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의 간호인력 실태와 개선 방안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 Strategies regarding the Nursing Workforce in Public Health Center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1 no.3, 2017년, pp.421 - 435  

한영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양숙자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ublic health centers (PHCs) provide a variety of health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Regional Public Health Act (RPHA). We aim to analyze the changes in public health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legislation and the number of public health nurse (PHN) involved in the service, and propo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연구목적에 따라 문헌고찰과 자료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 종설논문이다. 지역보건법(구 보건소법), 국민건강증진법, 정신보건법 등 보건사업 관련주요 법령, 보건복지부 등 정부의 주요 정책보고서 및 통계자료, 그리고 보건소의 기능 및 역할, 사업, 인력, 조직 등에 관한 학술지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 이에 지역보건법(구 보건소법) 등 관련 주요 법령의 제·개정에 따라 보건소 사업이 어떻게 변화하였고 그 사업을 수행하는 주된 인력인 간호사의 숫자는 얼마나 되는지 변화과정을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보건소 간호사 인력의 적정 배치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의료서비스의 효율적인 기능을 위해 무엇이 중요한가? 이처럼 국가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그리고 중요 보건정책 변화에 따라 일선 보건기관으로 수많은 새로운 업무를 생성 및 전달하였지만 그 업무를 수행하는 주체인 양질의 보건인력의 수급에 대한 검토와 대안 모색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다. 보건의료서비스는 노동집약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건소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는 업무수행의 주체인 인력의 확보와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Bae, Lee, Kim, & Lee, 2010; Lee, Na, Kim,& Kim, 2007).
국민의료법이 제정된 계기는 무엇인가? 정부는 1945년 해방 후 6.25 전쟁으로 모든 의료시설이 파괴되고 피난민들로 인해 전염병 발생위협이 매우 높아진 시기인 1951년 보건진료소 설치(무의촌 공의제도)를 주요 골자로 하는 국민의료법을 제정·공포하였고, 1956년에는 당시 500여개로 증가된 보건진료소를 보건소로 정리하고 사업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보건소법을 최초로 제정하였다(Bae, Lee, Kim, & Lee, 2010). 이후 보건소는 공공보건의료체계의 하부조직으로 지역주민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증진시키는 주요한 역할을 지속적으로 담당하여왔다(Oh & Ha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K. S., & Jung, M. S. (1995). Role change, job satisfaction and obstacles in carrying out the role of public health nurses in health center. Korean Journal of Rural Medicine, 20(1), 1-13. 

  2. Bae. S. S., Lee. S. W., Kim. J. W., & Lee. S. M. (2010). New Approach to strengthening of Local Public Health System. Seoul: Korean Medical Association. 

  3. Bae, H. J., & Kim, J. H.(2015). Estimating need for home visiting nurse from public health center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2(1), 23-32. https://doi.org/10.16952/pns.2015.12.1.23 

  4. Cho, W. J., & Kim, Y. R. (1992). A study of community diagnosis activity by community health nurses working in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6(1), 32-45. 

  5. Han, Y. R. Lee, B. S., & Kim, B. J. (2016). Public health nurses's perception of their roles and du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30(3), 526-543. http://dx.doi.org/10.5932/JKPHN.2016.30.3.526 

  6. Kang, Y. S., Park, N. H,. Park, Y. I., Park, E. O., Park, I. H., Park, J. S., et al. (2012). Understanding and prospect of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The Korean Society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eoul: Made by One. 

  7. Kim, J. S. (2010). Performance process of nurses in the public health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8.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 50 years of graduate school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1959-2009.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9. Jang, H. S., Nam, S. Y., Lee, T. B., Jin, Y. R., & Choi, B. A. (2006). Development of monitoring system and activation plan for public health center based home healthcare, Cheongwo-gu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10.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7). Annual Report 2016. Retrieved December 4, 2017, from http://www.khealth.or.kr/b/98 

  11. Lee, G. E., & Song, Y. S. (2005). Job satisfaction and work system improvements of public health nurses. Nursing Science, 17(1), 48-58. 

  12. Lee, S. J., Na, B. J., Kim, S. Y., & Kim, K. M. (2007). Development of an application and expansion plan of manpower for effective activities of public health organizations.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Health Promotion Support Group. 

  13. Lim, J. Y., Lee, I. S., Song, M. S., Kang, Y. S., Park, Y. I., Han. Y. R., et al. (2016). Health care service model development for the Vulnerable social group in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14. Promotion Institute. (2015). The Fourth Health Plan 2020 (2016-2020). Retrieved December 4, 2017. from http://www.khealth.or.kr/b/98?bi9037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70 Years of Health and Welfare: From the Age of disease to the Age of Health. Sejeong-s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61-20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book 1960-2016.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2016 Health and welfare white paper. Retrieved December 4, 2017,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 

  18. National Law of Information Center. (2017). Medical care assistant act. Retrieved December 4, 2017, from http://www.law.go.kr/main.html 

  19. National Law of Information Center. (2017). Medical service act. Retrieved December 4, 2017, from http://www.law.go.kr/main.html 

  20. National Law of Information Center. (2017). Mental health act. Retrieved December 4, 2017, from http://www.law.go.kr/main.html 

  21. National Law of Information Center.(2017).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Retrieved December 4, 2017, from http://www.law.go.kr/main.html 

  22. National Law of Information Center. (2017). Regional public health act. Retrieved December 4, 2017, from http://www.law.go.kr/main.html 

  23. Oh. P. J., & Han. S. J. (2002). A study on the projected workforce for public health nurs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3(4). 757-766. 

  24. Oh. Y. H. (2017). 2030 Nurse supply and demand estimation and policy directio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Nurse Association Head Meeting. 

  25. Park, Y. H., Bae, S. S., Choi, J. M., Lee, S. G., Lee, S. I., Lee, G. S., et al. (2003). A research on the improvement measures about the system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health center in executing health promotion programme, Seoul: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6. Park, E. S., & Ryu, H. S. (2001). A study on developing strategies for expanding the roles of public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4), 712-721. 

  27. Public Health Nurses Association. (2017). [Public health sector nursing staff statistics]. Unpublished raw data. 

  28. Song. M. S., & Han. Y. R. (2009). Job Analysis of public health nurses. Seoul: Public Health Nurses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