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 열무 중 diazinon 및 endosulfan에 대한 잔류농약 분해특성
Characteristic of Decomposition of Residual Pesticides on Diazinon and Endosulfan in Young Radish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47 no.2, 2004년, pp.238 - 243  

최근영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전남지원) ,  김준형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한병재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정양모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서혜영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심성례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경수 (조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열무의 안전한 생산을 위한 시설재배 생산단계에서의 각 농약 잔류량 변화 추이와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농산물 안전성 평가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실제 시험포장에 열무를 파종한 후 수확 10일 전에 2 종(diazinon, endosulfan)의 살충제를 각 성분별로 안전사용 기준에 따라 기준량 및 배량의 처리구에 직접 살포하여 열무의 포장상태에서의 잔류량 감소(생물학적 반감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설재배포장에서의 열무 중 각 약제의 살포농도별 잔류량 변화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잔류수준이 점차 감소하였다. 약제 살포 후 분해속도는 diazinon이 endosulfan보다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Endosulfan은 대사산물인 sulfate 때문에 잔류기간이 0.6일 더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위한 열무 중 약제 살포 후 수확일은 잔류허용기준(MRL)을 적용시킬 경우 기준량으로 볼 때 diazinon은 6일 후, endosulfan은 10일 후에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ontent of residual pesticides for safety production of young radishes in the production steps in greenhouse and to evaluate the safety of young radishes in the final consuming step, biological half-life of pesticides (diazinon, endosulfan) in packaging products was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출하 전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살중제 중 diazinon, endosulfan을 실제 열무의 시설 하우스 재배포장에 수확 10일 전에 살포하고, 열무의 잎과 뿌리에 대한 해당 농약들의 기준이 같으므로 농약 잔류 가능성이더 높은 잎부분에 대하여만 농약 잔류량 변화를 조사하고, kinetics 해석에 따른 합리적인 회귀식과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함으로써 생산단계 에서 의 농약잔류허용기 준을 초과한 농산물에 대한 적부 여부를 판정하고 부적합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확보 후 출하 가능일자 산정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 .또한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는데 농민들의 올바른 농약사용으로 수확 전 최종 살포시기 및 희석배수 준수 등 안전사용기준 지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출하 전 식품인 농산물이 최종 소비단계에서 농약잔류에 안전한가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999) Safety of Pesticides Being Used in Korea 

  2. Hirohiko, Y., Hiroshi, S., Takaki, S., Fumio, K, Nobuyoshi, M. and Shunji, H. (1993) Safety assessment for agricultural chemicals. Recent progress and prospect. J. Nippon Food Hygien. 34, 95-113 

  3. Korea Food & Drug Safety Administration (2001) Food Standards Codex 

  4. Lee, S. R. (1993) In Food Saety and Toxicology.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Seoul 

  5. Ou, C. S. (1988) In Vegetables to Institute Cultivations. Ou Sung Press, Seoul, pp. 410-411 

  6. Lee, S. R. (2000)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raw food materials of tolerance setting of chemical residues and contaminants. Korean J. Environ. Agri. 19, 259-269 

  7. The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Control Law Article XII in Korea 

  8. Lee, S. R. and Lee, M. G. (2001) Present status and remedial actions with regard to legal limits of pesticide residues in Korea. Korean J. Environ. Agri. 20, 34-43 

  9.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2002) A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Control Bulletin pp. 37-38 

  10. The Association of Pesticide Industry (2002) In The Guiding Principle In Use of Pesticides. Samjeong Press, Seoul, pp. 298-544 

  11. One, C. H. (1996) In Agricultural Medicines Supervise. Han Lim One Press, Seoul, pp. 302-472 

  12. Yang, H. S., Lee, D. H. and Lee, S. C. (2002) Sam lung Newest Agricultural Medicines. Haang Mun Press, Seoul, pp. 262-346 

  13. Tomlin. C. D. S. (1987) In The Pesticide Manual (8th ed.), British Crop Protection Press, Surrey, pp. 207-336 

  14. Jung, Y H., Kim, J O., Kim, J. H., Lee, Y D., Lim, C. H. and Hyue, J. H. (2000) In The Newest Agricultural Medicines. Sigma Press, Seoul. pp. 144-154 

  15. Curtis, D. K and Eaton, D. L. (1991) In Principles of Toxicology. Casarett and Doull's Toxicology (4th ed.), Pergamon Press, USA, pp. 12-49 

  16. Frawley, J. P., Fuyat, H. N., Hagan, E. C., Blake, 1 R. and Fitzhugh, O. G. (1957) Marked potentiation in mammalian toxicity from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two anticholinesterase compounds. J. Pharmacol. Exp. Ther. 121, 96-106 

  17. Bernadette, M. M. (1994) In Pesticide Analytical Manual (PAM), Vol. Multiresidue methods (3rd ed.), FDA, USA 

  18. Eiceman, G. A., McConnon, J T., Zaman, M., Shuey, C. and Earp, D. (1986) Int. J. Environ. Anal. Chem. 24, 143 

  19. Test Method for Evaluating Solid Waste, Physicall Chemical Methods, SW-846 (3rd ed.),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July 1992, method 3520A 

  20. Shin, S. K., Jung, O. D. and Jung, Y O.(2000) In Instrumental Analysis Chemical. Hyung Sung Firm, Seoul, pp. 211-225 

  21.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2000) In Food Industry. pp. 650-663 

  22. Yoo, H. Y, Lee, H. G. and Jung, S. H. (1994) In Residue Analysis Method. Dong-Hwa Technology, Seoul, pp. 137-168 

  2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2) Residue test. pp. 110-167 

  24. Corneliussen, P. E., McCully, K A., McMahon, B. and Newsome, W. II.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OAC (15th ed.), Williams, S. AOAC Inc. Virginia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1) Agricultural medicines registration a test standard and methods, residue a test standard and method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otice 

  26. Soleas, G. J., Yan, J., Hom, K. and Goldberg, D. M. (2000) Multiresidue analysis of seventeen pesticide in wine by gas chromatography with mass-selective detection. J. Chromatogr. A. 882, 205-212 

  27. Goto, S. and Kato, S. (1980) In Analytical Methods of Pesticide Residues. Soft Science Inc. Japan, p. 20 

  28. Howard, P H. (1991) In Pesticides Handbook of Environmental Fate and Exposure Data for Organic Chemicals. Chelsea, Lewis Publishers, MI 

  29. McEwen, F. L. and Stephenson, G. R. (1979) In The Use and Significance of Pesticides in The Environment.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0. Hassall, K. A .(1982) In The Chemistry of Pesticides. Macmillan Press, Hong Ko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