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비만여성의 음주, 스트레스, 수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대별 비교
The Influence of Drinking, Stress, and Sleep on Depression of Korean Obese Women by Different Age Group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1 no.3, 2017년, pp.451 - 463  

전해옥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rinking, stress, and sleep on depression of Korean obese women. Methods: The data of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condu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15 by K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5년도에 질병관리본부에 의해 수행된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분석연구로, 연령별로 비만 여성의 음주, 스트레스, 수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단면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근간으로 비만여성의 음주, 스트레스, 수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연령대별로 파악하여, 우울 및 심리적 건강관리를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체질량지수, 주관적 체형인식, 체중변화여부, 체중조절여부와 같은 비만관련 특성에 있어 모두 연령대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20-30대 비만여성의 경우 다른 연령대에 비해 체질량지수가 높고, 본인의 체형을 ‘매우 비만’이라고 인식하는 비율도 가장 높았다.
  • 본 연구는 한국 비만여성의 음주, 스트레스, 수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연령대별로 비교하여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표본 자료를 가중치, 층화변수, 집락변수를 고려하여, 우리나라 국민 전체를 대표할 수 있도록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 2016; Xiang & An, 2015)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비만으로 분류된 20대~70대 여성 935명을 대상으로 연령별로 비만 여성의 음주, 스트레스, 수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연령별 차이를 고려하고, 비만 여성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 증진을 위한 간호학적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질량지수가 증가하면 어떤 영향이 일어나는가? 우울과 같은 정서장애는 비만을 비롯한 다른 질환의 원인 및 결과가 되는데,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체질량지수와 우울의 유의한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다(Cha, Park, & Kim, 2008; Kinder, Carnethon, Palaniappan, King, & Fortmann, 2004; Raikkonen, Matthews, & Kuller, 2002).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스트레스, 우울, 폭식정도가 유의하게 높고, 우울, 스트레스, 폭식정도 간의 상호작용도 높게 나타나(Park, Lim, & Cho, 2009), 비만한 사람의 우울 및 정신건강의 관리가 함께 관리되어야 하는 중요한 부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만 및 비만으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건강문제에 예의주시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은 스위스와 함께 현재보다 비만율이 빠르게 늘어나는 국가로 예상되고 있는데(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7), 비만은 신체적으로 다양한 건강문제를 유발하고, 신체상에 대한 불만족, 우울 및 정서장애 발생의 요인이 되므로(Thomas & Albert, 2004), 비만 및 비만으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건강문제에 대해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우울과 같은 정서장애는 비만을 비롯한 다른 질환의 원인 및 결과가 되는데,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체질량지수와 우울의 유의한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다(Cha, Park, & Kim, 2008; Kinder, Carnethon, Palaniappan, King, & Fortmann, 2004; Raikkonen, Matthews, & Kuller, 2002).
여성의 비만이 우울 및 스트레 스와 관련하여 정신적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에 이상을 일으켜 지속적인 코티졸 분비를 유발하고, 내장지방 및 식욕을 증가시켜 비만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Kim, 2004), 중년여성의 경우 중등도 이상의 스트레스와 특성불안 증상이 있는 경우에 우울증상 발생 가능성이 높았고, 식습관, 술을 즐겨 마시는 것과 낮은 수면의 질이 우울증상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Kwon, Kim, Joe, Ko, & Cho, 2014). 이를 통해 여성의 비만은 우울 및 스트레 스와 관련하여 정신적 건강에도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 E. S., Park, M. Y., & Kim, G. A. (2008). A comparison analysis of somatotype, physical activity, mental health, healthy behavior between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college student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8(4), 245-255. 

  2. Doo, M., & Kim, A. Y. (2007). Recognition of body weight los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0(7), 658-666. 

  3. Han, I., Yoo, H., Ryu, O., Sim, K., & Rhee, Y. (2010). Obesity and depression in women at an obesity clinic: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physique anxiety and stres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0, 147-153. 

  4. Han, S. J., & Kim, H. S. (2014).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low-income elderly living at home based on ICF model.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2), 333-347.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2.333 

  5. Hoe, M., & Jang, S. O. (2010). Trends in alcohol problem among young adult cohorts-Effects of gender and depression. Social Science Research, 26(4), 327-350. 

  6. Jang, I. S. (2008).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alcohol use disorder in eld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2(3), 165-176. 

  7. Jo, I. K. (2009). Women's health issues from the 4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7) -Focusing on quality of life, smoking, drinking, nutrition and exercise-. The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10(1), 115-152. 

  8. Kim, B. G. (2016).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elders' obesity level and their mental health -based on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9. Kim, H. R., Choi, Y. J., & Choi, J. K. (200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problem drinker and their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4(2), 105-118. 

  10. Kim, J. (2003). A study on adult women's sleep disorder and depress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5(2), 296-304. 

  11. Kim, J., & Chun, S. (2014).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atterns of alcohol drinking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0(1), 99-108. 

  12. Kim, M., & Chang, U.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obesity by age and the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2(1), 110-122. 

  13. Kim, S. M. (2004). Stress and obesity.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2(3), 17-20. 

  14. Kinder, L. S., Carnethon, M. R., Palaniappan, L. P., King, A. C., & Fortmann, S. P. (2004). Depression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young adult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sychosomatic Medicine, 66(3), 316-322. 

  15. Kwon, E., Kim, H., Joe, S., Ko, S., & Cho, H. (2014). Association of menopausal status, psychological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depressive symptoms of middle-aged Korean women. Health and Social Science, 35, 25-54. 

  16. Lee, H. S., & Ko, Y. (2017). The effects of self-esteem,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mong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1), 58-70. http://dx.doi.org/10.5932/JKPHN.2017.31.1.58 

  17. Lipton, R. I. (1994). The effect of moderate alcohol u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4, 1913-1917. 

  18. Mannan, M., Mamun, A., Doi, S., & Clavarino, A. (2016). Is there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obesity among adult men and women? Systematic review and bias-adjusted meta analysis. Asian Journal of Psychiatry, 21, 51-66. http://dx.doi.org/10.1016/j.ajp.2015.12.008 

  19. Mill, J. G., Vogelzangs, N., Someren, E. J., Hoogendijk, W. J., & Penninx, B. W. (2014). Sleep duration, but not insomnia, predicts the 2-year course of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75(2), 119-126. http://dx.doi.org/10.4088/JCP.12m08047.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December).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statistics 2015. Retrieved October 21, 2017,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21. Oh, S. W. (2009). Effect of alcohol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8(1), 1-7. 

  2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besity Update 2017. (2017, May). Retrieved October 20, 2017, from https://www.oecd.org/health/health-systems/obesity-update.htm 

  23. Park, H. R., & Lee, J. (2004). Research on culture of women's alcohol consumption: When women drink?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9(2), 39-52. 

  24. Park, J. E., Lim, S. J., & Cho, Y. W. (2009). Study on stress, depression, binge eating, and food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based on their BMI.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4(2), 175-181. 

  25. Park, M. H., & Jeon, H. O. (2015). The influence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n depression among Korean female problem drink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7844-7854.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1.7844 

  26. Raikkonen, K., Matthews, K. A., & Kuller, L. H.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risk attributes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healthy women: Antecedent or consequence? Metabolism, 51(12), 1573-1577. https://doi.org/10.1053/meta.2002.36301 

  27. Thomas, A. W., & Albert. J. S. (2004). Handbook of obesity treatment.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8. World Obesity Federation. (2017, October). Treat obesity now and avoid the consequences later. Retrieved October 20, 2017, from http://www.obesityday.worldobesity.org/ 

  29. Xiang, X., & An, R. (2015). Obesity and onset of depression among U. S. middle-aged and older Adul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78(3), 242-248. http://dx.doi.org/10.1016/j.jpsychores.2014.12.008 

  30. Zhai, L., Zhang, H., & Zhang, D. (2015). Sleep duration and depression among adults: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studies. Depression and Anxiety, 32(9), 664-670. http://dx.doi.org/10.1002/da.223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