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한 소나무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분석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R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and Climatic Factors Based on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2, 2017년, pp.249 - 257  

임종환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센터) ,  박고은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센터) ,  문나현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문가현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에 의해 수집한 소나무의 연륜생장 목편자료에 근거하여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소나무의 연도별 생장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제5차 국가산림자원조사에서 수집된 1951년부터 2010년까지 60년 동안의 연륜생장 자료를 정리하였다. 또한 소나무가 분포하는 시군을 대상으로 일별 평균기온과 강수량의 기상정보에 근거하여 연도별 생장도일과 표준강수지수를 산출하였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기후조건이 소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연도별 온도효과지수와 강수효과지수를 추정하였으며, 이들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는 소나무의 연륜생장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추정식을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에 적용함으로써 기후변화가 소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2011년부터 2100년까지 90년 동안의 연륜생장 변화를 예측한 결과 시간이 경과하면서 연륜생장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RCP 4.5 시나리오를 적용하면 상대적으로 생장감소가 적은 반면, RCP 8.5를 적용하면 2050년 이후에는 큰 폭으로 연륜생장이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소나무의 지역별 생장특성의 추정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생장패턴의 변화 예측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r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and climate factors based on national forest inventory(NFI) data. Annual tree-ring growth data of P. densiflora collected by the $5^{th}$ NFI were first organized to analyze yearly growth p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 수종인 소나무를 대상으로 기후인자가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산림자원조사를 통해 수집한 소나무 연륜 생장 자료에 대해 연륜기후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크로스데이팅과 표준화 과정을 거쳐 기초 통계량을 산출 한 후 연륜연대기를 작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온 및 강수량 등의 인자를 파악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임목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온과 강수량으로 알려져 있다(Sander, 1971; Kira, 1976; Woodward and Rochefort, 1991). 기온 및 강수량과 같은 기후인자가 임목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은 임목과 환경요인 사이의 상호관계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과정이다. 특히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변화가 산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산림생태계의 주요 구성요소인 임목생장과 기후인자 간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통해 결과적으로 소나무가 어떠할 것으로 예측되는가? 이는 기후변화에 따른 연도별 강수량의 변이와 함께 지속적인 기온 상승이 연륜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현재와 같은 기후변화가 지속될 경우 소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일정한 정도의 생장감소와 함께 분포지역은 높은 위도 또는 고산지역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된다.
기후변화로 인한 산림의 피해를 줄이려면 어떤 작업이 필요한가? 소나무는 우리나라 산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지만, 기후변화가 진행됨에 따라 생육분포 범위가 북쪽으로 이동하거나 고산지대로 축소될 것으로 예측되기도 하고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된다(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5).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한 산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대책 마련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소나무에 대한 연륜생장과 기후인자와의 관계를 구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기후-연륜생장 관계식을 개발한 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기후변화가 소나무의 연륜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rbatzis, A.A. and Burkhart, H.E. 1992. An evaluation of sampling methods and model forms for estimating height-diameter relationships in loblolly pine plantation. Forest Science 38(1): 192-198. 

  2. Blasing, T.J., Duvick, D.N., and Cook, E.R. 1983. Filtering the effects of competition from ring-width series. Tree-Ring Bulletin 43: 19-29. 

  3. Botkin, D.B., Janak, J.F., and Wallis, J.R. 1972. Some consequence of a computer model of forest growth. Journal of Ecology 60: 849-873. 

  4. Box, G.E.P., Jenkins, G.M., and Reinsel, G.C. 1994. Time series analysis-forecasting and control.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pp. 297. 

  5. Briffa, K.R. and Jones, P.D. 1990. Basic chronology statistics and assessment. pp. 137-152. 

  6. Choi, J.N., Yu, K.B., and Park, W.K. 1992. Paleoclimate reconstruction for Chungbu Mountainous Region using tree-ring chronology.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6(1): 21-32. 

  7. Colorado Climate Center. 2004. Colorado Climate Center Web Page. http://ulysses.atomos.colostate.edu/standardizedprecipitation.php. 

  8. Cook, E.R. and Peter, K. 1981. The smoothing spline: a new approach to standardizing forest interior tree-ring width series for dendroclimatic studies. Tee-Ring Bulletin 41: 45-53. 

  9. Fritts, H.C. 1976. Tree Rings and Climate. Academic Press. New York (USA). pp. 567. 

  10. Fritts, H.C. and Swetnam, T.W. 1989. Dendroecology:a tool for evaluating variations in past and present forest environments. In: M. Begon, A.H. Fitter, E.D. Ford, and A. Macfadyen, eds., Advances in Ecological Research, Vol. 19. Academic Press, London. pp. 111-188. 

  11. Hassan, Q.K. and Bourque, C.P.A. 2009. Potential species distribution of Balsam Fir based on the integration of biophysical variables derived with remote sensing and process-based methods. Remote Sensing 1: 393-407. 

  12. Holmes, R.L. 1983. Computer-assisted quality control in treering dating and measurement. Tree-Ring Bulletin 43: 69-78. 

  13. Kira, T. 1945. A new classification if climate in eastern Asia as the basis for agricultural geography. Horticultural Institute, Kyoto University, Kyoto. Japan. pp. 28. 

  14. Kira, T. 1976. Terrestrial Ecosystem: A General Survey. Kyoritsu Publication. Tokyo, Japan. pp. 166. 

  15. Korea Forest Service. 2005. A study on the reformation of national forest inventory system by the chang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ditions(IV). pp. 290. (in Korean) 

  16. Korea Forest Service. 2012. Tree-ring DB Construction. pp. 299. (in Korean). 

  17. Lee, S.T., Park, M.S., Jun, H.Y., Park, J.Y. and Chou, H.S. 2008. The effects of climate factors on the tree r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4): 177-186. 

  18. Lim, J.H. 1998. A forest dynamics model based on topographically-induced heterogeneity in solar radiation and soil moisture on the Kwanfneung experimental forest.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145. 

  19. Lloyd-Hughes, B. and Saunders, M.A. 2002. A drought climatology for Europe.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2: 1571-1592. 

  20.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In Proceeding of the Nin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179-184. 

  21.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5. Relationships between growth of main tree species and climatic factors based on tree-ring analysis. pp. 165. (in Korean) 

  22.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6. Relationships between growth of main tree species and climatic factors based on tree-ring analysis(2). pp. 148. (in Korean) 

  23. Rigling, A., Waldner, P.O., Forster, T., Braker, O.U., and Pouttu, A. 2001. Ecological interpretation of tree-ring width and intraannual density fluctuations in Pinus sylvestris on dry sites in the central Alps and Siberia.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1: 18-31. 

  24. Sander D. H. 1971. Soil properties and siberian elm tree growth in Nebraska wind-break. Soil Science. 112(5): 357-363. 

  25. Seo, J.W. and Park, W.K. 2002. Reconstruction of May precipitation (317 years: AD 1682-1998) using tree rings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western Sorak Mt.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6(1): 29-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Shin, M.Y. 1990. The use of ridge regression for yield prediction models with multicolinearity. J. of Korean Forest Society 79(3): 260-268. 

  27. Snee, R.D. 1977. Validation of regression models: Methods and Examples. Technometrics 19: 415-428. 

  28. Son, B.H., Kim, J.H., Nam, T.K., Lee, K.H. and Park, W.K. 2011.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analysis of wood elements in Daesungjeon of Jipyeong Hyanggyo, Yangpyeong, Korea. Mokchae Konghak 39(3): 213-2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Speer, J.H. 2010. Fundamentals of tree-ring research. University of Arizona Press. Arizona (USA). pp. 368. 

  30. Thom, H.C.S. 1966. Same methods of climatological analyses.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Geneva, pp. 53. 

  31. Wigley, T.M.L., Briffa, K.R. and Jones, P.D. 1984. On the average value of correlated time series with applications in dendroclimatology and hydrometeorology.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23(2): 201-213. 

  32. Woodward, F.I. and Rochefort, L. 1991. Sensitivity analysis of vegetation diversity to environmental change.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Letters 1: 7-23. 

  33. Wu, H., Hayes, M, Wilhite, D.A. and Svoboda, M.D. 2005. The effect of the length of record on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calc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5: 505-520. 

  34. Yim, Y.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7: 177-189. 

  35. Zobel, B.J. and Van Buijtenen, J.P. 1989. Wood variation: Its causes and control. Springer Verlag, Berlin. pp. 3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