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재배 엇갈이배추 중 살균제 Mandipropamid의 수확시기별 잔류 특성
Dissipation Pattern of a Fungicide Mandipropamid in Korean Cabbage at Different Harvest Time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4 no.4, 2016년, pp.644 - 654  

정명근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안경근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김기쁨 (강원대학교 생약자원개발학과) ,  황영선 (텍사스주립대학교 생물학과) ,  권찬혁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기준과) ,  강인규 (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이영득 (대구대학교 생명환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엇갈이배추 재배기간 중 mandelamide계 살균제인 mandipropamid를 수확 10일전 1회 살포한 후 각각 0(2시간 이내), 1, 3, 5, 7, 및 10일 후에 엇갈이배추 시료를 채취하여 mandipropamid 잔류량을 분석, 통계학적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여 생산단계 농약잔류허용기준(Pre-Harvest Residue Limit; PHRL)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Mandipropamid의 평균 회수율은 0.4 및 $2.0mg{\cdot}kg^{-1}$의 두 수준에서 각각 $88.2{\pm}3.2%$$92.2{\pm}2.0%$이었으며, 분석정량한계$0.04mg{\cdot}kg^{-1}$이었다. Mandipropamid를 기준량으로 1회 살포 시 엇갈이배추 중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포장 1 및 2에서 각각 3.9일과 4.0일 이었고, 생체중 증가가 mandipropamid의 잔류량 감소에 상당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잔류감소 회귀식을 이용한m andipropamid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은 수확 10일전의 경우 $11.07-12.19mg{\cdot}kg^{-1}$ 수준, 수확 5일전의 경우 $5.76-6.05mg{\cdot}kg^{-1}$ 수준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pervised residue trials for mandipropamid in Korean cabbage(Brassica campestris L.) were conducted to establish its 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a criterion to ensure the safety of the terminal pesticide residue during cabbage production. Tissues of Korean cabbage were collected at 0, 1, 3, 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andelamide계 살균제 mandipropamid를 엇갈이배추 시설재배 포장에 살포하고 일정 기간별로 수확한 후 엇갈이배추의 생체중의 잔류 수준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통계학적 유의성이 인정되는 분해감소 회귀식과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해 엇갈이배추에 대한 mandipropamid의 수확 전 생산단계별 잔류허용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을 설정, 감독하는 이유는? , 2003). 식품 및 농산물에 잔류하고 있는 농약을 섭취할 경우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국가에서 국제적 수준을 반영한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 MRL)을 설정하여 관리, 감독하고 있다(Lee et al., 2008).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을 재배한 농산물의 출하 시점을 기준으로 적용할때의 문제점은? 국내에서는 2014년 12월 기준 440종의 농약에 대해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을 마련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이 중 엇 갈이배추에 대해서는 건조된 것을 포함하여 99종의 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였고, 그 허용기준은 재배한 농산물의 출하 시점을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다(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즉, 농산물에 대한 잔류농약검사는 주로 수확 후나 유통단계에서 이뤄지며, 기준을 초과한 부적격 농산물에 대해서는 폐기처분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치는 생산자인 농민에게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수확 후 유통기간이 짧은 일부 농산물들은 출하 후 실시되는 농약잔류검사 제도로는 분석결과가 산출되기도 전에 이미 유통 및 판매가 완료되어 시기 상 관리 및 제재 조치가 어려운 실정이므로 유통 전 농식품 중의 잔류농약 검사는 국민 보건 상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Ko et al., 2003; Lee et al.
현대 농업에서 병해충과 잡초 등을 방제하기 위한 농약의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생기는 문제점은? 현대 농업에서 병해충과 잡초 등을 방제하기 위한 농약의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농산물 중 잔류농약의 만성독성학적 위해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이에 따른 농산물 중 잔류농약의 안전성 확보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Park et al.,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KG, Kim GH, Kim GP, Hwang YS, Hong SB, Lee YD, Choung MG (2015) Determination of quintozene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using GC-ECD/MS. Korean J Pestic Sci 19:195-203. doi:10.7585/kjps.2015.19.3.195 

  2. Chae YA, Lee YM, Ku JO (1981) Biological Statistics. Jeongminsa, Seoul, Korea, pp 82-112 

  3. Choi KI, Seong KY, Jeong TK, Hur JH, Ko KY, Lee KS (2002) Dissipation and removal rate of dichlorofluanid and iprodione residue on greenhouse cherry tomato. Korean J Environ Agric 21:231-236. doi:10.5338/KJEA.2002.21.4.231 

  4.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2003) Guidelines on Good Laboratory Practice in Residue Analysis. Rome, Italy 

  5. Gomez KA, Gomex AA (1984) Statistical Procedures for Agricultural Research, 2nd ed. Wiley, New York, USA, pp 236-357 

  6. Hill BD Inaba DJ (1990) Fate and persistence of residues on wheat used to explain efficacy differences between suspension concentrate and emulsifiable concentrate formulations. Korean J Pestic Sci 29:57-66. doi:10.1002/ps.2780290108 

  7. Hwang KW, Kim TW, Yoo JH, Park BS, Moon JK (2012) Dissipation pattern of amisulbrom in cucumber under greenhouse condition for establishing pre-harvest residue limit. Korean J Pestic Sci 16:288-293. doi:10.7585/kjps.2012.16.4.288 

  8. Jeong YH, Kim JU, Kim JH, Lee YD, Lim CH, Hu JH (2004) Modern pesticide. Sigma-press, Korea, pp 5, 339-342 

  9. Kim SW, Lee EM, Yang L, Park HW, Lee HR, Riu MJ, Na YR, Noh JE, Keum YS, et al (2009)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PHRL) of insecticide bifenthrin during cultivation of grape. Korean J Pestic Sci 13:241-248 

  10. Kim YS, Park JH, Park JW, Lee YD, Lee KS, Kim JE (2002) Persistence and dislodgeble residues of chlorpyrifos and procymidone in lettuce leaves under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 Environ Agric 21:149-155. doi:10.5338/KJEA.2002.21.2.149 

  11. Ko KY, Lee YJ, Won DJ, Park HJ, Lee KS (2003) Residual pattern of procymidone and bifenthrin in perilla leaf during cultivating and storage. Korean J Environ Agric 22:47-52. doi:10.5338/KJEA.2003.22.1.047 

  12.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4) Using guideline of crop protection agents. Korea, p 97 

  13. Lee JH, Park HW, Keum YS, Kwon CH, Lee YD, Kim JH (2008) Dissipation pattern of boscalid in cucumber under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 Pestic Sci 12:67-73 

  14. Lee YD (2009) Pesticide Analytical Residues Manual in Food Code. NiFDS, Korea, pp 78-80 

  15. Marin A, Oliva J, Garcia C, Navarro S, Barba A (2003) Dissipation rates of cyprodinil and fludioxonil in lettuce and table grape in the field and under cold storage conditions. J Agric Food Chem 51:4708-4711. doi:10.1021/jf021222e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Korea Food Code. MFDS, Korea 

  17. Park CJ, Lee YD (2003) Persistence of the fungicide boscalid in grapes and strawberries. Life Sci Res 2:9-16 

  18. Seong KY, Choi KI, Jeong MH, Hur JH, Kim JG, Lee KS (2004) Residue and half-lives of bitertanol and tebuconazole in greenhousegrown pepper.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113-119 

  19.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8) Pesticide Fact Sheet for mandipropamid. US EPA, Washington D.C.,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