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 투자를 위한 실무 평가 지표와 해석
A Study on Practical Valuation Assessment Indexing and Interpretation for Venture Company Investment 원문보기

기술혁신연구, v.24 no.3, 2016년, pp.1 - 28  

한재우 ((주)플랜티넷 서비스 사업팀) ,  김병관 ((주)송현 인베스트먼트 투자본부) ,  김완기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의 투자평가 시 심사역의 직관과 경험 위주의 투자 행태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실무 투자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 지표별 해석을 통해 벤처기업 투자 평가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벤처캐피탈 심사역 65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과 AHP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벤처캐피탈의 벤처기업 투자결정에 가장 중요한 평가요인은 시장 관련 요인들이었으며, 투자를 희망하는 벤처기업에게는 시장접근성, 경영자 기술/경영 경험 및 추천/평판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suggests objective practical investment index for venture capital investment evaluation, deviating from investment behavior that relies on venture capitalist's intuition and experience. To deduct universally valid practical venture investment index, We conducted a survey of venture capi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5)뿐만 아니라 투자대상 회사의 사업성, 제품의 시장성, 경영자 특성에 까지 다양한 투자 평가 능력 향상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무 차원의 벤처기업 투자 평가를 위한 투자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지표별 해석을 통하여 벤처캐피탈은 물론 투자유치 희망기업들에게 투자유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벤처기업 투자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반면, 벤처기업의 기술력은 벤처캐피탈 투자에 있어 시장성, 경쟁성, 수익성 보다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아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 결과가 국내 벤처캐피탈사의 투자 심사역뿐만 아니라 투자희망 벤처기업들에게 투자 유치 성공을 위한 필요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국내 벤처 투자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년 12월 국내 벤처기업 수 및 벤처 펀드 운용 규모는? 이에 따라 과거 어느 때 보다 창업 기업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벤처캐피탈의 규모도 비례하여 커지고 있다. 2015년 12월 국내 벤처기업 수는 이미 3만개를 돌파하였고 벤처 펀드 운용 규모도약 15조 4천억 원 규모에 이르고 있다. 또한 벤처캐피탈사도 115개사에 약 600~700명이 종사하고 있다.
창업 활성화 정책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역할은? 최근 정부주도의 창업 활성화 정책은 청년 창업뿐 만 아니라 중⋅장년 창업 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벤처 창업으로 이어져 일자리 창출, 신기술 개발, 지역 균형 발전 등 경제 활성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 어느 때 보다 창업 기업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벤처캐피탈의 규모도 비례하여 커지고 있다.
벤처캐피탈의 성장주기별 신규 투자 비중은? 7%) 순으로 나타났다. 성장주기별 신규 투자 비중을 보면 비율상으로는 초기단계 (30%)에 가장 많게 투자되고 있은 것으로 보이나 실제 투자금액비중으로 보면 주로 후 기(45%)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초기(30%) 그리고 중기(25%)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도 벤처캐피탈의 투자성향은 보수적 관점의 투자회수라는 의미에서 IPO가 임박한 벤처기업중심으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한국벤처캐피탈협회,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구경철 (2008), "AHP를 활용한 벤처캐피탈의 투자결정모형 도출 및 타당성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상윤.유은정.임춘성 (2005), "기술집약형 벤처기업의 기술력평가 체계에 관한 연구," 기술경영경제학회, 2005년 하계학술발표회논문집, pp. 24-43. 

  3. 반성식.송경모 (2002), "벤처캐피탈리스트의 투자의사결정 모형: 한국과 미국의 비교연구", 재무관리연구, 제19권 제2호, pp. 271-297. 

  4. 반성식.송경모 (2004), "한국 벤처캐피탈리스트의 투자의사결정 요인과 투자평가 모형", 대한경영학회지, 제42권, pp. 267-291. 

  5. 이동희 (2011), "국내 벤처캐피탈의 IT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현금화 가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이석규 (1999), "벤처캐피탈회사의 특성별 투자행태 및 성과분석", 중소기업연구, 제21권 제1호, pp. 205-228. 

  7. 이현무 (2006), "IT벤처기업의 경영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장금영 (2010), "연구개발투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의 산업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연구, 제18권 제1호, pp. 75-98. 

  9. 장수덕 (2005), "실패한 벤처기업의 특성: 사례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제20권 제2호, pp. 21-46. 

  10. 한국벤처기업협회 (2015), 2015년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중소기업청. 

  11. 한국벤처캐피탈협회 (2015.12), Venture capital market brief, http://vcic.kvca.or.kr/pds/pdsVcst_l.jsp 

  12. 한국벤처캐피탈협회 (2016.2), 벤처캐피탈 Newsletter, http://vcic.kvca.or.kr/pds/pdsSvsl_l.jsp 

  13. Bygrave, William Dygrave (1987), "Syndicated Investment by Venture Capital Firms: A Networking Perspectiv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2, No. 2, pp. 139-154. 

  14. Cooper, Arnold C., F. Javier Gimeno-Gascon., and Carolyn Y. Woo (1994). "Initial human and financial capital as predictors of new venture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9., No. 5, pp. 371-395. 

  15. Gorman, Michael, and William A. Sahlman (1989), "What do Venture Capitalists Do?",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4, No. 1, pp. 231-248. 

  16. Hall, John, and Charles W. Hofer (1993), "Venture Capitalist's Decision Criteria and New Venture Evaluation",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8, No. 1, pp. 25-42. 

  17. Kaiser, Henry F. (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Vol. 39, No.1, pp. 31-36. 

  18. MacMillan, Ian C., Robin Siegel, and PN Subba Narasimha (1985), "Criteria used by venture capitalist to evaluate new venture proposal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1, No. 1, pp. 119-128. 

  19. MacMillan, Ian C., Lauriann Zemann, and P. N. Subbanarasimha (1987), "Criteria distinguishing unsuccessful ventures in the venture screening proces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2, No. 2, pp. 123-137. 

  20. Patel, Pankaj, and Rodney D'Souza (2008), "Uncovering knowledge structures of venture capital investment decision making", In United States Association for Small Business and Entrepreneurship, Conference Proceedings, United States Association for Small Business and Entrepreneurship, p. 1346. 

  21. Payne, GTyge., Davis, Justin L., Moore, Curt B., and Bell, RGreg. (2009), "The Deal Structuring Stage of the Venture Capitalist Decision-Making Process: Exploring Confidence and Control",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Vol. 47, No 2, pp. 154-179. 

  22. Poindexter, E.A. (1976), The efficiency of financial markets: The venture capital c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New York. 

  23. Robinson, Richard B. (1987), "Emerging strategies in the venture capital industry",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2, No. 1, pp. 53-77. 

  24. Saaty, Thomas.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New York. 

  25. Saaty, Thomas. L. (2000), "On the relativity of relative measures: Accommodating both rank preservation and rank reversals in the AHP",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121, No. 1. pp. 205-212. 

  26. Sandberg, William R., David M. Schweiger, and Charles W. Hofer. (1988), "The use of verbal protocols in determining venture capitalists'decision processe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 13, No. 2, pp. 8-20. 

  27. Timmons, J.A., Muzyka, D.F., Stevenson, H.H., and Bygrave, W.D. (1987), "Opportunity recognition: The core of entrepreneurship", Frontiers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Vol. 7, pp. 109-123. 

  28. Tyebjee, Tyzoon T., and Albert V. Bruno (1984), "A model of venture capitalist investment activity", Management Science, Vol. 30, No. 9, pp. 1051-1056. 

  29. Wells, William Arthur (1974), Venture capital decision-mak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rnegie-Mellon University, Pittsburgh. 

  30. Zacharakis, Andrew L., and G. Dale Meyer (1998), "A Lack of Insight: Do VCs Really Understand Their Own Decision Proces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13, No. 1, pp. 57-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