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극 과학기지에서의 에어로졸 광학 깊이 변동성
The variation of aerosol optical depth over the polar stations of Korea 원문보기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v.13 no.4, 2017년, pp.141 - 150  

구자호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최태진 (극지연구소) ,  조예슬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이하나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김재민 (충남대학교 대기과학과) ,  안다현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김준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이윤곤 (충남대학교 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the NASA's Modern-Era Retrospective Analysi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s, version 2 (MERRA-2) reanalysis for aerosol optical depth (AOD) and satellite-observed carbon monoxide (CO) data, we examined the basic pattern of AOD variations over the three polar stations of Korea: Jangbogo and K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과학 기지가 설치된 지역 상공의 에어로졸이 어떠한 시간적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는지, 장기간 평균적인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본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으로 활용도가 높은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Modern-Era Retrospective analysi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s 버전 2(MERRA-2) AOD 자료를 이용하여 북극 다산 과학 기지, 남극 세종 및 장보고 과학 기지 상공에서의 에어로졸 농도의 기본적인 변동성을 살펴보고 이를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CO) 위성 관측 자료와 비교하여 중위도 지역에서 발생하는 화재/연소 현상의 기여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남극 장보고 및 세종 과학 기지, 북극 다산 기지 상공의 대기 에어로졸 농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MERRA-2 재분석 자료의 AOD 값을 분석해보았다. 북극 다산 기지와 남극 세종 과학 기지에서는 AOD의 크기가 봄에 가장 높게 나타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어서 월별 및 계절별 평균 AOD의 변동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림 3a에서 3c까지는 월별MERRA-2 AOD 값을 장보고, 세종, 다산 과학기지에 대해서 비교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 이와 같은 연구들은 현재 남극 기후 변동성을 살펴보는 과정에서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성층권 대기 오존의 복원이 예상되고 있는 현재, 그에 따른 기후 변동성이 극지 대기 조성에 미치는 영향 및 명확히 설명되지 않은 여러 극지 대기 기후의 특성들(예: 서남극과 동남극의 대기 현상 차이)을 살펴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로서 본 연구의 의미를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극 및 남극의 대기 에어로졸 오염의 정도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북극 및 남극의 대기 에어로졸 오염의 정도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혹독한 기상 조건 및 고립된 지역적 특성에 의해 지상에서 상시 관측을 운용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 있다. 실제로 극지 에어로졸 대다수의 관측들이 집중 관측 캠페인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기에 장기적인 특성을 살펴보는 일이 쉽지 않은 측면이 있다.
MERRA-2 재분석 자료의 AOD 값은 남극과 북극에 설치된 기지에서 계절별로 어떻게 다르게 측정되는가? 본 연구에서는 남극 장보고 및 세종 과학 기지, 북극 다산 기지 상공의 대기 에어로졸 농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MERRA-2 재분석 자료의 AOD 값을 분석해보았다. 북극 다산 기지와 남극 세종 과학 기지에서는 AOD의 크기가 봄에 가장 높게 나타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남극 장보고 기지상공 AOD는 다른 두 지역보다 훨씬 더 낮게 나타났으며 남반구 여름 시기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는 차이점을 보였다. 장보고 기지에서 다른 두 기지에 비해 AOD 월별 변동성 작게 나타나는 편인데 흔히 월별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규모 대기 순환 및 대기 광화학 작용의 강도가 어느 정도 중위도의 영향 범위에 있는 극지 지역과 달리 장보고 기지와 같이 고립된 지역에서는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MERRA-2 재분석 AOD 자료란 무엇인가? 이 세 지역의 에어로졸의 양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MERRA-2 AOD 자료를 이용하였다. MERRA-2 재분석 AOD 자료는 NASA에서 보유한 여러 기상관측 자료, 에어로졸 관련 지상 및 위성 관측 자료, Goddard Earth Observing System 모델 버전5(GEOS-5) 자료 등을 근간으로 자료 동화 과정을 거쳐 생성된 자료이다(Randles et al.,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ond, T. C., Doherty, S. J., Fahey, D. W., Forster, P. M., Berntsen, T., DeAngelo, B. J., Flanner, M. G., Ghan, S., Karcher, B., Koch, D., Kinne, S., Kondo, Y., Quinn, P. K., Sarofim, S. C., Schultz, M. G., Schulz, M., Venkataraman, C., Zhang, H., Zhang, S., Bellouin, N., Guttikunta, S. K., Hopke, P. K., Jacobson, M. Z., Kaiser, J. W., Klimont, Z., Lohmann, U., Schwarz, J. P., Shindell, D., Storelvmo, T., Warren, S. G., and Zender, C. S. (2013). Bounding the role of black carbon in the climate system: A scientific assessmen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Atmospheres, 118, 5380-5552. 

  2. Edwards, D. P., Emmons, L. K., Gille, J. C., Chu, A., Attie, J.-L., Giglio, L., Wood, S. W., Haywood, J., Deeter, M. N., Deeter, M. N., Massie, S. T., Ziskin, D. C., and Drummond, J. R. (2006). Satellite-observed pollution from southern hemisphere biomass burning,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Atmospheres, 111, D14312. 

  3. Koo, J.-H., Walker, K. A., Jones, A., Sheese, P. E., Boone, C. D., Bernath, P. F., and Manney G. L. (2017). Global climatology based on the ACE-FTS version 3.5 dataset: Addition of mesospheric levels and carbon-containing species in the UTLS, Journal of Quantitative Spectroscopy & Radiative Transfer, 186, 52-62. 

  4. Law, K. S., and Stohl, A. (2007). Arctic air pollution: origins and impacts, Science, 315, 1537-1540. 

  5. Li, F., Ginoux, P., and Ramaswamy, V. (2008). Distribution, transport, and deposition of mineral dust in the southern ocean and Antarctica: contribution of major sourc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Atmospheres, 113, D10207. 

  6. McConnell, J. R., Edwards, R., Kok, G. L., Flanner, M. G., Zender, C. S., Saltzman, E. S., Banta, J. R., Pasteris, D. R., Carter, M. M. and Kahl, J. D. W. (2007). 20th-Century Industrial Black Carbon Emissions Altered Arctic Climate Forcing, Science, 317, 1381-1384. 

  7. Park, S. S., Kim, J., Cho, N., Lee, Y. G., and Cho, H. K. (2011). The variations of stratospheric ozone over the Korean peninsula 1985-2009, Atmosphere, 21, 349-359. 

  8. Randles, C. A., Da Silva, A. M., Buchard, V., Colarco, P. R., Darmenov, A., Govindaraju, R., Smirnov, A., Holben, B., Ferrare, R., Hair, J., Shinozuka, Y., and Flynn, C. J. (2017). The MERRA-2 aerosol reanalysis, 1980 onward. Part I: system description and data assimilation evaluation, Journal of Climate, 30, 6823-6850. 

  9. Shaw, G. E. (1995). The Arctic haze phenomenon.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6, 2403-2413. 

  10. Stohl, A., and Sodemann, H. (2010),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transport into the Antarctic tropospher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Atmospheres, 115, D02305. 

  11. Tomasi, C., Vitale, V., Lupi, A., Di Carmine, C., Campanelli, M., Herber, A., Treffeisen, R., Stone, R. S., Andrews, E., Sharma, S., Radionov, V., von Hoyningen-Huene, W., Stebel, K., Hansen, G. H., Myhre, C. L., Wehrli, C., Aaltonen, V., Lihavainen, H., Virkkula, A., Hillamo, R. Strom, J., Toledano, C., Cachorro, V. E., Ortiz, P., de Frutos, A. M., Blindheim, S., Frioud, M., Gausa, M., Zielinski, T., Petelski, T., and Yamanouchi, T. (2007). Aerosols in polar regions: A historical overview based on optical depth and in situ observ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Atmospheres, 112, D16205. 

  12. Worden, H. M., Deeter, M. N., Frankenberg, C., George, M., Nichitiu, F., Worden, J., Aben, I., Bowman, K. W., Clerbaux, C., Coheur, P. F., de Laat, A. T. J., Detweiler, R., Drummond, J. R., Edwards, D. P., Gille, J. C., Hurtmans, D., Luo, M., Martinez-Alonso, S., Massie, S., Pfister, G., and Warner, J. X. (2013). Decadal record of satellite carbon monoxide observations,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3, 837-850. 

  13. Yoon, J., Pozzer, A., Chang, D. Y., Lelieveld, J., Kim, J., Kim, M., Lee, Y. G., Koo, J.-H., Lee, J., and Moon, K. J. (2016). Trend estimates of AERONET-observed and model-simulated AOTs between 1993 and 2013, Atmospheric Environment, 125, 33-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