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상의 재생 스타일에 따른 감성적 효과와 감성 평가 도구의 개발
Affective Effect of Video Playback Style and its Assessment Tool Development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9 no.3, 2016년, pp.103 - 120  

정경아 (KAIST 산업디자인학과) ,  석현정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상의 시간적 요소를 제어하였을 때 어떠한 감성적 효과가 나타나는가를 탐구하였고,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영상 감성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는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원본 영상 대비 영상의 재생 스타일 적용이 야기할 수 있는 감성적 가치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영상의 배속, 방향성, 연속성 등 세가지 시간적 요소를 제어해 총 11 가지의 재생 스타일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재생 스타일 각각에 대하여 원본 영상과 견주어 어떠한 감성적 효과가 부가되는가를 어휘 형태로 수집하였다. 원본 영상으로는 중성적인 감성과 네 개의 감성 영상 - 기쁨, 여유로움, 화남, 슬픔 - 을 활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N=30) 총 3,800 개의 단어들이 수집되었으며, 위 단어들은 899 종의 감성 어휘로 정리되었다. 그리고 감성 어휘들은 유의어 관계에 의해 총 52 가지의 감성 어휘 군집으로 최종 분류되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재생 스타일이 적용된 영상의 감성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극물로 재생 스타일이 적용된 11 가지 상업적 영상물을 수집하고, 각 영상을 재생 스타일이 적용되지 않은 원본 영상으로 변환하였다. 그리고 첫 번째 실험과 같이 재생 스타일이 적용된 영상과 원본 영상을 동시에 제시해, 재생 스타일에 의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자들은 (N=30) 감성 어휘 899 종 가운데 선별된 대표적인 영상 감성 어휘 38개에 대해 5 점 척도로 응답하였다. 요인 분석법을 통해 응답을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감성 요인 - 기쁨, 슬픔, 회상적, 이상함 - 이 추출되었다. 이 4개 요인은 보편적인 정서 이론가 비교하여 기쁨과 슬픔이 공존한다는 차이점을 나타내었다. 추가적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애니메이션 기반의 감성 평가 도구를 개발한 후 이에 대한 활용 가치 및 응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video playback styles affect viewers' emotional responses to a video and then suggested emotion assessment tool for playback-edited videos. The study involved two in-lab experiments. In the first experiment, observers were asked to express their feelings while watching v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상 편집 도구는 대상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영상 편집 도구는 대상에 따라 두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Adobe사의 After Effect®나 Premier® 등과 같이 전문가들을 위한 데스크톱 기반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가 있다. 둘째, 비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클립스(Clips)나 매지스토(Magisto) 등과 같이 간편한 편집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있다. 이처럼 다양한 목적과 사용자 환경에 부합하는 영상 편집 도구의 개발은 영상 편집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Hight, 2014).
영상 분야에서는 무엇이 시간적 요소로 분류되는가? (2008)는속도의 변화를 의미하는 ‘가속도’를 독립적인 요소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영상 분야에서는 시간, 속도, 그리고 가속도가 시간적 요소로 분류된다.
영상은 어떠한 플랫폼에서 효과적인 정보 전달 매체로 주목받는가? 영상은 유튜브(YouTube)와 페이스북(facebook)과 같은 소셜 플랫폼(platform)에서 효과적이고 직관적인 정보 전달 매체로 주목 받고 있다. 글이나 사진으로 표현하기에 힘든 부분을 동적인 표현으로 대체할 수 있고, 촬영 시간 대비 풍부한 동적 표현을 담을 수 있어 시청자의 몰입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누릴 수 있다(Lee & Kim; Perrault & Silk,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drienko, N., Andrienko, G., Pelekis, N., & Spaccapietra, S. (2008). Basic concepts of movement data. In F. Giannotti, D. Pedreschi (Eds.), Mobility, Data Mining and Privacy - Geographic Knowledge Discovery, Berlin: Springer, 15-38. 

  2. Block, B. (2008). The visual story: Creating the visual structure of film, TV and digital media, 2nd ed. Burlington, MA: Focal Press. 

  3. Bonneel, N., Sunkavalli, K., Paris, S., & Pfister, H. (2013). Example-based video color grading.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32(4), 39:1-39:12. 

  4. Bradley, M. M. & Lang, P. J. (1994). Measuring emotion: The self-assessment manikin and the semantic differential.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25(1), 49-59. 

  5. Cacioppo, J. T., Bush, L. K., & Tassinary, L. G. (1992). Microexpressive facial actions as a function of affective stimuli: Replication and extens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8(5), 515-526. 

  6. Choi, E. Y. & Choi, H. (2010). Production techniques for mobile motion pictures base on smart phon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esis Journal, 10(5), 115-123. 

  7. Desmet, P. (2003). Measuring emo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emotional responses to products. In M. Blythe, K. Overbeeke, A.F. Monk, P. Wright (Eds.), Funology: From Usability to Enjoyment,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11-123. 

  8. Detenber, B. H., Simons, R. F., & Reiss, J. E. (2000). The emotional significance of color in television presentations. Media Psychology, 2(4), 331-355. 

  9. Hight, C. (2014). Automation within digital videography: From the Ken Burns effect to 'meaning-making' engines. Studies in Documentary Film, 8(3), 235-250. 

  10. Jeong, K. A., Choi, K., & Suk, H. J. (2015). Affective effect by articulation of the speed and color attributes of a video. 2015 Spring Conference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015 한국색채학회 봄 학술 발표대회), 43-46. 

  11. Kim, B., Kim, Y., Kim, D., & Park, Y. (2014). Analysis of sensibility based on color compensation in movie and dram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8(2), 37-48. 

  12. Kim, K. B. & Kim, K. S. (2011). A study on UCC video editing for sensibility delivery.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2(4), 449-456. 

  13. Lang, P. J. (1980). Behavioral treatment and biobehavioral assessment: Computer applications. In J.B. Sidowski, J.H. Johnson, T.A. Williams (Eds.), Technology in mental health care delivery systems, Norwood, NJ: Ablex, 119-137. 

  14. Lang, P. J., Bradley, M. M., & Cuthbert, B. N. (2008).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APS): Affective ratings of pictures and instruction manual. Technical report A-8, Gainesville, FL: University of Florida. 

  15. Laban, R. (1975). Modern Educational Dance, 3rd ed. London: Macdonald & Evans. 

  16. Lee, H. & Kim, Y. (2010). Analyses of users' responses and eye-movement patterns according to internet advertising purposes and for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3(4), 195-206. 

  17. Nam, T. J., Lee, J. H., Park, S., & Suk, H. J. (2014).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emotion and physical mov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ffective Engineering, 13(3), 217-226. 

  18. Pearlman, K. (2009). Cutting Rhythms: Shaping the Film Edit, 1st ed. Burlington, MA: Focal Press. 

  19. Perrault, E. K. & Silk, K. J. (2014). Testing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videos to a website promoting environmental breast cancer risk reduction practices: Are videos worth it?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42(1), 20-40. 

  20. Schindler, K. & Van Gool, L. (2008). Action snippets: How many frames does human action recognition require? In Proceeding of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1-8. 

  21. Suk, H. J. & Irtel, H. (2010). Emotional response to color across media. Color Research & Application, 35(1), 64-77. 

  22. Visch, V. & Tan, E. (2007). Effect of film velocity on genre recognition. Media Psychology, 9(1), 59-75. 

  23. Zettl, H. (2001). Sight, Sound, Motion: Applied Media Aesthetics, 3th ed. Belmont, CA: Wadsworth.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