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죄책감과 수치심의 억제가 도덕적 판단, 의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uppressing Guilt and Shame on Moral Judgment, Intention, and Behavior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9 no.3, 2016년, pp.121 - 132  

한규은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김민영 (계명대학교 심리학과) ,  손영우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서는 도덕적 판단, 의도, 행동으로 구성된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여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 방법을 통하여 도덕적 정서인 죄책감과 수치심이 억제되었을 경우에 도덕적인 판단, 의도,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도덕과 관련된 정서가 도덕적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도덕과 관련된 정서(죄책감, 수치심)와 정서의 억제(억제, 대조집단)를 실험적으로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죄책감을 억제하는 것은 도덕적 판단과 의도에 관여되어있지만, 도덕적 행동은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 다시 말해, 죄책감을 유지했던 피험자들은 억제했던 피험자들보다 지문에 묘사된 도덕적인 상황을 더 도덕적이라고 판단하였으며 도덕적 행동에 대한 의도가 높았다. 반면 수치심을 억제하는 것은 도덕적 판단과 의도에 관여하지 않았지만, 도덕적인 행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였다. 수치심을 유지했던 피험자들은 억제했던 피험자들보다 실제 도덕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본 연구는 비연속적 정서이론을 적용하여 죄책감과 수치심이 억제되었을 경우, 도덕적 의사결정 단계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motion is considered to be involved in the moral decision-making process consisting of moral judgment, moral intention, and moral behavior.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distinct role of two specific moral emotions, guilt and shame, when they are suppressed, on moral judgment, moral intention,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는 비연속적 정서이론을 지지하며, 다른 정서는 생성과정 뿐만 아니라 현상학적으로도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정서의 개별적 특징으로 인하여, 의사결정과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나 부정적인 정서는 사회적응이나 개인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자동적으로 억제하려는 경향을 가지는데(Mauss, Bunge, & Gross, 2007), 본 연구는 죄책감이나 수치심과 같이 윤리적 의사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부정적인 정서를 억제하는 것이, 윤리적 의사 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부정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보완하여, 죄책감과 수치심을 억제하는 것이 도덕적인 의사결정 과정인, 도덕적 판단, 도덕적 의도, 그리고 도덕적 행동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온라인을 통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특히, 도덕적인 의도와 실제 도덕적인 행동을 하는 것의 차이를 죄책감의 억제와 수치심의 억제가 개별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덕적인 의사결정에 있어서 기존의 인지적인 부분에서 설명하려고 했던 부분들을 정서를 통하여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죄책감과 수치심이라는 두 가지 대표적인 도덕과 관련된 정서가 다른 역할을 함을 시사하며 죄책감과 수치심을 억제하는 것을 통한 도덕적 의사결정 과정의 연구에 이바지하였다.
  • 죄책감과 수치심의 다른 특징으로 인하여 두 정서가 도덕적인 의사결정 과정에 다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는 죄책감과 수치심을 억제하였을 경우, 도덕적 의사결정의 각 과정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차이점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보완하여, 죄책감과 수치심을 억제하는 것이 도덕적인 의사결정 과정인, 도덕적 판단, 도덕적 의도, 그리고 도덕적 행동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온라인을 통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특히, 도덕적인 의도와 실제 도덕적인 행동을 하는 것의 차이를 죄책감의 억제와 수치심의 억제가 개별적으로 관여한다는 것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우리는 죄책감을 억제하는 것은 도덕적인 의도를 낮출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도덕적인 의도에 앞서, 죄책감은 내면의 양심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Tangney, 1996a; Tangney et al, 2007), 개인의 도덕적 기준(moral standard)을 작동시키고 각 상황에서 도덕적인 판단을 유도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즉 죄책감을 억제할 경우, 도덕적인 상황을 바라볼 때 덜 도덕적으로 평가하게 되며 그 상황에 대한 의도가 감소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 죄책감과 수치심을 감소하고자 하는 과정에서는 인지적 자원이 비교적 덜 들며 자동적으로 정서를 조절할 수 있는 전략인 정서 억제(Zapf, 2002)의 방법을 흔히 사용한다. 본 연구는 도덕적 행동을 유발하는 죄책감과 수치심을 억제하게 되면, 도덕적인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제까지의 연구는 죄책감과 수치심을 억제하는 것이 구체적으로 도덕적인 의사결정 과정의 각 단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는 탐구하지 못하였다.
  • 즉, 정서는 각기 다른 상황에서 다른 메커니즘에 의해 유발되며, 정서 간에 명확히 구별되는 특징을 가진다고 주장하고 있다(Colombetti, 2009; see also Barrett, 1998; Barrett, Gendron, & Huang, 2009). 본 연구에서는 비연속적 정서이론을 적용하여, 윤리와 관련된 정서인 죄책감과 수치심은 구별되는 정서로 각각의 정서의 억제는 윤리적 의사결정에 있어서도 다른 결과를 이끌어 낸다고 가정하였다.
  • 이러한 죄책감과 수치심의 근본적인 특성의 차이 때문에, 죄책감과 수치심은 결과적으로 다른 심리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알려져 왔다(Tangney, 1991; 1993; Tangney, Wagner, Hill-Barlow, Marschall, & Gramzow, 1996b; Wicker, Payne, & Morgan, 1983). 죄책감과 수치심의 다른 특징으로 인하여 두 정서가 도덕적인 의사결정 과정에 다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는 죄책감과 수치심을 억제하였을 경우, 도덕적 의사결정의 각 과정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차이점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의 특징은 무엇인가? 정서는 도덕적 판단, 의도, 행동으로 구성된 도덕적 의사결정에 관여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 방법을 통하여 도덕적 정서인 죄책감과 수치심이 억제되었을 경우에 도덕적인 판단, 의도,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도덕적인 의사결정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일상 속에서 다양한 도덕적 딜레마들을 경험하며 도덕적으로 행동할지에 대한 의사결정과정을 경험한다. 도덕적인 의사결정이란 윤리적인 의사결정보다 더 넓은 의미로 법적인 제제와 상관없이 개인의 도덕적 잣대나 사회적 기준에 의하여 옳고 그름이 정의되는 것을 말한다(Freeman, Reed, Felps, & Lim, 2009; Geno, 2012). 이에 죄책감과 수치심은 도덕적인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왔다(de Hooge, Zeelenberg, & Breugelmans, 2007; de Hooge, Breugelmans, & Zeelenberg, 2008; de Hooge, Nelissen, Breugelmans, & Zeelenberg, 2011; Steenhaut & van Kenhove, 2006; Tangney, Stuewig, & Mashek, 2007).
정서가 도덕적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도덕과 관련된 정서와 정서의 억제를 실험적으로 조작한 결과는 무엇인가? 도덕과 관련된 정서가 도덕적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도출하기 위하여, 도덕과 관련된 정서(죄책감, 수치심)와 정서의 억제(억제, 대조집단)를 실험적으로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죄책감을 억제하는 것은 도덕적 판단과 의도에 관여되어있지만, 도덕적 행동은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 다시 말해, 죄책감을 유지했던 피험자들은 억제했던 피험자들보다 지문에 묘사된 도덕적인 상황을 더 도덕적이라고 판단하였으며 도덕적 행동에 대한 의도가 높았다. 반면 수치심을 억제하는 것은 도덕적 판단과 의도에 관여하지 않았지만, 도덕적인 행동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였다. 수치심을 유지했던 피험자들은 억제했던 피험자들보다 실제 도덕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본 연구는 비연속적 정서이론을 적용하여 죄책감과 수치심이 억제되었을 경우, 도덕적 의사결정 단계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quino, K., Freeman, D., Reed II, A., Lim, V. K., & Felps, W. (2009). Testing a social-cognitive model of moral behavior: the interactive influence of situations and moral identity centr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7(1), 123-141. 

  2. Barrett, L. F. (1998). Discrete emotions or dimensions? The role of valence focus and arousal focus. Cognition and Emotion, 12(4), 579-599. 

  3. Barrett, L. F., Gendron, M., & Huang, Y. M. (2009). Do discrete emotions exist? Philosophical Psychology, 22(4), 427-437. 

  4. Bazerman, M. H., & Gino, F. (2012). Behavioral ethics: Toward a deeper understanding of moral judgment and dishonesty. Annual Review of Law and Social Science, 8, 85104.DOI:10.1146/annurev-lawsocsci-102811-173815 

  5. Colombetti, G. (2009). From affect programs to dynamical discrete emotions. Philosophical Psychology, 22(4), 407-425. 

  6. Dearing, R. L., Stuewig, J., & Tangney, J. P. (2005). On the importance of distinguishing shame from guilt: Relations to problematic alcohol and drug use. Addictive behaviors, 30(7), 1392-1404. 

  7. de Hooge, I. E., Breugelmans, S. M., & Zeelenberg, M. (2008). Not so ugly after all: When shame acts as a commitment devi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5(4), 933-943. 

  8. de Hooge, I. E., Nelissen, R. M. A., Breugelmans, S. M., & Zeelenberg, M. (2011). What is moral about guilt? acting "prosocially" at the disadvantage of oth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0(3), 462-473. 

  9. de Hooge, I. E., Zeelenberg, M., & Breugelmans, S. M. (2007). Moral sentiments and cooperation: Differential influences of shame and guilt. Cognition and Emotion, 21(5), 1025-1042. 

  10. Dubinsky, A. J., & Loken, B. (1989). Analyzing ethical decision making in marketing.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9(2), 83-107. 

  11. Eisenberg, N. (2000). Emotion, regulation, and moral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1(1), 665-697. 

  12. Ferguson, T. J., Stegge, H., & Damhuis, I. (1991). Children's Understanding of Guild and Shame. Child Development, 62(4), 827-839. 

  13. Ferrell, O. C. & Gresham, L. G. (1985). A contingency framework for understanding ethical decision making in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49(3), 87-96. 

  14. Frank, R. H. (1988). Passions within reason: The strategic role of the emotions. New York, NY, US: Norton. 

  15. Frank, R. H. (2004). Introducing moral emotions into models of rational choice. In A. S. R. Manstead, N. Frijda, & A. Fischer (Eds.), Feelings and emotions: The Amsterdam symposium (pp. 422-440).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Gross, J. J. (1998).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271-299. 

  17. Haidt, J. (2003). The moral emotions. In R. J. Davidson, K. R. Scherer, & H. H. Goldsmith (Eds.), Handbook of Affective Sciences (pp. 852-870).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8. Han, K. (2016). The effect of suppressing guilt and shame on the immoral decision-making proc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9. Hunt, S. D. & Vitell, S. (1986). A general theory of marketing ethics. Journal of Macromarketing, 6(1), 5-16. 

  20. Jones, T. M. (1991). Ethical decision making by individuals in organizations: An. Issue-contingent model.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6(2), 366-395. 

  21. Jung, J. Y. & Han, S. H. (2011). The review of neural basis for prosocial moral motivation and moral decision-making,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4(4), 555-570. 

  22. Mauss, I. B., Bunge, S. A., & Gross, J. J. (2007). Automatic emotion regulation.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1(1), 146-167. 

  23. Moore, C., Detert, J. R., Trevino, L. K., Baker, V. L., & Mayer, D. M. (2012). Why employees do bad things: Moral disengagement and unethical organizational behavior. Personnel Psychology, 65(1), 1-48. 

  24. Mullen, E. & Monin, B. (2016). Consistency versus licensing effects of past moral behavior.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7, 363-385. DOI: 10.1146/annurev-psych-010213-115120 

  25. Niedenthal, P. M., Tangney, J. P., & Gavanski, I. (1994). "If only I weren't" versus "If only I hadn't": Distinguishing shame and guilt in counterfactual thin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4), 585-595. 

  26. Rest, J. (1986). Moral development: Advances in research and theory. New York: Praeger. 

  27. Smith, R. H., Webster, J. M., Parrott, W. G., & Eyre, H. L. (2002). The role of public exposure in moral and nonmoral shame and guil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1), 138-159. 

  28. Steenhaut, S. & Van Kenhove, P. (2006). The mediating role of anticipated guilt in consumers' ethical decision-making. Journal of Business Ethics, 69(3), 269-288. 

  29. Stuewig, J. & McCloskey, L. A. (2005). The relation of child maltreatment to shame and guilt among adolescents: Psychological routes to depression and delinquency. Child Maltreatment, 10(4), 324-336. 

  30. Tangney, J. P. (1991). Moral affect: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598-607. doi:10.1037/0022-3514.61.4.598 

  31. Tangney, J. P. (1993). Shame and guilt. In C. G. Costgello (Ed.), Symptoms of depression. Wiley series on personality processes (pp. 161-180). Oxford, 

  32. England: John Wiley & Sons. Tangney, J. P. (1994). The mixed legacy of the superego: Adaptive and maladaptive aspects of shame and guilt. In J. M. Masling & R. F. Bornstein (Eds.), Empirical perspectives on object relations theory (pp. 1-28). Washington, DC, U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3. Tangney, J. P. (1995). Recent advances in the empirical study of shame and guilt. Th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38(8), 1132-1145. 

  34. Tangney, J. P., Miller, R. S., Flicker, L., & Barlow, D. H. (1996a). Are shame, guilt, and embarrassment distinct emo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6), 1256-1269. 

  35. Tangney, J. P., Stuewig, J., & Mashek, D. J. (2007). Moral emotions and moral behavior.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8, 345-372. doi: 10.1146/annurev.psych.56.091103.070145 

  36. Tangney, J. P., Wagner, P. E., Hill-Barlow, D., Marschall, D. E., & Gramzow, R. (1996b). 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constructive versus destructive responses to anger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4), 797-809. 

  37. Tibbetts, S. G. (2003). Self-conscious emotions and criminal offending. Psychological Reports, 93(1), 101-126. 

  38. Trevino, L. K. (1986). Ethical Decision Making in Organizations: A Person-Situation Interactionist Model.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601-617. 

  39. Weber, J. & Gillespie, J. (1998). Differences in ethical beliefs, intentions, and behaviors: The role of beliefs and intentions in ethics research revisited. Business Society, 37(4), 447-467. 

  40. Wicker, F. W., Payne, G. C., & Morgan, R. D. (1983). Participant descriptions of guilt and shame. Motivation and Emotion, 7(1), 25-39. 

  41. Zapf, D. (2002). Emotion work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some conceptual consideration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2), 237-2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