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탄화력 탈황설비 Non-leakage Type Gas-Gas Heater(GGH) 운영 및 개선사례
Operation and Improvement Cases of FGD Non-leakage Type Gas-Gas Heater(GGH) for Coal Fired Power Plants 원문보기

한국연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bustion, v.22 no.4, 2017년, pp.35 - 42  

성기종 (한국남동발전(주)) ,  이창식 (한국남동발전(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case covers the issues related to the operation problem, cause analysis and improvement cases of the FGD that employed the non-leakage type GGH in coal-fired power plant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the Cooler, there was a main problem that the tube is damaged by the ash cutting due to the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운영사례에서는 국내 최초로 영흥발전본부에서 운영되고 있는 Non-leakage type GGH의 특성과 운영 문제점, 원인 분석 및 개선사항들에 대해 알아 보았다.
  • 그러나, 설비운영을 통해 경험한 바에 의하면 기존 Leakage type GGH에서와 같은 막힘에 의한 차압상승, 저온부식 등의 문제가 유사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그 정도가 오히려 더 심하다는 문제가 있었고,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개선노력들이 이루어졌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발생메커니즘, 원인분석, 개선사례를 통해 앞으로 Non-leakage type GGH 관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황설비는 무엇인가? 탈황설비는 석탄 및 고체연료의 구성물질 중 하나인 황(Sulfur, S)이 보일러 내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황산화물(SOx)을 흡수, 흡착, 산화, 환원 등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설비이다. 황산화물 저감기술은 크게 습식 및 건식탈황으로 구분되며, 전 세계적 으로 습식 탈황설비가 약 87%를 차지하고 있다.
Reheater에서 부식메카니즘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원인분석 결과 Cooler에서는 ANCOR-H강의 내마 모도 특성이 낮아 최초 ash cutting에 의한 튜브 침식이 발생하였고, 침식에 의한 열매체 누설, 염화암모늄 생성 및 튜브 표면 퇴적, 연소가스 유속 증가 등의 복합적인 원인으로 작용한 것을 알 수 있다. Reheater 에서는 저온부식, 산부식등의 원인으로 최초 흡수탑 슬러리의 carry over로 인한 튜브 표면 퇴적, 퇴적된 슬러리에 포함되어 있는 고농도 염소이온에 의한 부식발생, 튜브 부식 순으로 부식메카니즘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on-leakage type GGH 설비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중 탈황설비(Flue Gas Desulfurization, FGD)에는 국내 대용량 석탄발전소 최초로 열매체순환식으로 알려져 있는 Non-leakage type GGH(Gas Gas Heater)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설비는 황산화물뿐만 아니라, 먼지 배출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최신기술로써, 기존 Leakage type GGH(회전재생식)와 다르게 연소가스의 압력차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율을 원천적 으로 차단하여 대기오염물 배출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설비의 핵심요소이다. 현재 국내 대용량 석탄발전소에서는 유일하게 영흥발전본부에서만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61603&efYd19880225#0000 

  2. http://www.me.go.kr/issue/project/project.html 

  3. http://www.koenergy.kr/kosep/fr/main.do 

  4. Kang KK and Kim JW, Environmental Impact and Economic Analysis for Expanding Young-Heung Power Plants, Seoul,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2, 18-19. 

  5. Lee JO, Practice of Atmospheric Environment, Korea Power Learning Institute, 2016, 88-89. 

  6. Lee JO, Practice of FGD Management, Korea Power Learning Institute, 2016, 10-62. 

  7. Ministry of Environment, Optimization of 500MW KEPAR De-SOx technology, Daejeon,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2004, 172-191. 

  8. http://kepco-enc.com/portal/contents.do?key1449 

  9. KC Cottrell, Research of improvement of FGD and SCR of Yeongheung power plant #1-4, Korea South-East Power Company, 2012, 1-135. 

  10. Lee JO, Practice of Fuel Management, Korea Power Learning Institute, 2016, 10-62. 

  11. Seo YM, Plan of Improving the FGD Non-leakage type GGH of Yeongheung Power Plant #3,4, 2012, Internal Rep.YK(Turbine)-46704, 1-18. 

  12. Jeong HR, Case Study for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FGD, 2017, Internal Presentation slide, 1-2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