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대영전(大營煎)이 불용성 근위축에서의 apoptosis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aeyeoung-jeon on the Prevention of Disuse Muscle Atrophy in Rats

Abstract

Objectives : Skeletal muscle atrophy occurs in response to a variety of conditions. The unloading to muscle occurs clinically in limb immobilization, bed rest, spinal cord injury and peripheral nerve damage, resulting in significant loss of muscle mass and force production. Muscle disuse i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apoptotic signaling, which mediates some of the responses to unloading in the muscle. In this study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Daeyeoung-jeon extract would improve muscle recovery after reloading following disuse. Method : Twenty young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for the studies. The hindlimb immobilization was performed with casting tape to keep the left ankle joint in a fully extended position. No intervention was performed on the right leg and used as intact region. The Rats in Daeyeoung-jeon treated group (DYJ) were orally administrated Daeyeoung-jeon water extract, and rats of Control group were given with saline only. After 2 weeks of immobilization,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nd the whole gastrocnemius muscles were dissected from both legs. The morphology of right and left gastrocnemius muscles in both DYJ and Control groups were assessed by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Moreover, to investigate the immobilization-induced muscular apoptosis, the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Bax and Bcl-2 was carried out. Results : Daeyeoung-jeon represented the significant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reductions of the left gastrocnemius muscles weight and average cross section area to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treatment with Daeyeoung-jeon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the immunoreactivity of BAX and increased the immunoreactivity of Bcl-2 in gastrocnemius muscl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 : Daeyeoung-jeon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immobilization-induced muscle atrophy by regulating the activities of apoptosis-associated BAX/Bcl-2 proteins in gastrocnemius muscle.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결과, 불용성 근위축 손상에 대영전이 유의한 보호효과를 나타내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또한 근위축의 발생 과정 중에 apoptosis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 변화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불용성 근위축 손상에 대영전이 유의한 보호효과를 나타내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용성 근위축 손상에 대영전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2주간 흰쥐에 왼쪽 뒷다리의 발목관절을 casting tape로 고정시키고 대영전 물추출액를 경구 투여한 후 체중변화, gastrocnemius 근육의 무게, 근섬유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영전이 근위축에 미치는 영향에 연구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용성 근위축 손상에 대영전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2주간 흰쥐에 왼쪽 뒷다리의 발목관절을 casting tape로 고정시키고 대영전 물추출액를 경구 투여한 후 체중변화, gastrocnemius 근육의 무게, 근섬유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근위축의 발생 과정 중에 apoptosis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 변화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통해 관찰하였다.

  • 본 연구는 불용성 근위축 손상에서 대영전이 미치는 보호효과를 검증한 실험으로, 불용성 근위축을 유도하기 위하여 흰쥐의 발목관절을 2주간의 붕대 고정시키고 대영전 물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후, 2주 후에 실험동물의 체중변화, gastrocnemius 근육 무게, gastrocnemius의 근섬유 단면적 변화, 그리고 근위축에서의 apoptosis 기전과 관련된 지표들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불용성 근위축 손상에서 대영전이 미치는 보호효과를 검증한 실험으로, 불용성 근위축을 유도하기 위하여 흰쥐의 발목관절을 2주간의 붕대 고정시키고 대영전 물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후, 2주 후에 실험동물의 체중변화, gastrocnemius 근육 무게, gastrocnemius의 근섬유 단면적 변화, 그리고 근위축에서의 apoptosis 기전과 관련된 지표들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인위적 유발된 불용성 근위축에서 대영전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그 기전을 밝히기 위해 apoptosis 관련 단백질의 변화를 통해 관찰하였다.

    비록 근육의 여러 생리·병리적 상황에서의 apoptosis의 역할이 아직 명확히 밝혀지진 않았으나, apoptosis 기전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근육의 손상과 그 이후의 근육 재생을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연구들이 많이 존재한다23-25) . 본 연구는 인위적 유발된 불용성 근위축에서 대영전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그 기전을 밝히기 위해 apoptosis 관련 단백질의 변화를 통해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동물에 인위적인 불용성 근위축을 유발하기 위해 Udaka J 등16) 의 방법을 참고하여 흰쥐의 후지에 붕대고정(cast immobilization)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붕대고정은 임상에서 수술 후, 오랜 침상생활 혹은 노년층의 근육의 불사용 등에서 나타나는 불용성 근위축 등을 연구하기 위해 효과적인 방법이다.

  • 본 연구에서 실험동물에 인위적인 불용성 근위축을 유발하기 위해 Udaka J 등16) 의 방법을 참고하여 흰쥐의 후지에 붕대고정(cast immobilization)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붕대고정은 임상에서 수술 후, 오랜 침상생활 혹은 노년층의 근육의 불사용 등에서 나타나는 불용성 근위축 등을 연구하기 위해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인위적 유발된 불용성 근위축에서 대영전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그 기전을 밝히기 위해 apoptosis 관련 단백질의 변화를 통해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동물에 인위적인 불용성 근위축을 유발하기 위해 Udaka J 등16) 의 방법을 참고하여 흰쥐의 후지에 붕대고정(cast immobilization)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붕대고정은 임상에서 수술 후, 오랜 침상생활 혹은 노년층의 근육의 불사용 등에서 나타나는 불용성 근위축 등을 연구하기 위해 효과적인 방법이다. 흰쥐의 왼쪽 발목관절을 고정시 키고, 발목관절의 plantar flexion을 일으키는 종아 리의 주요 근육인 gastrocnemius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gastrocnemius 근육에서의 이러한 BAX와 Bcl-2 단백질의 발현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시행하였다.

    즉, pro-apoptotic protein인 BAX와 anti-apoptotic protein인 Bcl-2의 국소적인 비율이 세포사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 하다. 본 연구에서는 gastrocnemius 근육에서의 이러한 BAX와 Bcl-2 단백질의 발현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BAX의 경우 Control군과 DYJ군 모두에서 붕대 고정을 시킨 왼쪽 gastrocnemius 근육에서 오른쪽에 비해 BAX 단백질의 발현이 뚜렷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험 동물의 후지고정으로 유발된 근위축의 기전에서도 apoptosis가 관여하고 있음이 밝혀졌는데, 본 연구에서는 apoptosis 발생 여부와 그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pro-apoptotic protein인 BAX와 anti-apoptotic protein인 Bcl-2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였다.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골격근 위축의 발생기전에 있어 apoptosis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여러 병리적 상황에서 근육에서의 apoptosis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험 동물의 후지고정으로 유발된 근위축의 기전에서도 apoptosis가 관여하고 있음이 밝혀졌는데, 본 연구에서는 apoptosis 발생 여부와 그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pro-apoptotic protein인 BAX와 anti-apoptotic protein인 Bcl-2의 발현 변화를 관찰하였다. Apoptosis와 관련된 단백질 중 BAX와 Bcl-2의 발현은 proapoptic mechanism 을 유발과 억제를 측정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육감소증
근육감소증은 어떤 증상인가요?
연령 증가에 따른 근육량의 감소와 근력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며 결과적으로 운동능력 상실의 위험성을 높이게 된다

근육감소증(sarcopenia)은 연령 증가에 따른 근육량의 감소와 근력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며 결과적으로 운동능력 상실의 위험성을 높이게 된다1) . 팔다리의 고정이나 오랜 침상생활등으로 인해 근육을 사용하지 않는 기간이 늘어나게 되면 골격근 섬유의 위축을 유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근육을 약화시키고 삶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대영전
대영전은 어떤 처방인가요?
<景岳全書>에 처음 수록된 처방으로 ‘益命門, 補精血, 養肝腎, 壯筋骨’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서11) 임상에서 다양한 여성 질환과 내분비 질환 및 근골격계 질환에 다용되는 처방

대영전(大營煎)은 <景岳全書>에 처음 수록된 처방으로 ‘益命門, 補精血, 養肝腎, 壯筋骨’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서11) 임상에서 다양한 여성 질환과 내분비 질환 및 근골격계 질환에 다용되는 처방이다12,13) . 근골격계 질환에 있어서 대영전의 효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로는 난소 적출 후의 골다공증 개선 효과12) , 갑상선 기능저하에 대한 방어효과14) 가 보고되었다.

근위축의 기전
근위축의 기전에 관여하는 여러 세포기전의 사례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대표적인 것이 reactive oxygen species의 생성 증가인데, 예를 들어 골격근 근섬유가 hydrogen peroxide에 노출되게 되면 단백질 분해를 유발하는 단백질분해효소(protease) 를 활성화시키고 동시에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는 세포기전을 억제하게 된다3) . 또한 최근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불용성 근위축의 과정에 aopotosis 기전이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4) , 근육을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혹은 노화에 의한 자연스런 근육감소의 과정에서 apoptosis가 활성화되거나 가속화되는 것으로 알려졌 5,6) . Apoptosis는 세포사멸과 조직재생, 그리고 여러 생리학적인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필수적인데, 골격근에서 산화적 손상은 apoptosis 기전을 촉진시키는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7) . 이전 연구에 따르면, 동물실험에서 근육의 불사용으로 유발시킨 근위축 손상의 과정에 apoptotic DNA fragmentation의 증가와 proapoptotic BAX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또한 antiapoptotic Bcl-xL 단백질의 변화도 보고되었는데, Bcl-2의 경우 근위축 초기에 감소되지만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증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8) . 이러한 불용성 근위축에서의 apoptosis는 주로 실험동물의 후지에서 관찰되었으며8,9) , 혼합섬유로 구성된 gastrocnemius 근육5,6) 뿐 아니라 slow-twitch 인 soleus 근육에서도 관련된 조절 단백질들이 증가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10) .

이러한 근위축의 기전에는 근육에서의 단백질 합성과 단백질 분해를 조절하는 여러 세포기전들이 관여하게 된다2) . 대표적인 것이 reactive oxygen species의 생성 증가인데, 예를 들어 골격근 근섬유가 hydrogen peroxide에 노출되게 되면 단백질 분해를 유발하는 단백질분해효소(protease) 를 활성화시키고 동시에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는 세포기전을 억제하게 된다3) . 또한 최근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불용성 근위축의 과정에 aopotosis 기전이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4) , 근육을 오랜 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혹은 노화에 의한 자연스런 근육감소의 과정에서 apoptosis가 활성화되거나 가속화되는 것으로 알려졌 5,6) . Apoptosis는 세포사멸과 조직재생, 그리고 여러 생리학적인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필수적인데, 골격근에서 산화적 손상은 apoptosis 기전을 촉진시키는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7) . 이전 연구에 따르면, 동물실험에서 근육의 불사용으로 유발시킨 근위축 손상의 과정에 apoptotic DNA fragmentation의 증가와 proapoptotic BAX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또한 antiapoptotic Bcl-xL 단백질의 변화도 보고되었는데, Bcl-2의 경우 근위축 초기에 감소되지만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증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8) . 이러한 불용성 근위축에서의 apoptosis는 주로 실험동물의 후지에서 관찰되었으며8,9) , 혼합섬유로 구성된 gastrocnemius 근육5,6) 뿐 아니라 slow-twitch 인 soleus 근육에서도 관련된 조절 단백질들이 증가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10)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27)

  1. 1. Alway SE, Bennett BT, Wilson JC, Sperringer J, Mohamed JS, Edens NK, Pereira SL. Green tea extract attenuates muscle loss and improves muscle function during disuse, but fails to improve muscle recovery following unloading in aged rats. J Appl Physiol. 2015;118(3):319-30. 
  2. 2. Wall BT, Dirks ML, van Loon LJ. Skeletal muscle atrophy during short-term disuse: implications for age-related sarcopenia. Ageing Res Rev. 2013;12(4):898-906. 
  3. 3. Powers SK, Smuder AJ, Judge AR. Oxidative stress and disuse muscle atrophy: cause or consequence?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2012;15(3):240-5. 
  4. 4. Alway SE, Siu PM. Nuclear apoptosis contributes to sarcopenia. Exerc Sport Sci Rev. 2008;36(2): 51-7. 
  5. 5. Siu PM, Pistilli EE, Butler DC, Alway SE. Aging influences cellular and molecular responses of apoptosis to skeletal muscle unloading. Am J Physiol Cell Physiol. 2005;288(2):338-49. 
  6. 6. Siu PM, Pistilli EE, Alway SE. Apoptotic responses to hindlimb suspension in gastrocnemius muscles from young adult and aged rats.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005;289(4): 1015-26. 
  7. 7. Theilen NT, Kunkel GH, Tyagi SC. The Role of Exercise and TFAM in Preventing Skeletal Muscle Atrophy. J Cell Physiol. 2017;232(9): 2348-58. 
  8. 8. Dupont-Versteegden EE. Apoptosis in muscle atrophy: relevance to sarcopenia. Exp Gerontol. 2005;40(6):473-81. 
  9. 9. Marzetti E, Hwang JC, Lees HA, Wohlgemuth SE, Dupont-Versteegden EE, Carter CS, Bernabei R, Leeuwenburgh C. Mitochondrial death effectors: relevance to sarcopenia and disuse muscle atrophy. Biochim Biophys Acta. 2010; 1800(3):235-44. 
  10. 10. Allen DL, Linderman JK, Roy RR, Bigbee AJ, Grindeland RE, Mukku V, Edgerton VR. Apoptosis: a mechanism contributing to remodeling of skeletal muscle in response to hindlimb unweighting. Am J Physiol. 1997;273:579-87. 
  11. 11. Zhang Jie-bin. Jingyuequashu. Seoul: Jungdam. 1999:1070. 
  12. 12. Kim KW, Kim SC, Seo BI, Kim SH. A study on the effects of Daeyungjeon on ovariectomized osteoporosis of rats. The Korea Jounal of Herbology. 1998;13(1):59-81. 
  13. 13. Baek DG. The Clinical Study of 3 Menopausal Disorder Patients with Hot Flush and Depression Treated by Daeyeongjeongami-bang. Jou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2;23(4):199-214. 
  14. 14. Kim DH, Chi JS, Kim CJ, Cho SC. The Effects of Daeyoungjeon(DYJ) on the Hypothyroidism in Rats.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07; 22(4):35-43. 
  15. 15. Seo IB, Jeong SH, Park DS. Inhibitory Effects of Daeyeoungjeon on the Injury of Articular Cartilage Induced by Monosodium Iodoacetate in Rats.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017:27(2):9-17. 
  16. 16. Udaka J, Terui T, Ohtsuki I, Marumo K, Ishiwata S, Kurihara S, Fukuda N. Depressed contractile performance and reduced fatigue resistance in single skinned fibers of soleus muscle after long-term disuse in rats. J Appl Physiol. 2011;111(4):1080-7. 
  17. 17. Shibaguchi T, Yamaguchi Y, Miyaji N, Yoshihara T, Naito H, Goto K, Ohmori D, Yoshioka T, Sugiura T. Astaxanthin intake attenuates muscle atrophy caused by immobilization in rats. Physiol Rep. 2016;4(15):1-8. 
  18. 18. Lei T, Li H, Fang Z, Lin J, Wang S, Xiao L, Yang F, Liu X, Zhang J, Huang Z, Liao W. Polysaccharides from Angelica sinensis alleviate neuronal cell injury caused by oxidative stress. Neural Regen Res. 2014;9(3):260-7. 
  19. 19. Fujita R, Tanaka Y, Saihara Y, Yamakita M, Ando D, Koyama K. Effect of molecular hydrogen saturated alkaline electrolyzed water on disuse muscle atrophy in gastrocnemius muscle. J Physiol Anthropol. 2011;30(5): 195-201. 
  20. 20. Midrio M. The denervated muscle: facts and hypotheses. A historical review. Eur J Appl Physiol. 2006;98(1):1-21 
  21. 21. Siu PM, Pistilli EE, Murlasits Z, Alway SE. Hindlimb unloading increases muscle content of cytosolic but not nuclear Id2 and p53 proteins in young adult and aged rats. J Appl Physiol. 2006;100(3):907-16. 
  22. 22. Alway SE, Mohamed JS, Myers MJ. Mitochondria Initiate and Regulate Sarcopenia. Exerc Sport Sci Rev. 2017;45(2):58-69. 
  23. 23. Theilen NT, Kunkel GH, Tyagi SC. The Role of Exercise and TFAM in Preventing Skeletal Muscle Atrophy. J Cell Physiol. 2017;232(9): 2348-2358. 
  24. 24. Reilly BD, Franklin CE. Prevention of muscle wasting and osteoporosis: the value of examining novel animal models. J Exp Biol. 2016;219(17): 2582-95. 
  25. 25. Yu Y, Chu W, Chai J, Li X, Liu L, Ma L. Critical role of miRNAs in mediating skeletal muscle atrophy. Mol Med Rep. 2016;13(2): 1470-4. 
  26. 26. Zhang J, Li Y, Li G, Ma X, Wang H, Goswami N, Hinghofer-Szalkay H, Chang H, Gao Y. Identification of the optimal dose and calpain system regulation of tetramethylpyrazine on the prevention of skeletal muscle atrophy in hindlimb unloading rats. Biomed Pharmacother. 2017;96:513-523. 
  27. 27. Rozenberg D, Martelli V, Vieira L, Orchanian-Cheff A, Keshwani N, Singer LG, Mathur S. Utilization of non-invasive imaging tools for assessment of peripheral skeletal muscle size and composition in chronic lung disease: A systematic review. Respir Med. 2017;131:125-134.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Access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