86(4): 469-479. 

  25. Nybom, H. 2004. Comparison of different nuclear DNA markers for estimating intraspecific genetic diversity in plants. Molecular Ecology 13(5): 1143-1155. 

  26. Noh E.R., Lee S.K., Koo Y.B., and Byun K.O. 1994. Heritability and genetic gain of height in Populus davidiana in 4 year old clonal tes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3(2): 239-245. 

  27. Noh, E.R., Lee, S.K., Koo, Y.B., and Hong, R.P. 1989. Growth patterns and variation of some economic characteristics in selected Korean aspen (Populus davidiana Dode). pp. 11-29. In: Forest Genetics Research Institute. Research Report of the Forest Genetics Research Institute. Suwon. Kyonggido, Republic of Korea. 

  28. Peng, Y.H., Lu, Z.X., Chen, K., Luukkanen, O., Korpelainen, H., and Lu, C.Y. 2005. Population genetic survey of Populus cathayana originating from southeastern Qinghai Tibetan plateau of China based on SSR markers. Silvae Genetica 54(3): 116-122. 

  29. Reed, D.H. and Frankham, R. 2003. Correlation between fitness and genetic diversity. Conservation Biology 17(1): 230-237. 

  30. Rathmacher, G., Niggemann, M., Kohnen, M., Ziegenhagen., and Bialozyt, R. 2009. Short distance gene flow in Populus nigra L. accounts for small scale spatial genetic structures: implications for in situ conservation measures. Conservation Genetics 11(4): 1327-1338. 

  31. Ripley, B.D. 1981. Spatial Statistics: Wiley Series in Probability and Mathematical Statistics. Wiley Interscience. New York, U.S.A. pp. 272. 

  32. Shin, S.K., Song, J.H., Lim, H.I., Jang, K.H., Hong, K.N., and Lee, J.W. 2014. Genetic diversity and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Populus koreana population in Mt. Odae,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1): 59-64. 

  33. Smouse, P.E. and Peakall, R. 1999.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of individual multiallele and mutlilocus genetic structure. Heredity 82: 561-573. 

  34. Ueno, S., Aoki, K., and Tsumura, Y. 2009. Generation of expressed sequence tags and development of microsatellite markers for Castanopsis sieboldii var. sieboldii (Fagaceae). Annals of Forest Science 66(5): 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