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십전대보탕 과립제 단일치료로 호전된 2도 욕창환자 치험례
A Case Study of a Stage Two Pressure Sore Treated with Sipjeondaebo-tang Extract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7 no.5, 2016년, pp.770 - 775  

유근정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전주한방병원) ,  이언정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전주한방병원) ,  장철용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전주한방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ipjeondaebo-tang (十全大補湯) extract on a stage two pressure sore. Methods: Sipjeondaebo-tang extract (5 g) was given three times a day to a treat the pressure sore. Results: The pressure sore in the sacrococcygeal region was improved. A second pressure sore of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척수손상으로 인한 사지마비로 인해 장기간의 질병이완으로 기력저하가 동반되어 4개월여의 보존적 치료에도 2도 욕창 증상이 지속되는 환자에 대해 십전대보탕 과립제의 투여만으로 유의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Fitzpatrick TB, Johnson RA, Wolff K, Polano MK, Suurmound D. Color Atlas and Synopsis of Clinical Dermatology. Seoul: Jeondam; 1999, p. 492. 

  2. The Committee of the Korean Medical. The Korean Medical Dictionary. Seoul: Jeongdam: 2001, p. 1087-8. 

  3. Lee DH, Nam JS, Jeong HS, Jang IS, Seo ES. Two Cases of Grade Four Pressure Ulcer Patients Treated with Pharmacopuncture Soyeom and Herbal Medicine Taklisodok-eum . J Int Korean Med 2010;31(2):388-94. 

  4. Hwang EH, Song J, Jang JH, Jeong HS, Yang CS, Jang IS. 2 Cases of Decubitus Ulcer Treated with Laser Therapy and Oriental Medicine. J Oriental Rehab Med 2007;17(4):243-53. 

  5. Jo SE, Lee H, Hong SJ, Kang JH. Two Cases of Pressure Ulcer Patients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Light Emitting Diode Light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15;32(3):211-20. 

  6. Rhim EK, Lee YJ, Lee SK, Kim JH, Ji DH, Song CM, et al. A Clinical Observation of two cases of Pressure Sore complicated by cerebrovascular diseases. J Int Korean Med 2004;25(4-2):426-32. 

  7. Cho MK, Lee DJ, Lee JH, Lee HY, Hong JW, Lee I, et al. A Case Report of Stage Three Pressure Sore Treated with Gamisipjeontanggamibang and Bird-Pecking Moxibustion. J Int Korean Med 2014;fal:183-9. 

  8. Heo JW, Eom TM, Oh JM, Choi KE, Kim HT, Seol IC, et al. Three Cases of Pressure Ulcer Treated with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and Jaungo . J Int Korean Med 2015;36(3):419-26. 

  9. Kartes SK. A Team Approach for Risk Assess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ressure Ulcers in Nursing Home Patients. J Nurs Care Qual 1996;10(3):34-45. 

  10. Kim YS, Survey of the Prevention of Decubitus Ulcers in Spinal Cord Injured Persons. KPTA 1988;9(2):11-8. 

  11. Kottke FJ, Stillwell GK, Lehman JF. Krusen’s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3rd Edition. Philadelphia: WB Saunders Co;1982, p. 543-673, 881-8. 

  12. Lindan O, Greenway RM, Piazza JM.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surface of the human body. 1. Evaluation in lying and sitting position using a “bed of spring and nails”. Arch Phys Med Rehabil 1965;46:378-85. 

  13. Gu SC. Yanguidaejeon. Beijing: Publisher of Yinminwisaeng; 1996, p. 1351. 

  14. Kim HJ, Choi JH. The Literature Review on Treatment of the Pressure sore.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and Otolaryngology and Dermatology 1999;12(2):104-21. 

  15. Chen SW. Taepyeonghyeminhwajegukbang: the 5 th volume. Taipei: Publisher of Seonpung; 1975, p. 9. 

  16. Heo J. Donguibogam. Seoul: Bubin Publishers; 2012, p. 1491. 

  17. Gong TX. Manbyeonghoechun. Seoul: Haenglimsoewon Publishers; 1975, p. 183, 190. 

  18. Hwang DY. Bangyakhappyeon. Seoul: Haenglimsoewon Publishers; 1975, p. 101. 

  19. Jung H, Lee HJ, Kim B, Lee CH, Lee EJ, Heo DS, et al. The effects of Sibjeondaebotanggamibang on the Treating of Wound.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4;24(3):51-69. 

  20. Ohya T, Usui Y, Okamoto K, Inoue Y, Arii S, Iwai T. Management for fistula-in-ano with Ginseng and Tang-kuei Ten Combination. Pediatr Int 2004;46:72-6. 

  21. Woo SK, Park SK, Kwak SH, Lee EC, Jung WS, Noon SK. A Case of Pressure sore Treated by Oriental Medicine. J Int Korean Med 2011; spr(1):28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