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도 및 생장조절제가 국내 육성 사과 품종의 화분발아율 및 화분관 신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Growth of Apple Cultivars Bred in Korea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5 no.3, 2016년, pp.184 - 192  

권헌중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  박무용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  송양익 (국립종자원 품종보호과) ,  손광민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지원기획과) ,  사공동훈 (대구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시험은 만개기 기온($15{\sim}40^{\circ}C$) 및 생장조절제($GA_{4+7}+BA$와 prohexadione-calcium) 살포가 국내 주요 사과 품종('후지', '쓰가루')과 국내에서 육성한 품종들('추광', '감홍', '홍안', '홍금', '홍로', '홍소', '화홍', '섬머드림', '선홍')의 화분 발아율 및 화분관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15^{\circ}C$부터 $25^{\circ}C$까지 온도가 올라갈수록 화분 발아율과 화분관 신장 길이는 증가되었으나, $30^{\circ}C$ 이상의 고온은 화분 발아율과 화분관 신장 길이를 억제시켰다. $3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화분 발아율과 화분관 신장 길이가 가장 높았던 국내 육성 사과품종은 '선홍'이었다. $GA_{4+7}+BA$ 살포는 무처리구에 비해 화분 발아율 및 화분관 신장 길이를 증진시켰으나, 이러한 효과는 $40^{\circ}C$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prohexadione-calcium 살포는 화분 발아율과 화분관 신장 길이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과나무 만개기 기온이 $30{\sim}35^{\circ}C$ 정도로 높아지면, 인공수분$GA_{4+7}+BA$를 살포하는 것이 착과 증진에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erature ($15{\sim}40^{\circ}C$) and the spraying plant growth regulators ($GA_{4+7}+BA$ and prohexadione-calcium) during full blooming on pollen germination and pollen tube growth of the commercial apple cultivars ('F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시험은 개화기 고온에 의한 사과나무의 수분, 수정 불량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국내 육성 사과품종들을 대상으로 기온 및 생장조절제가 화분 발아율 및 화분관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정된 결실을 위하여 사과나무를 인공수분 시켜야 하는 경우는? 사과나무는 대표적인 타가수정작물로, 결실을 시키기 위해서는 주품종과 교배친화성이 높은 수분수를 혼식해야 한다(Dennis, 2003). 그러나 개화기의 이상기온과 농약의 남용에 의해 화분 매개곤충이 감소하거나, 기상 및 재배조건에 의해 수분수의 개화기가 주품종과 서로 일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안정된 결실을 위하여 인공수분을 실시해야 한다(Yim 등, 2015).
사과나무가 수분된 후에 저온이 닥치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가? 인공수분에 의해 화분이 꽃의 주두에 안정적으로 수분되더라도 화분 발아 및 화분관 신장이 순조로워야 결실이 가능한데, 수분된 후에 저온이 닥치면 수분된 화분이 발아되지 않거나 화분관 신장이 불량하여 수정이 되지 않는다(Shin과 Kim, 2004). 사과나무의 경우, 화분관이 자방에 도달할 때까지 소요되는 일수는 15°C에서 2일, 13°C에서 4일, 9°C에서는 8일 정도(Palmer 등, 2003)로, 품종 및 생리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기온이 낮을수록 화분 발아율이 불량해진다(Dennis, 2003; Wertheim과 Schmidt, 2005).
병해충 방제 및 과실품질 향상을 목적으로 사과나무 만개기 전후로 살포하는 약제는?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병해충 방제 및 과실품질 향상을 목적으로 만개기 전후로 살균제, 적과제, 과실 비대제인 gibberellic acid4+7+benzyladenine(GA4+7+BA)과 수세조절용으로 지베렐린 생합성 억제제인 prohexadionecalcium(Pro-Ca)을 살포하고 있는데(Byun 등, 1999; Paek과 Cheong, 1977; Sagong 등, 2014; Yoo 등, 2016), 이러한 약제들의 효과는 품종의 감수성 및 살포 전후의 기상조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Yoder 등, 2009).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국내 육성 사과품종들의 온도별 화분 발아율에 대한 연구가 없을 뿐 아니라 이러한 약제처리가 기온별로 사과의 화분 발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연구한 바가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yun, J.K., T.G. Kang, and D.H. Lee. 1999. Effect of $GA_{4+7}$ + BA application at flowering stage on fruit development and seed formation of 'Fuji' apples.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40(2):213-216. 

  2. Cheon, B.D, J.S, Kang, and Y.W. Choi. 1999. Effect of sucrose calcium and boron added in the medium on pollen germination of peach (Prunus persica $S_{IEB}$ ). Journal of Agricultural Technology and Development Institute. 3(1):33-38. 

  3. Dennis, F.G., Jr. 2003. Flowering, pollination and fruit set and development. p. 157-160. In: D.C Ferree and I.J. Warrington (eds.). Apples; botany, production and uses. CABI Publishing, Cambridge, MA, USA. 

  4. Greene. D.W. 1999. Tree growth management and fruit quality of apple trees treated with prohexadione-calcium (BAS125). HortScience. 34(7)1209-1212. 

  5. Heo, S., S.E. Han, S.I. Kwon, J.H. Jun, M.J. Kim, and H.J. Lee. 2011. Identification of S-allele genotypes of Korean apple cultivars by using allele-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52(2):158-162. 

  6. Hopping, M.E. and E.M. Jerram. 1980. Supplementary pollination of tree fruits. I. Development of suspension media. New Zealand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23(4):509-515. 

  7. Hopping, M.E. and L.M. Simpson. 1982. Supplementary pollination of tree fruits. ?. Suspension media for kiwifruit pollen. New Zealand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25(4):245-250. 

  8. Kweon, H.J., D.H. Sagong, M.Y. Park, Y.Y. Song, K.H. Chung, J.C. Nam, J.H. Han, G.R. Do. 2013. Influence of $CO_2$ and air temperature on photosynthesis,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of 'Fuji'/M.9 apple tree.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4):245-263. 

  9. Lee, J.W., S.I. Kwon, J.H. Kim, and M.J. Kim. 2013. Mating compatibility between new apple from Korea and major cultivated varieties using artificial pollination and PCR test.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1(Supply II):134-135. 

  10. Ma, Y.H., F.W. ma, J.K. Zhang, M.J. Li, Y.H. Wamg, and D. Liang. 2008. Effects of high temperature on activities and gene expression of enzymes involved in ascorbate-glutathione cycle in apple leaves. Plant Science. 175(6):761-766. 

  11. Maita, S. and C. Sotomayor. 2015. The effect of three plant bioregulators on pollengermination, pollen tube growth and fruit set in almond [Prunus dulcis (Mill.) D.A. Webb] cvs. Non Pareil and Carmel. Electronic Journal of Biotechnology. 18(5):381-386. 

  12. Marcucci, M.C., T. Visser, and M.V. Tuyl. 1982. Pollen and pollination experiments. VI. Heat resistance of pollen. Euphytica. 31(2):287-290. 

  13. Paek, K.Y. and S.T. Cheong. 1977. Effects of pesticides on pollen germination and fruit set in apple and pear cultivars during blooming periods.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18(2):125-136. 

  14. Palmer, J,W., J.P. Prive, D.S. Tustin. 2003. Temperature. p. 225-227. In: D.C Ferree and I.J. Warrington (eds.). Apples; botany, production and uses. CABI Publishing, Cambridge, MA, USA. 

  15. Park, J.G., J.S. Hong, I.M. Choi, J.B. Kim, S.H. Kim, and H.S. Park. 1998. Applications of artificial pollination, spraying gibberellin A4+7 plus benzyladenine for production of uniform fruits in 'Fuji' apple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6(1):27-29. 

  16. Petropoulou, S.P. and F.H. Alston. 1998. Selecting for improved pollination at low temperatures in apple. The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Biotechnology. 73(4):507-512. 

  17. Sagong, D.H. Y.Y. Song, M.Y. Park, H.J. Kweon, M.J. Kim, T.M. Yoon. 2014. Photosynthesis, shoot growth and fruit quality in 'Fuji'/M.9 mature apple trees in response to prohexadione-calcium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2(6):762-770. 

  18. Seo, H.H. and K.M. Noh. 2010. Countermeasure of meteorological disaster and wild animal demage. p. 347. In: Y.J. Yim (ed.). Luxury strategy of apple. Semyung Press, Suwon, Korea. 

  19. Shin, Y.U. and T.C. Kim. 2004. Flowering and fruit set. p. 162-165. In: D.S. Oh (ed). Fruit tree physiology in relation to temperature. Gilmogm Press., Seoul, Korea. 

  20. Shin, Y.U. and M.J. Kim. 2010. Cultivar. p. 78-79. In: Y.J. Yim (ed.). Luxury strategy of apple. Semyung Press, Suwon, Korea. 

  21. Wertheim, S.J. and H. Schmidt. 2005. Flowering, pollination and fruit set. p. 220-226. In: J. Tromp, J.T. Webster, and S.J. Wertheim (eds.). Fundamentals of temperate zone tree fruit production. Backhuys publishers, Leiden. 

  22. Yim, Y.J. 2015. Fruit science general. 1st ed. Hyangmoonsha Press. Seoul. Korea. p. 176-177. 

  23. Yoo, J. B.K, Kang, D.H. Kim, J. Lee, D.H. Lee, H.J. Kweon, I.M. Choi, H.Y. Jung, M.G. Choung, D.G. Choi, I.K. Kang. 2016. Effect of flower and fruit thiner on fruit set and fruit quality of 'Gamhong Apple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4(1):24-31. 

  24. Yoder, K., R. Yuan, L. Combs, R. Byers, J. McFerson, and T. Schmidt. 2009. Effects of Temperature and the combination of liquid lime sulfur and fish oil on pollen germination, pollen tube growth, and fruit set in apples. HortScience. 44(5):1277-1283. 

  25. Zechmann, B., B. E. Koffler, and S.D. Russell. 2011. Glutathione synthesis is essential for pollen germination in vitro. Bio Med Centra plant biology. 11: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