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작관찰 훈련이 뇌종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s of Home-Based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Tumor-Induced Hemiparetic Patient : Single Case Study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5 no.1, 2016년, pp.55 - 65  

정준식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작업치료실)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기반 동작관찰 훈련이 뇌종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단일사례연구 방법 중 ABA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기초선(A) 기간에 중재 없이 4회 평가를 실시하였고, 중재선(B) 기간에 총 25회의 훈련과 10회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중재 후 회귀기초선(A') 기간에 중재 없이 4회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9-홀 페그 테스트,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뇌졸중 상지 기능검사에서 뇌종양 환자의 상지기능이 기초선과 회귀기초선(A와 A')보다 중재기(B)에 개선되었다.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의 신체적 영역, 심리적 영역, 생활환경 영역에서 점수 향상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로 동작관찰 훈련이 뇌종양 환자에게 적용 가능한 중재 기법이고 상지 기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me-based action observation training on upper extremity in brain tumor patient. Methods : Among the single case study design, this experiment used ABA' design. The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4 times during pre baseline period(A) and po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환자가 직접 동작을 실행할 때뿐만 아니라 동작을 관찰할 때도 거울신경세포 시스템에 해당하는뇌 영역들이 동원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종양으로 인한 상지 편마비 환자에게 가정-기반 동작관찰 훈련 중재를 통한 상지 기능 회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단일사례연구로 중재기간 총 25회의 훈련을 스스로 실시하였으며 중재기간 동안 9-홀 페그 테스트,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뇌졸중 상지 기능검사에서 기능 향상이 나타났다.
  • 운동유발전위의 진폭이 증가하였다는 것은 동작관찰을 통해 겉질척수로의 흥분성이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 있는 과제와 관련된 동작관찰이 뇌종양 환자의 뇌 운동유발전위를 활성화하여 상지기능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 뇌종양 환자들의 신경학적 손상과 기능 정도를 알고 수준에 맞는 적절한 재활치료를 시행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본 연구는 뇌종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가 실시한 가정-기반 동작관찰 훈련이 일차적으로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과 더불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가정-기반의 동작관찰 훈련이 뇌종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동작관찰 훈련은 중추신경계 질환 중 뇌종양 환자의 편측 상지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뇌종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과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기초선, 중재선, 회귀 기초선에 따라 시각적 그래프와 기술통계량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종양이란 무엇인가? 뇌종양(brain tumor)은 두 개강 내에 발생하는 모든 종양을 총칭한다(The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012). 2012년 우리나라에서 총 224,177건의 암이 발생하였으며, 그 중 뇌 및 중추신경계 암은총 1,703건을 차지하였다(Statistics Korea, 2015).
동작관찰훈련이란 무엇인가? 동작관찰훈련은 다른 사람이 수행하는 운동 과제를 관찰함으로써 시각과 체성감각에 따른 목표 지향적 동작을 준비하고 조절하는 이마마루 회로 (frontoparietal circuit) 중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이다(Frey et al., 2011).
뇌종양의 손상 부위에 따라 뇌졸중과 유사한 국소적인 신경학적 장애를 보이는 예로는 무엇이 있는가? 뇌종양은 손상 부위에 따라 뇌졸중과 유사한 국소적인 신경학적 장애를 가지게 된다(Weisberg & Nice, 1977). 예를 들어, 감각운동 장애(sensorimotor deficit), 실어증(aphasia), 운동실조증(ataxia), 연하장애(dysphagia), 그리고 시지각 장애(visual perceptual dysfunction)를 포함하는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Haut, Haut, & Bloomfield, 1991). 두 개강 내에 발생한 종양과 초기 뇌종양 치료의 후유증으로 인한 신경학적 기능적 장애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포괄적이고 다학제적인 재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inkofski, F., & Buccino, G. (2006). The role of ventral premotor cortex in action execution and action understanding. Journal of Physiology-Paris, 99(4), 396-405. 

  2. Buccino, G., Vogt, S., Ritzl, A., Fink, G. R., Zilles, K., Freund, H. J., & Rizzolatti, G. (2004). Neural circuits underlying imitation learning of hand actions: An event-related fMRI study. Neuron, 42(2), 323-334. 

  3. Calvo-Merino, B., Glaser, D. E., Grozes, J., Passingham, R. E., & Haggard, P. (2005). Action observation and acquired motor skills: An FMRI study with expert dancers. Cerebral Cortex, 15(8), 1243-1249. 

  4. Fadiga, L., Fogassi, L., Pavesi, G., & Rizzolatti, G. (1995). Motor facilitation during action observation: a magnetic stimulation study. Journal of Neurophysiology, 73(6), 2608-2611. 

  5. Feys, H. M., De Weerdt, W. J., Selz, B. E., Steck, G. A. C., Spichiger, R., Vereeck, L. E., ... & Van Hoydonck, G. A. (1998). Effect of a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hemiplegic upper limb in the acute phase after stroke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er trial. Stroke, 29(4), 785-792. 

  6. Frederickson, M., & Cannon, N. L. (1995). The role of the rehabilitation physician in the postacute continuum.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6(12), SC5-SC9. 

  7. Freeman, E. A. (1997). Concept paper: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of the person with a severe brain injury. Brain injury, 11(2), 143-154. 

  8. Frey, S. H., Fogassi, L., Grafton, S., Picard, N., Rothwell, J. C., Schweighofer, N., ... & Fitzpatrick, S. M. (2011). Neurological principles and rehabilitation of action disorders computation, anatomy, and physiology (CAP) model.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5(5 suppl), 6S-20S. doi: 10.1177/1545968311410942 

  9. Greenberg, E., Treger, I., & Ring, H. (2006). Rehabilitation outcomes in patients with brain tumors and acute stroke: comparative study of inpatient rehabilitation.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5(7), 568-573. 

  10. Grezes, J., & Decety, J. (2001). Functional anatomy of execution, mental simulation, observation, and verb generation of actions: A meta-analysis. Human Brain Mapping, 12(1), 1-19. 

  11. Haut, M. W., Haut, J. S., & Bloomfield, S. S. (1991). Family issues in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malignant brain tumors. Neurorehabilitation, 1, 39-47. 

  12. Huang, M. E., Cifu, D. X., & Keyser-Marcus, L. (1998). Functional outcome after brain tumor and acute stroke: A comparative analysi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9(11), 1386-1390. 

  13. Iacoboni, M., Molnar-Szakacs, I., Gallese, V., Buccino, G., Mazziotta, J. C., & Rizzolatti, G. (2005). Grasping the intentions of others with one's own mirror neuron system. PLS Biology, 3(3), e79. 

  14. Kim, J. M., Yang, B. I., & Lee, M. K. (2010).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on manual dexterity in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17(2). 

  15. Maeda, F., Mazziotta, J., & Iacoboni, M. (2002).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studies of the human mirror neuron system. In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Vol. 1232, pp. 889-894). Elsevier. 

  16. Marciniak, C. M., Sliwa, J. A., Spill, G., Heinemann, A. W., & Semik, P. E. (1996). Functional outcome following rehabilitation of the cancer patient.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7(1), 54-57. 

  17. Mathiowetz, V., Volland, G., Kashman, N., & Weber, K. (1985). Adult norms for the Box and Block Test of manual dexterit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9(6), 386-391. 

  18. Miyamoto, S., Kondo, T., Suzukamo, Y., Michimata, A., & Izumi, S. I.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nual Function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8(3), 247-255. doi: 10.1097/PHM.0b013e3181951133 

  19. O'Dell, M. W., Barr, K., Spanier, D., & Warnick, R. E. (1998). Functional outcome of inpatient rehabilitation in persons with brain tumo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9(12), 1530-1534. 

  20. Pace, G. M., Schlund, M. W., Hazard-Haupt, T., Christensen, J. R., Lashno, M., McIver, J., ... & Morgan, K. A. (1999).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a home and communitybased neurorehabilitation programme. Brain Injury, 13(7), 535-546. 

  21. Page, S. J. (2001). Mental practice: a promising restorative technique in stroke rehabilitation.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8(3), 54-63. 

  22. Portnow, J., Kline, T., Daly, M. A., Peltier, S. M., Chin, C., & Miller, J. R. (1991). Multidisciplinary home rehabilitation. A practical model.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7(4), 695-706. 

  23. Rizzolatti, G., & Craighero, L. (2004). The mirrorneuron system. Annu. Rev. Neurosci., 27, 169-192. 

  24. Sale, P., Bovolenta, F., Agosti, M., Clerici, P., & Franceschini, M. (2014). Short-term and long-term outcomes of serial robotic training for improving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37(1), 67-73. doi: 10.1097/MRR.0000000000000036 

  25. Sale, P., & Franceschini, M. (2012). Action observation and mirror neuron network: a tool for motor stroke rehabilitation.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48(2), 313-318. 

  26. Statistics Korea. (2015). 2014 Cancer Registry Statistics. Retrieved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N_A00025&conn_pathI2 

  27. Stonnington, H. H. (1997).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Brain Injury, 11(2), 155-155. 

  28. Tang, V., Rathbone, M., Dorsay, J. P., Jiang, S., & Harvey, D. (2008). Rehabilitation in primary and metastatic brain tumours: Impact of functional outcomes on survival Journal of Neurology, 255(6), 820-827. 

  29. The Korean Neurological Society. (2012). Neurosurgery(3th). Seoul: Joongang. 

  30. Weisberg, L. A., & Nice, C. N. (1977). Intracranial tumors simulating the presentation of cerebrovascular syndromes: early detection with cerebral computed tomography (CCT).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63(4), 517-52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