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멸구과 8종의 ITS2 DNA 염기서열 비교 분석과 고리매개등온증폭법(LAMP)을 이용한 벼멸구 특이 진단법
ITS2 DNA Sequence Analysis for Eight Species of Delphacid Planthoppers and a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Method for the Brown Planthopper-specific Detection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6 no.4, 2017년, pp.377 - 385  

서보윤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박창규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고영호 (한림대학교 일송생명과학연구소) ,  정진교 (국립식량과학원 재배환경과) ,  조점래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강찬영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멸구과(Delphacidae) 8종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ITS2) DNA 염기서열로 종간 차이 추정값을 비교하고 분자계통수를 추론하였다. ITS2 DNA 염기서열 길이는 종(species)마다 550 bp (흰등멸구)에서 699 bp (겨풀멸구)까지 차이를 보였다. 같은 Nilaparvata 속의 겨풀멸구와 벼멸구붙이 사이의 염기서열 차이 추정값($d{\pm}S.E.$)은 $0.001{\pm}0.001$로 가장 낮았으며, 사슴멸구와 일본멸구 사이는 $0.579{\pm}0.021$로 가장 높았다. 벼멸구와 다른 멸구류들과의 종간 염기서열 차이 추정값은 $0.056{\pm}0.008$ (겨풀멸구)에서부터 $0.548{\pm}0.021$ (일본멸구)로 구분되었다. 반면, Neighbor-joining 방법으로 추론된 분자계통수에서는 겨풀멸구와 벼멸구붙이를 제외하고 나머지 멸구류들은 독립된 다른 그룹으로 분지되었다. 벼멸구의 ITS2 염기서열을 참고하여 벼멸구 특이 고리매개등온증폭(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프라이머 4 세트(BPH-38, BPH-38-1, BPH-207 및 BPH-92)를 제작하였다. 이들 각각을 벼멸구, 흰등멸구 및 애멸구게놈 DNA와 $65^{\circ}C$에서 60분간 반응시켰을 때, 벼멸구 시료에서만 증폭 산물들이 관찰되었다. BPH-92 LAMP 프라이머 세트로 $65^{\circ}C$에서 벼멸구 DNA의 양(0.1 ng, 1 ng, 10 ng, 100 ng)과 반응시간(20분, 30분, 40분, 60분)을 달리하여 형광반응을 관찰하였을 때, 20분과 30분 반응에서는 100 ng 까지에서도 발광여부 구별이 어려웠다. 그러나 40분 반응에서는 10 ng 이상에서, 60분 반응에서는 0.1 ng 이상에서 발광여부가 명확히 구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stimates of evolutionary sequence divergence and inference of a phylogenetic tree for eight delphacid planthopper species were based on the full-length nucleotide sequence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ITS2) region. Size of the ITS2 DNA sequence varied from 550 bp in Sogatella furcifera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벼멸구(N. lugens), 겨풀멸구(N. muiri), 벼멸구붙이(N. bakeri), 북방멸구(Changeondelphax velitchkovskyi),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사슴멸구(Ecdelphax cervina) 및 일본멸구(Stenocranus matsumurai) 로부터 핵내 리보솜 RNA 영역 ITS2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의 시퀀스를 해독하고 군외군(outgroup)으로 미국선녀벌레 (Metcalfa pruinosa) (Hemiptera: Flatidae)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 (Hemiptera: Alydidae)의 ITS2 DNA 시퀀스를 함께 비교하였으며, 종(species) 간 뉴클레오티드 차이와 고리매개등온증폭(LAMP) 기술을 통해 흰등멸구와 애멸구로부터 벼멸구를 특이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멸구란? 벼멸구 [Nilaparvata lugens (Stål)]는 노린재목 멸구과(Hemiptera: Delphacidae)에 속하는 몸 길이 5 mm 이하의 소형 곤충으로 주로 벼(Oryza sativa)가 재배되는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지역에 분포한다(Wilson and Claridge, 1991). 우리나라에서 벼멸구가 월동하지 못하고 해마다 6월 중순부터 7월 하순 사이에 장시형 성충이 기류를 타고 비래 해와 생육중인 벼에 피해를 주고 있다(Uhm et al.
벼멸구는 어떤 지역에 분포하는가? 벼멸구 [Nilaparvata lugens (Stål)]는 노린재목 멸구과(Hemiptera: Delphacidae)에 속하는 몸 길이 5 mm 이하의 소형 곤충으로 주로 벼(Oryza sativa)가 재배되는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지역에 분포한다(Wilson and Claridge, 1991). 우리나라에서 벼멸구가 월동하지 못하고 해마다 6월 중순부터 7월 하순 사이에 장시형 성충이 기류를 타고 비래 해와 생육중인 벼에 피해를 주고 있다(Uhm et al.
LF, BF가 없는 3종의 LAMP 프라이머 세트는 소량의 벼멸구 게놈 DNA에서 활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먼저 Loop primer (LF, BF)가 없는 3종의 LAMP 프라이머 세트(BPH-38, BPH-38-1 및 BPH-207)에 대한 증폭여부를검토하였다. 벼멸구, 흰등멸구 및 애멸구 3종의 게놈 DNA를 각각의 LAMP 프라이머 세트와 65℃ 조건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아가로스겔에 전기영동 한 결과, 벼멸구 샘플에서만 특이적으로 사다리처럼 다양한 길이의 밴드들이 관찰되었으며 밴드의 밝기로 보아 LAMP 프라이머 세트별 증폭 정도는 BPH-207 > BPH-38-1 > BPH-38 순이었다(Fig. 3). 이때 각 LAMP 프라이머 세트별 사용된 벼멸구, 애멸구 및 흰등멸구 게놈 DNA 양은 각각 360 ng, 390 ng, 및 400 ng이었다. 그러나 벼멸구 DNA 양을 200 ng부터 0.2 ng까지 희석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LAMP 프라이머 세트 BPH-207에 적용하였을 때 아가로스겔에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증폭되지 않았다(data not shown). 따라서 Loop primer (LF, BF)가 없는 3종의 LAMP 프라이머 세트(BPH-38, BPH-38-1 및 BPH-207)는 소량의 벼멸구 게놈 DNA (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onizzoni, M., Afrane, Y., Yan, G., 2009.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for rapid identification of Anopheles gambiae and Anopheles arabiensis mosquitoes. Am. J. Trop. Med. Hyg. 81, 1030-1034. 

  2. Cabauatan, P.Q., Cabunagan, R.C., Choi, I.R., 2009. Rice viruses transmitted by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in: Heong, K.L., Hardy, B. (Eds.), Planthoppers: new threats to the sustainability of intensive rice production systems in Asia.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Los Banos, pp. 357-368. 

  3. Dickey, A.M., Osborne, L.S., Shatters, Jr., R.G., Mckenzie, C.L., 2013. Identification of the Meam1 cryptic species of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by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Fla. Entomol. 96, 756-764. 

  4. Hillis, D.M., Dixon, M.T., 1991. Ribosomal DNA: molecular evolution and phylogenetic inference. Q. Rev. Biol. 66, 411-426. 

  5. Kim, H.Y., Park, C.G., Han, M.W., Uhm, K.B., Woo, K.S., 2002. Development of a hypertext-based polychotomous key for the identification of planthoppers caught by light trap in paddy fields. Korean J. Appl. Entomol. 41, 75-83. 

  6. Mori, Y., Kanda, H., Notomi, T., 2013.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recent progres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J. Infect. Chemother. 19, 404-411. 

  7. Nagamine, K., Hase, T., Notomi, T., 2002. Accelerated reaction by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using loop primers. Mol. Cell. Probes 16, 223-229. 

  8. Njiru, Z.K., 2012.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technology: towards point of care diagnostics. PLoS Negl. Trop. Dis. 6(6): e1572, doi:10.1371/journal.pntd.0001572. 

  9. Notomi, T., Okayama, H., Masubuchi, H., Yonekawa, T., Watanabe, K., Amino, N., Hase, T., 2000.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of DNA. Nucleic Acids Res., 28, e63. 

  10. Seo, B.Y., Jung, J.K., Park, K.J., Cho, J.R., Lee, G.S., Jung, C.R., 2014.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richogramma (Hymenoptera: Trichogrammatidae) egg parasitoids of the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based on ITS2 rDNA sequence analysis. Korean J. Appl. Entomol. 53, 247-260. 

  11. Seo, B.Y., Kwon, Y.-H., Jung, J.K., Kim, G.-H., 2009. Electrical penetration graphic waveforms in relation to the actual positions of the stylet tips of Nilaparvata lugens in rice tissue. J. Asia-Pac. Entomol. 12, 89-95. 

  12. Sogawa, K., 1982. The rice brown planthopper: feeding physiology and host plant interactions. Annu. Rev. Entomol. 27, 49-73. 

  13.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30, 2725-2729. 

  14. Uhm, K.B., Park, J.S., Lee, Y.I., Choi, K.M., Lee, M.H., Lee, J.O., 1988. Relationship between some weather conditions and immigration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Korean J. Appl. Entomol. 27, 200-210. 

  15. White, T.J., Bruns, T., Lee, S., Taylor, J.,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genes for phylogenetics, in: Innis, M.A., Gelfand, D.H., Sninsky, J.J., White, T.J. (Ed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San Diego, California, pp. 315-322. 

  16. Wilson, M.R., Claridge, M.F., 1991. Hand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leafhoppers and planthoppers of rice.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17. Zhang, X., Lowe, S.B., Gooding, J.J., 2014. Brief review of monitoring methods for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Biosens. Bioelectron. 61, 491-4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