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000 MW 석탄화력발전소 대기환경오염물질 제거효율 향상을 위한 탈황설비 성능개선
Enhancement of Desulfurization System Efficiency in 1,000 MW Coal-Fired Power Plants 원문보기

플랜트 저널 = Plant journal, v.17 no.2, 2021년, pp.32 - 41  

이영수 (한양대학교 파워엔지니어링공학과) ,  문승재 (한양대학교 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 문제가 국가적 이슈로 급부상 하고있는 추세이며 특히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한 강도높은 환경규제치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석탄화력발전소 주요 대기오염 배출물질인 황산화물과 먼지 제거를 위한 탈황설비 성능개선 사례에 대해 소개하고 있으며 현재 운영중인 1,000 MW 발전소의 성능개선을 위한 네가지 Case Study를 수행하고 공사를 하였다. 탈황설비 흡수탑 개조를 통해 액기비를 증대시켰으며 산화공기 유량을 증대시켜 기액 반응을 촉진하였다. 또한 가스가스히터 누설률을 개선하여 최종 탈황설비 효율을 향상시켰다. 기존 설비와 조화를 고려한 성능개선 공사를 통해 2023년부터 적용될 규제치(황산화물 25ppm, 먼지 5mg/Sm3)를 만족할 것으로 예상되며 타 화력발전소에 검토 및 적용하는데 참고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ir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fine dust have rapidly emerged as national issues, and intensive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being applied to coal-fired power plants. This study introduces the cas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esulfurization facilities for removing sulfur oxides and...

주제어

참고문헌 (14)

  1.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2017 "Technical Proposal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SinBoryeong Thermal Power Dehydrogenation Facilities." 

  2. Chungcheongnam-do, 2019 "Ordinance on Standards for Allowance of Air Pollutants in Chungcheongnam-do". 

  3. Kim Jong-sung, 2018, "Performance Improvement of 500 MW Coal-fired Power Plant desulfurization Facilities with Structural Constraints," Hanyang University Master's Degree Paper, p. 18, pp. 23-25. 

  4. Choi Hyun-ho, 2018, "appropriate pH for desulfurization facilities of 200 MW anthracite power plants," Hanyang University's master's degree thesis, p. 20. 

  5. Binlin Doubt, 2009, "Prediction of SO 2 Removal Efficiency for We Flue Gas Desulfurization". 

  6. Zhen et al, 2018, "Experimental study on the synthetic restoration of fine particles by we flow gas desulfurization tower with a flow pattern control device." 

  7. Park Seung-soo, Ahn Hee-soo, 2011, "How and its devices improve desulfurization rates in the smoke desulfurization process,"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p. 3-4. 

  8. Korea Institute of Development Education, 2016, "Working on Desulfurization Facilities," 2016 Development Bridge-Revision-3 Textbook. 

  9. Sung Ki-jong, Lee Chang-sik, 2017,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Non-leakage Type GasGas Heater(GGH) forCoal-fired Dehydrogenation Facilities," Korean Combustion Society, p. 37. 

  10. KEPCO E&C, 2017, "Review on the improvement of atmospheric environmental facilities' performance by strengthening standards for allowing air pollutant emissions," pp. 9-10. 

  11. Korea Midland Power Co., 2017. "Shin Boryeong Air Environment Facility Performance Improvement Plan," Construction Office. 

  12. SRI EPA Report, 2006, "Estimized SO 3 Removal Efficiency," Table 2-4. 

  13. Korea Midland Power Co., 2019, "Report on the Second Performance Test Results of Shin Boryeong Unit 2 Back-to-Fluoride Evacuation Facility," Turbine Technology Department. 

  14. Korea Electric Power Corp., 2017, "Operation Manipulation Manual", pp. 15-5, 15-28, 15-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