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화장품 소비가치에 따른 화장품 브랜드의 SNS 특성 선호도
Preference of Women Cosmetics Consumption Value on SNS Features of Cosmetics Brands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8 no.3, 2016년, pp.99 - 111  

김초롱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곽태기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se cosmetics brands SNS effectively and establish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nsumer date. According to cosmetics consumption value groups, this study examined each cosmetics consumption value group's level of concern of three cosmetics brands SNS features, in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화장품 산업 분야에서 SNS를 마케팅 홍보의 수단으로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SNS를 이용하는 화장품 소비자와 관련된 정보는 점점 더 요구되고 있으나, 위와 같이 화장품 산업의 SNS 마케팅과 관련된 국내 선행 연구들은 화장품 산업의 SNS 마케팅 사례를 분석하거나 화장품 산업에서 SNS 마케팅이 화장품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형태로 화장품 브랜드의 SNS를 이용하는 소비자 자료 측면에서 연구가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과적인 화장품 브랜드의 SNS 마케팅 홍보 전략수립에 필요한 화장품 브랜드의 SNS를 이용하는 소비자 관련 자료를 SNS 홍보 마케팅을 하는 화장품 브랜드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화장품 소비가치 집단에 따라 SNS의 특성 중 세 가지인 정보성, 상호작용성, 오락성과 관련하여 소비자가 화장품 브랜드의 SNS 이용 시 얼마만큼 그 특성에 대하여 중요시 여기는지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화장품 브랜드의 SNS를 접해본 여성을 대상으로 화장품 소비가치 집단에 따라 화장품 브랜드의 SNS 특성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화장품 브랜드의 SNS 홍보 마케팅 전략에 활용 가능한 소비자 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 결과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효과적인 화장품 브랜드의 SNS 마케팅 홍보 전략수립에 필요한 화장품 브랜드의 SNS를 이용하는 소비자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 연구문제는 화장품 브랜드의 SNS를 접한 경험이 있고, SNS에서 화장품 홍보 마케팅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SNS 이용자의 화장품 소비가치에 따라 화장품 브랜드의 SNS 특성인 정보성, 상호작용성, 오락성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다.
  • (2002). 청소년잡지에 나타난 화장품광고의 소구유형 및 소비가치의 변화에 관한연구. P.
  • 연구 문제3. 화장품 브랜드의 SNS를 경험한 이용자 세분집단별 선호하는 화장품 브랜드의 SNS 특성을 밝힌다.
  • 연구 문제1. 화장품 브랜드의 SNS를 경험한 이용자의 선호하는 화장품 브랜드 SNS 특성을 살펴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NS와 기존의 싸이월드, 블로그가 다른 점은 무엇인가? SNS의 개념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하나의 소셜미디어의 유형으로 온라인에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안대천, 김상훈, 2012). 기존의 싸이월드나 블로그는 주로 오프라인에서 이미 관계가 형성된 사람들과 소통하는 공간이었다면 SNS에서는 낯선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것과 오프라인 커뮤니티 만들기가 가능하다(김용환, 박지홍, 2009). 소셜미디어 개념의 확산은 인터넷 공간에서 네티즌들의 활발한 참여를 기반으로 다소 폐쇄적이었던 네트워킹 서비스들이 참여, 공유, 개방이라는 패러다임의 확장을 통해 공유형 네트워크의 성격으로 변화하며 자리 잡았다(안대천, 김상훈, 2012).
화장품 구매 시 추구되는 가치는 무엇인가? 첫째, 화장품 구매 시 추구되는 가치는 편의성, 불안감 해소, 즐거움, 품위유지, 실용성, 충족감 등으로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고 있는데, 위가치들은 화장품 유통경로와 화장품 경쟁 환경의 특징과 관련된 가치로 화장품 산업에서 보이는 독특한 가치 요소이다. 둘째, 화장 시 표현되는 욕구는 개성표현, 결점보완, 변신, 심리적 안정감, 스트레스 해소, 타인에 대한 배려 가치 추구가 있고 이러한 가치들은 아름다움의 추구, 개성추구, 예의와 매너 같은 사회적이고 본능적인 욕구들과 관련되는 가치요소이다.
SNS 홍보 마케팅에서 오락성이 특히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SNS에서는 수많은 정보가 넘쳐나기 때문에 SNS 홍보 마케팅에서 오락성은 더욱 중요시된다. 정보성 측면도 중요하지만 있는 그대로 정보성을 표현하기보다는 하나의 재미있는 콘텐츠로써 소비자에게 정보가 전달되어야 소비자의 주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오락성을 통해 전달된 정보는 소비자에 의해 긍정적으로 해석되고 최종적으로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오락성은 SNS 홍보마케팅에서 더욱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난도, 전미영, 이향은, 이준영, 김서영. (2015). 트렌드 코리아 2016. 서울: 미래의창 

  2. 김병곤. (2012).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특성이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4), 213-225. 

  3. 곽성문. (2015). 2015 소비자형태조사 보고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file:///C:/Users/USER/Desktop/2015%20MCR.pdf 

  4. 김은주. (2014. 11. 12). 뜨는 '화장품' 가성비 탁월...입소문 타고 '훨훨'. 컨슈머치. 자료검색일 2016. 8. 13, 자료출처 http://www.consumuch.com/news/articleView.html?idxno15512 

  5. 고은지. (2015. 11. 17). 디지털이 뷰티산업의 혁신이끈다. LG경제연구원. 자료검색일 2015. 11. 26, 자료출처 http://www.lgeri.com/industry/chemical/article.asp?grouping01030300&seq275 

  6. 강이주, 신자빈. (2006). 소비성향에 따른 화장품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 분석. 소비문화연구, 9(4), 83-103. 

  7. 김용환. 박지홍.(2009). SNS 이용자의 모르는 사람 (stranger)과의 사회네트워크 구축 행태에 관한 탐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08, 17-35. 

  8. 경종수. 김명수. (2012). SNS의 서비스특성과 상호 작용성이 신뢰와 결속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13(3), 3-25. 

  9. 김태형. (2016. 8. 16). 똑똑해진 SNS 사용자가 공감하는 동영상 '언니의 화장품'. 브릿지경제. 자료검색일 2016. 8. 30, 자료출처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60816010004249 

  10. 김혜나, 김나연, 서예지. (2016. 5. 9). 10대 노리는 SNS광고, 화장품 1위 앱 광고 2위. 중앙일보. 자료검색일 2016. 8. 15, 자료출처 http://news.joins.com/article/19997165 

  11. 김희숙. (2002). 청소년잡지에 나타난 화장품광고의 소구유형 및 소비가치의 변화에 관한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 492-502. 

  12. 네이버사전. (2016). 자료검색일 2016. 8. 9, 자료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0305&cid55570&categoryId55570 

  13. 박경신. (2012). SNS 매체적 특성과 법적용의 한계.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15(3), 127-157. 

  14. 박성희. 이선명. (2009). 온라인 구전 정보 방향성이 화장품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패션과 니트, 12(7), 52-60. 

  15. 뷰티경제. (2015. 8. 3). '콘텐츠가 소비를 만든다!'... 유통업계, 크리슈머(Cresumer)에 주목!. 뷰티경제. 자료검색일 2016. 6. 2, 자료출처 http://www.thebk.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6646 

  16. 심성욱. 김운한. (2011)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13(2), 342-376. 

  17. 손용석. 이선. 유건우. (2014). 온라인 화장품 구전 정보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시장에서 기초/색조 화장품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16(2), 105-128. 

  18. 심재영. (2015. 8. 16). 모바일 성장 화장품 마케팅 패러다임 변화. CMN. 자료검색일 2016. 6. 2, 자료 출처 http://www.cmn.co.kr/sub/news/news_view.asp?news_idx16209 

  19. 손현주. (2015. 12. 16). [2015 송년 특집] 2015년 화장품 유통 결산-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전자신문. 자료검색일 2016. 6. 2, http://www.etnews.com/20151216000468 

  20. 이강호. (2011). 연구논문: 기업의 트위터 활용유형에 따른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37(0), 279-297. 

  21. 안대천. 김상훈. (2012). SNS유형별 광고속성 평가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의 비교. 광고학연구, 23(3), 53-84. 

  22. 이세윤, 박준기, 이혜정, 이정우. (2013,11). SNS 지속 사용 의도의 선행 요인 연구: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 2013년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179-184. 

  23. 이석용. 정이상. (2010). 웹 2.0시대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관한 고찰. 대한경영정보학회, 29(4), 142-167. 

  24. 이성준. (2014).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관여도의 역할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14(9), 118-202. 

  25. 이윤경, 호사기, 강혜승. (2014). 한국과 중국의 SNS를 활용한 광고 전략 비교 분석.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44(-), 111-120. 

  26. 이정수. 이영곤. (2012).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특성이 고객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경영학회, 15(3), 49-65. 

  27. 유재미. (20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SNS)를 활용한 마케팅 사례 연구. 경영경제연구, 35(2), 101-123. 

  28. 오정민, 노정동. (2015. 12. 14). 올해 홈쇼핑 히트상품 키워드는?...'알뜰패션.포미족'. 한국경제. 자료검색일 2016. 8. 27, 자료출처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512146661g 

  29. 오제인. (2013). SNS 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고객 관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정우. 김미영. (2010). 화장품소비가치에 따른 화장품유형 및 국내.외상표선택. 한국의류학회, 34(7), 1149-1161. 

  31. 유창조. 정혜은 홍성태. (2006). 여성의 화장에 대한 욕구와 그에 따른 화장품 소비행위에 대한 심층 연구. 경영학연구, 35(1), 21-49. 

  32. 조경섭, 송형철. (2002). 온라인 구매자 집단과 비구매자 집단의 쇼핑성향의 차이. 마케팅과학연구, 10(1), 71-90. 

  33. 정나래. 김영란. (2014). SNS특성에 의한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태도가 관련정보와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12(4), 565-573. 

  34. 장윤희. (2012). 소셜미디어 마케팅 성과에 관한 연구: 포탈 광고, 블로그, SNS 채널의 특징과 성과 비교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0(8), 119-133. 

  35. 정진수. (2016). 인스타그램으로 SNS마케팅을 선점하라. 서울: 나비의활주로. 

  36. 정주임. (2000). 소비자의 화장품 상표충성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주순화. (2012). SNS 활용정도와 화장품 관여도가 SNS 화장품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의약 식품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지은. 이두희 (2013).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네트워크 특성이 사용자의 사회자본(Social Capital)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2(3), 719-741. 

  39. 현근식. 이동일. (2014). SNS에서 제품정보 전달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 차이연구. 한국경영학회 2014년 통합학술발표논문집, 4010-4025. 

  40. 한태숙. (2014). 호텔 기업의 SNS속성이 태도, 만족, 그리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Baek, K., Holton, A., Harp, D., & Yaschur, C. (2011). The links that bind: Uncovering novel motivations for linking on Facebook. Computer in Human Behavior, 27(6), 2243-2248. 

  42. Yang, J., Zhang, M., & Zou, Z. (2015). The effect of In-Game advertising in SNS on brand equity. Journal of service science and management, 8(1), 107-144. 

  43.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equity, Jounal of marketing, 57(1), 1-22. 

  44. Kim,Y., Sohn, D., & Choi, S. (2011). Cultural difference in motivations for using social network sites: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and Korean college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1), 365-372. 

  45. Park, N., Kee, K. F., & Valenzuela, S. (2009). Being immersed in social networking environment: facebook groups, uses and gratifications, and social outcomes. Cyber psychology & behavior. 12(6), 729-7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