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개발된 제초제저항성 벼(밀양 204호, 익산 483호)의 비표적 곤충과 거미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Physiological Effects of Herbicide-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Rice (Milyang 204 and Iksan 483) Developed in Korea on Non-target Insects and a Spider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6 no.4, 2017년, pp.331 - 338  

김영호 (경북대학교 생태환경관광학부 생물응용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국내에서 개발된 제초제저항성 GM 벼인 밀양 204호와 익산 483호가 비표적 곤충과 거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GM 벼와 non-GM 벼에 대한 보리수염진딧물과 벼멸구의 기주선호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GM 벼를 섭식한 벼멸구를 포식한 황산적거미의 체중 변화에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밀양 204호와 그 대조 모본 non-GM 벼에서 서식한 벼멸구를 포식한 황산적거미의 생존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벼멸구를 통해 익산 483호에 노출된 황산적거미의 생존율은 대조 모본 non-GM 벼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익산 483호의 화분을 섭식한 꿀벌 유충은 밀양 204호와 다른 non-GM 벼 화분을 제공하였을 때 보다 현저하게 긴 용기간을 보였다. 농업생태계에서 중요한 포식 천적인 황산적거미와 양봉 산업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꿀벌에 GM 벼가 부정적인 영향을 보임에 따라 국내에서 개발된 제초제저항성 GM 벼의 농업 환경 노출 이전에 충분한 추가 연구와 안전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wo herbicide-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rice (GM rice) varieties, Milyang 204 and Iksan 483, recently developed in Korea on non-target insects and a spider. No difference in host preferences of the English grain aphid Sitobion avenae an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여전히 제초제저항성 GM 작물의 환경 위해성에 대한 논란이 여지가 있기에 국내에서 개발된 제초제저항성 벼의 농업환경으로의 방출 이전에 다양한 각도에서의 안전성 평가를 실시 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밀양 204호와 익산 483호 GM 벼가 경작될 경우를 대비하여, GM 벼의 경작 시 농업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GM 벼 식물체와 화분에 노출 가능성이 있는 거미와 곤충 종들을 대상으로 그 생리적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M 작물의 경우, 식물의 특성상 가장 먼저 노출되는 생물군은? 이러한 세계적인 GM 작물의 재배 및 교역량의 증가, 우리나라의 대량의 GM 작물의 수입 현황 및 연구, 개발 상황을 고려 할 때, 국내 생태환경을 고려한 국내 실정에 맞는 독자적인 GM 작물의 위해성 평가 방법의 개발과 더불어 국내 연구진의 생태 안전성 평가 연구는 필수적이라 판단된다. 특히 GM 작물의 경우, 식물의 특성상 가장 먼저 노출되는 생물군은 미생물과 더불어 곤충과 절지동물이라 볼 수 있으며, 실제 비표적 곤충과 익충을 대상으로 한 GM 작물의 위해성 평가는 필히 수행되어야 할 연구라 사료된다. 최근 국내에서 실시된 연구들에 의하면, 실재 국내 수입 GM 작물의 98%를 차지하는 GM 옥수수의 수송 보관 중 비의도적인 방출 사례가 보고된 바가 있고(Lee et al.
그룹별로 2개 계통(밀양 204호, 동 진벼; 익산 483호, 안중벼)를 이용한 이유는? GM 벼 화분이 꿀벌 유충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벼 화분을 채취하여 유충에 제공하여 꿀벌 유충의 용화율과 용기간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주남벼과 신동진벼 화분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그룹별로 2개 계통(밀양 204호, 동 진벼; 익산 483호, 안중벼)를 이용하였다. 충남농업기술원 GM 작물 격리포장에서 각 계통 벼에서 화분을 채취하였으며, 25℃ 에서 48시간 건조 후 분쇄하여 준비하였다.
최근 생명공학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한 GM 작물(Genetically modified crops)의 재배 면적과 재배 국가 및 거래량은 어떠한가? 최근 생명공학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한 GM 작물(Genetically modified crops)의 재배 면적과 재배 국가 및 거래량은 매년 급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전 세계 주요 작물 재배 면적(약 373백만 헥타르)의 49.6%에 이르는 185백 만 헥타르에서 GM 작물이 재배되고 있으며, 이 중 12% 면적에서 해충저항성 GM 작물이 경작되고 있다. 또한 185백만 헥타르 중 41%와 47%의 면적에서 각각 복합형질과 제초제내성 형질전환 작물 재배에 이용되고 있다(James, 2016). GM 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세계 26개국 중에서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에서 각각 약 72.9백만, 49.1백만, 23.8백만 헥타르의 면적에서 GM 작물이 경작 중이며, 이들 3개국은 세계 GM 재배면적의 79%를 차지한다(James, 2016). 우리나라에서는 상업적 목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GM 작물은 아직 없으나, 2016년 한해 974 만 톤의 식용․ 농업용 GMO을 수입하는 세계적인 GMO 수입국이다(KRIBB,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urgio, G., Dinelli, G., Marotti, I., Zurla, M., Bosi, S., Lanzoni, A., 2011. Bt-toxin uptake by the non-target herbivore, Myzus persicae (Hemiptera: Aphididae), feeding on transgenic oilseed rape in laboratory conditions. Bull. Entomol. Res. 101, 241-247. 

  2. Burgio, G., Lanzoni, A., Accinelli, G., Dinelli, G., Bonetti, A., Marotti, I., Ramilli, F., 2007. Evaluation of Bt-toxin uptake by the non-target herbivore, Myzus persicae (Hemiptera: Aphididae), feeding on transgenic oilseed rape. Bull. Entomol. Res. 97, 211-215. 

  3. Haughton, A.J., Champion, G.T., Hawes, C., Heard, M.S., Brooks, D.R., Bohan, D.A., Clark, S.J., Dewar, A.M., Firbank, L.G., Osborne, J.L., Perry, J.N., Rothery, P., Roy, D.B., Scott, R.J., Woiwod, I.P., Birchall, C., Skellern, M.P., Walker, J.H., Baker, P., Browne, E.L., Dewar, A.J., Garner, B.H., Haylock, L.A., Horne, S.L., Mason, N.S., Sands, R.J., Walker, M.J., 2003. Invertebrate responses to the management of genetically modified herbicide-tolerant and conventional spring crops. II. Within-field epigeal and aerial arthropods.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358, 1863-1877. 

  4. James, C., 2016.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2016., ISAAA Briefs No. 52, Ithaka, NY. 

  5. Kim, M.C., Ahn, J.H., Shin, H.C., Kim, T., Ryu, T.H., Kim, D.H., Song, H.G., Lee, G.H., Ka, J.O., 2008a. Molecular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s in paddy soils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with two varieties of genetically modified rice, Iksan 483 and Milyang 204. J. Microbiol. Biotechnol. 18, 207-218. 

  6. Kim, Y.H., Hwang, C.E., Kim, T.S., Lee, J.H., Lee, S.H., 2012a. Assessment of potential impacts due to unintentionally released Bt maize plants on non-target aphid Rhopalosiphum padi (Hemiptera: Aphididae). J. Asia-Pac. Entomol. 15, 443-446. 

  7. Kim, Y.H., Hwang, C.E., Kim, T.S., Lee, S.H., 2012b. Risk assessment system establishment for evaluating the potential impacts of imported Bacillus thuringiensis maize on a non-target insect, Tenebrio molitor. J. Asia-Pac. Entomol. 15, 225-229. 

  8. Kim, Y.H., Kang, J.S., Kim, J.I., Kwon, M., Lee, S., Cho, H.S., Lee, S.H., 2008b. Effects of Bt transgenic Chinese cabbage on the herbivore Mamestra brassicae (Lepidoptera : Noctuidae) and its parasitoid Microplitis mediator (Hymenoptera : Braconidae). J. Econ. Entomol. 101, 1134-1139. 

  9. Kim, Y.H., Kim, H., Lee, S., Lee, S.H., 2008c. Effects of Bt transgenic Chinese cabbage pollen expressing Bacillus thuringiensis Cry1Ac toxin on the non-target insect Bombyx mori (Lepidoptera: Bombyxidae) larvae. J. Asia-Pac. Entomol. 11, 107-110. 

  10. KRIBB, 2015. White paper for biosafety 2015,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1. KRIBB, 2017. Major statistics data for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in 2016,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 Lee, B., Kim, C.G., Park, J.Y., Park, K.W., Kim, H.J., Yi, H., Jeong, S.C., Yoon, W.K., Kim, H.M., 2009.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and maize in cultivated fields and along the transportation routes of the Incheon Port in South Korea. Food Control 20, 250-254. 

  13. Li, K., Tian, J., Wang, Q., Chen, Q., Chen, M., Wang, H., Zhou, Y., Peng, Y., Xiao, J., Ye, G., 2011. Application of a novel method PCR-ligase detection reaction for tracking predator-prey trophic links in insect-resistant GM rice ecosystem. Ecotoxicology 20, 2090-2100. 

  14. Nam, K.J., Kim, Y.-J., Moon, D.-B., Nam, K.-H., Pack, I.S., Park, J.-H., Jeong, S.-C., Harn, C.H., Kim, C.-G. 2014. Effects of Bt cabbage (Brassica oleracea) on the host preference and performance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Hemiptera: Aphididae). Korean J. Appl. Entomol. 53, 193-197. 

  15. Oh, S.-D., Shin, H., Sohn, S.-I., Lee, K., Kim, H.-J., Ryu, T.-H., Lee, J.-Y., Park, B.S., Kweon, S.J., Suh, S.-C., Park, J.-S., 2011.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biosafety for Bacillus thuringiensis (Bt)-transgenic rice: Responses of Daphnia magna fed on Bt-transgenic rice variety. Appl. Biol. Chem. 54, 296-302. 

  16. Park, K.W., Lee, B., Kim, C.G., Kim, D.Y., Park, J.Y., Ko, E.M., Jeong, S.C., Choi, K.H., Yoon, W.K., Kim, H.M., 2010.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at a grain receiving port and along transportation routes in the Republic of Korea. Food Control 21, 456-461. 

  17. Raps, A., Kehr, J., Gugerli, P., Moar, W.J., Bigler, F., Hilbeck, A., 2001. Immunological analysis of phloem sap of Bacillus thuringiensis corn and of the nontarget herbivore Rhopalosiphum padi (Homoptera: Aphididae) for the presence of Cry1Ab. Mol. Ecol. 10, 525-533. 

  18. RDA, 2007.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safety assessment of herbicide tolerant genetically modified rice, Iksan 483 & Milyang 20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 Romeis, J., Meissle, M., 2011. Non-target risk assessment of Bt crops - Cry protein uptake by aphids. J. Appl. Entomol. 135, 1-6. 

  20. Ryu, T.-H., Kim, D.-H., 2006. Current status of risk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genetically modified rice. Biosafety 7, 20-32. 

  21. Schutte, G., Eckerstorfer, M., Rastelli, V., Reichenbecher, W., Restrepo-Vassalli, S., Ruohonen-Lehto, M., Saucy, A.W., Mertens, M., 2017. Herbicide resistance and biodiversity: agr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genetically modified herbicide-resistant plants. Environ. Sci. Eur. 29, 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