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변동 응력을 이용한 커넥팅 로드 강건 설계
Robust Design of Connecting Rod Using Variable Stress 원문보기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v.24 no.6, 2016년, pp.716 - 723  

이승우 (안동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  김한규 (안동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  이태현 (안동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  양철호 (안동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nnecting rod is a crucial part for transmitting an explosive force to the crankshaft in the engine. Stress concentration in connecting rod due to the accumulation of the repeated load may initiate micro crack and result in a crucial break down of the component. Two approaches are adopted to obt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그러나 강성을 높이는 방안만을 고려한 커넥팅 로드의 설계는 중량만을 증가시키고 엔진의 효율적인 측면에서 저하가 됨은 물론이고 연비증가의 원인이 된다.3-5) 이러한 문제에 대한 설계 방안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폭발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장하중 및 압축하중의 반복에 의한 커넥팅 로드의 응력해석과 주요 제어 인자(control factor)와 잡음인자(noise factor)의 설계 영향 분석을 통한 강건 설계를 시도 하였다. 다구찌 법을 사용한 실험계획은 적은 실험 횟수로도 각 인자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고 최적의 인자값과 그 조합을 정량적으로 얻을 수 있다.
  • 다구찌 법을 사용한 실험계획은 적은 실험 횟수로도 각 인자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고 최적의 인자값과 그 조합을 정량적으로 얻을 수 있다.6,7) 커넥팅 로드의 강건설계를 위해 응력해석을 하였고 응력해석결과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 3지역을 선정하여 다구찌 기법을 적용한 설계 해석절차를 적용하였고 강건설계 결과를 Goodman 선도에 변동응력으로 나타내어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다구찌기법은 제어인자 4가지를 3수준으로 정하였고 잡음인자 3가지를 2수준으로 정하여 L9 (23 )직교배열표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 유한요소 해석에 사용된 모델은 커넥팅 로드, 커넥팅 로드 캡, 피스톤 핀, 크랭크 핀, 볼트를 사용하였으며, 전처리기인 Hypermesh를 사용하여 사면체와 육면체 요소를 생성하였다. 전체모델에서 약 84,000여개의 절점과 61,000여개의 요소가 사용되었고, ABAQUS에서 제공하는 사면체 요소(C3D10M) 와 육면체 요소(C3D8I)를 이용하여 Fig. 1과 같이 모델링을 하였다. Table 1에는 사용된 파트별 요소의 종류를 나타내었다.
  • 커넥팅로드에 작용하는 하중은 폭발하중으로 인해 발생된 인장 및 압축변동 하중과 피스톤핀, 크랭크 핀의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에 의한 하중, 볼트 체결하중으로 총3가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부품간의 접촉면에는 소규모 미끄러짐 접촉조건을 적용하였고, 베어링과 부싱에는 끼워맞춤 접촉조건을 적용하였다.
  • 실질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볼트의 크기, 커넥팅 로드의 두께, 커넥팅 로드의 대단부와 소단부 필렛의 반경을 선택하여 총 4가지의 제어인자를 구성하였고, 정확한 예측이 어려운 폭발하중으로 인한 인장하중 및 압축하중의 크기, 피스톤 핀, 크랭크 핀의 끼워맞춤에 의한 하중, 볼트체결 하중으로 3종류의 잡음인자를 선택하였다.
  • 내측배열에 대하여 선택한 4종류의 제어인자와 수준은 2수준을 기준값으로 선정하였고 설계제한 범위 내에서 1수준과 3수준을 정하였다(Table 3, Fig. 4). 사용된 제어인자를 사용한 직교배열표는 Table 4와 같다.
  • 볼트 체결 하중 같은 경우 볼트헤드의 직경에 따라 체결하중이 다르기 때문에 볼트 체결하중을 다르게 설정하였고 2수준으로 설정하였다 (평균값의±10 %의 값).
  • 외측배열의 경우 제어가 어려운 인자들로 구성하며, 폭발하중으로 인한 인장 및 압축 변동하중과 피스톤 핀, 크랭크 핀의 끼워맞춤에 의한 하중, 볼트 체결 하중으로 총 3가지의 잡음인자를 2수준으로 정하여 완전요인 실험을 하였다(Table 5 ~ 7). 완전요인실험은 인자의 모든 실험 수준의 가능한 조합에 대해 무작위로 실험하는 것으로 모든 수준의 조합에 대해서 실험 하며 주효과와 교호작용 효과를 모두 포함한다.
  • 다구찌 기법을 사용한 강건 커넥팅 로드의 설계 방법은 응력집중부위에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응력 산포의 축소를 목표로 한다. 응력 집중부위 3지역중 소단부 필렛부분은 압축하중시 가장 높은 응력값을 나타내었고 기본모델에서 파손가능성이 가장 높은 부분으로 파악되어 반응값을 측정하는 위치로 선정하였다. Table 8과 Table 9에 내측배열과 외측배열 각각에 대한 응력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 강건 설계 방향을 설정하고자 2가지 방법으로 응력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첫 번째 방법은 외측배열에 배치한 8종류의 잡음인자모델을 고정하고 각 모델별로 내측배열에 배치한 9종류의 제어인자 모델에 대하여 변화한 결과를 피로선도 상에 나타내었고, 두 번째 방법은 내측배열에 배치한 9종류의 제어인자를 고정하고 각각의 제어인자 배열에 대해 외측배열에 표시한 8종류의 잡음인자 모델의 반응을 나타내었다.
  • 두 번째 결과는 내측배열에 배치한 제어인자의 조합(Table 4)들을 고정하고 각각의 조합에 대하여 8종류의 잡음인자 조합에 대한 응력변동 경향을 표시하였다. 고정된 제어인자에 대한 잡음인자 조합들의 경우에 대한 응력점들의 경향은 강건 설계의 방향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 압축, 인장의 반복적인 변동하중을 받는 커넥팅 로드의 유한요소해석의 결과를 사용하여 응력집중부위를 설정하였다. 제어 가능한 인자와 불가능한 인자를 고려한 다구찌 기법을 활용한 강건 설계 결과와 변동응력을 사용한 결과를 연계하여 제안한 변동응력방법의 효용성을 보여주었고 최적화된 강건 모델을 구현하였다.

대상 데이터

  • 유한요소 해석에 사용된 모델은 커넥팅 로드, 커넥팅 로드 캡, 피스톤 핀, 크랭크 핀, 볼트를 사용하였으며, 전처리기인 Hypermesh를 사용하여 사면체와 육면체 요소를 생성하였다. 전체모델에서 약 84,000여개의 절점과 61,000여개의 요소가 사용되었고, ABAQUS에서 제공하는 사면체 요소(C3D10M) 와 육면체 요소(C3D8I)를 이용하여 Fig.
  • 본 연구에 사용된 커넥팅 로드 재료의 인장강도는 910 MPa, 피로강도는 400 MPa이다.

데이터처리

  • 다구찌기법은 제어인자 4가지를 3수준으로 정하였고 잡음인자 3가지를 2수준으로 정하여 L9 (23 )직교배열표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전처리기는 Hypermesh, 해석 상용 프로그램은 ABAQUS8), 통계 상용프로그램은 MINITAB9)을 사용하였다.
  • Table 10에 응력평균 반응의 결과를 나타냈었다. 분산분석으로 각 인자의 제곱합(SS)를 구하고, 제곱합을 이용하여 인자에 따른 기여율(contribution rate)을 계산하였다. 응력평균값에 미치는 기여율은 B인자 73.

이론/모형

  • 부품간의 접촉되는 부분은 3D 요소망 생성 시 절점들이 맞닿도록 하였다. 원활한 소규모 미끄러짐 접촉조건(small sliding contact)의 수렴을 위하여 요소망 생성 시 베어링과 핀은 육면체 요소(C3D8I)를 사용했으며, 커넥팅 로드 유한요소 모델은 CAD모델의 곡선부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면체 요소(C3D10M)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넥팅로드의 주요구성부는 무엇인가?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는 엔진 연소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폭발하중을 피스톤을 통해 전달받아 크랭크축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크랭크축과 결합되는 대단부(big end), 피스톤과 연결되는 소단부(small end) 그리고 대단부와 소단부를 연결하는연결부(shank)는 커넥팅로드의 주요구성부이다.1,2)
커넥팅 로드의 파손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강성을 높일 경우 생기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커넥팅 로드의 파손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자체의 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커넥팅 로드 자체의 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강성을 높이는 방안만을 고려한 커넥팅 로드의 설계는 중량만을 증가시키고 엔진의 효율적인 측면에서 저하가 됨은 물론이고 연비증가의 원인이 된다.3-5) 이러한 문제에 대한 설계 방안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폭발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장하중 및 압축하중의 반복에 의한 커넥팅 로드의 응력해석과 주요 제어 인자(control factor)와 잡음인자(noise factor)의 설계 영향 분석을 통한 강건 설계를 시도 하였다.
커넥팅 로드란 무엇인가? 커넥팅 로드(connecting rod)는 엔진 연소실 내부에서 발생하는 폭발하중을 피스톤을 통해 전달받아 크랭크축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부품이다. 크랭크축과 결합되는 대단부(big end), 피스톤과 연결되는 소단부(small end) 그리고 대단부와 소단부를 연결하는연결부(shank)는 커넥팅로드의 주요구성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 Han and C. Yang, "Robust Design of Connecting Rod," Transactions of KSAE, Vol.22, No.1, pp.142-147, 2014. 

  2. H. Kim, I. Park, C. Kim and T. Kim, "A Study on Fatigue Characteristics of Connecting Rod Materials for Automobile," Transactions of KSHT, Vol.19, No.3, pp.163-169, 2006. 

  3. C. Kim, J. Lee and J. Kim, "Reliability Analysis in Fatigue Strength of Connecting Rod," Transactions of KSME, Vol.25, No.10, pp.1651-1658, 2001. 

  4. D. Min, B. Jeon and N. Kim, "Failure Analysis of Connecting Rod at Small End," Transactions of KSME, Vol.19, No.2, pp.382-390, 1995. 

  5. Y. Lee, M. Lee, H. Moon, S. Shin, H. Jang, H. Lee and T. Lee, "Buckling Sensitivity Analysis for Lightweight Design of Shank Part in an Engine Connecting Rod," KSM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pp.139-144, 2006. 

  6. S. Kim, Y. Park, J. Kang, J. Park and D. Kang, "Optimization of Processing Ship Connecting Rod Using Taguchi Method," KSMPE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pp.113-117, 2007. 

  7. IreTech Minitab Team, New Minitab Workbook, Iretech, Gyeonggi, Korea, 2009. 

  8. ABAQUS Users Manual, Ver.6.4, HKS, 2003. 

  9. Minitab Users Manual, R14, Minitab Inc., State College, PA, 2010. 

  10. R. Juvinall and K. Marshek, Fundamentals of Machine Component Design, 3rd Edn., John Wiley & Son, New York,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