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관 활용 수업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화학교사의 교수 설계에서 나타나는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Design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 for Teaching in Science Museum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1 no.6, 2017년, pp.388 - 401  

최숙영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송나윤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노태희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과학관 활용 수업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화학교사의 교수 설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의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화학교사 3명이 참여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워크숍, 수업 계획 및 시연, 평가회로 구성하였다. 워크숍 후 예비교사가 제작한 방문 전, 중, 후 활동지를 토대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고,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시연한 수업과 이에 대한 평가회를 관찰 및 녹음하여 이를 바탕으로 최종 면담을 실시하였다. 활동지, 수업 시연 및 면담내용을 과학관 학습 수행 전략 틀의 요소로 분석하여 예비교사의 교수 설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예비교사가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였고, 지리적, 심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방문 전 활동을 계획하였다. 또한 공동의 산출물을 낼 수 있는 소집단 활동을 계획하였고, 학생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어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를 촉진하였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은 방문 전, 중, 후 활동 사이의 연계에 대해 잘 고려하지 못하였다. 방문 중 활동에서는 학생의 인지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내지 못하였고, 방문 후 활동에서도 학생의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design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program for teaching in science museum. Thre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participated. The educational program was composed...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관 활용 수업의 역할은? 과학관은 대표적인 비형식 교육기관으로 교육적, 문화적으로 높이 평가되는 자원 중 하나이다. 과학관 활용 수업은 학생들이 과학 개념을 이해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학생들이 흥미가 있거나 관심 있는 분야를 스스로 탐색하고 생소한 과학 분야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1−5 또한 과학관 활용 수업은 과학에 대한 학습 열정을 고취시키는 데도 중요한 기여를 한다.
과학관 활용 수업의 문제점은? 그러나 많은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과학관 전시물과 그 원리를 직접 설명하는 등 비형식 학습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형태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고, 9,12 과학관에서의 체험을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하려는 노력도 부족하여 단순한 일회성 체험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13−15 또한 과학관 활용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은 활발하게 일어나지만 단순히 인상 깊었던 전시물을 묻는 질문에 그쳐 전시물의 내용과 학습 개념을 연결 지으려는 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16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교사를 위한 과학관 활용 수업 관련 연수가 이루어지고 있고, 일부 과학관에서는 과학관을 방문하는 교사와 학생들을 위한 지침서나 활동지 등을 제공하고 있다.
맥락적학습모형 중 사회문화적 맥락에는 무엇이 있나? 사회문화적 맥락에는 집단 내 사회적 상호작용과 타인에 의해 촉진된 상호작용이 있다. 집단 내 상호작용은 지식을 공유하고, 논의를 통한 합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울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nderson, D.; Lucas, K. B.; Ginns, I. 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3, 40, 177. 

  2. Chang, H.-S.; Choi, K.-H.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06, 6, 425. 

  3. Kim, S.-H.; Song, J.-W.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3, 23, 544. 

  4. Kwon, Y.-Y.; Jeong, E. Biology Education 2015, 43, 412. 

  5. Tran, L. U. Science Education 2007, 91, 278. 

  6. Jarvis, T.; Pell, A.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5, 42, 53. 

  7. Allen, S. In Learning conversations in museum; Leinhardt, G.; Crowley, K.; Knutson, K.,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New Jersey, U.S.A., 2002; p 259. 

  8. DeWitt, J.; Osborne, J.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7, 29, 685. 

  9. Griffin, J.; Symington, D. Science Education 1997, 81, 763. 

  10. Kisiel, J. F.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03, 14, 3. 

  11. Julyan, C.; Duckworth, E. In Construc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Fosnot, C. T., Ed.; Teachers College Press: New York, U.S.A., 1996; p 107. 

  12. Han, M.; Yang, C.; Noh, 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4, 34, 33. 

  13. Choi, K.; Chang, H.; Lee, H.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6, 25, 331. 

  14. Griffin, J. Science Education 2004, 88, S59. 

  15. Han, M.; Yang, C.; Noh, 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0, 30, 1060. 

  16. Han, M.; Yang, C.; Noh, 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4, 34, 559. 

  17. Kim, J.; Oh, Y.; Choi, K.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2, 12, 261. 

  18. Chang, H.; Lee, H.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8, 27, 211. 

  19. Adam, J. D.; Gupta, P.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17, 54, 121. 

  20. Wallace, C. 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13, 24, 811. 

  21. Anderson, D.; Lawson, B.; Mayer-Smith, J. Teaching Education 2006, 17, 341. 

  22. Luehmann, A. L. Science Education 2007, 91, 822. 

  23. Yang, C.; Bae, Y.; Noh, 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5, 35, 95. 

  24. Arellano, E. L.; Barcenal, T. L.; Bilbao, P. P.; Castellano, M. A.; Nichols, S.; Tippins, D. J.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1, 38, 502. 

  25. Harrington, H. L.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995, 11, 203. 

  26. Pang, J.; Kim, S.; Choi, J. The Mathematical Education 2009, 48, 61. 

  27. Falk, J. H.; Dierking, L. D.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AltaMira Press: CA, U.S.A., 2000. 

  28. Song, J. W.; Kim, C.-J.; Kim, H.-B.; Yoo, J.; Lee, K. H.; Chae, H. K. The Study Book for Inquiry Learning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Connected with Exhibits of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Gyeonggi, 2009 

  29. Guisasola, J.; Solbes, J.; Barragues, J.; Morentin, M.; Moreno, 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9, 31, 2085. 

  30. Tal, R.; Bamberger, Y.; Morag, O. Science Education 2005, 89, 920. 

  31. Borun, M.; Chambers, M.; Cleghorn, A. Curator 1996, 39, 123. 

  32. Lucas, K. B. Science Education 2000, 84, 524. 

  33. Price, S.; Hein, G. 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91, 13, 505. 

  34. Bang, A. R.; Choi, A.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6, 60, 342. 

  35. Kang, C.-S.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2014, 21, 67. 

  36. Lee, H.-J.; Chang, J.-E.; Kim, H.-B. Biology Education 2013, 41, 181. 

  37. Noh, T.; Lee, J.; Kang,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2, 32, 11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