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험물질(유류·HNS) 해양사고 인명 및 환경피해 위험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isk Analysis of Human Loss and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Hazardous Materials (Oil and HNS) Marine Accidents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3 no.6, 2017년, pp.603 - 612  

조심정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김동진 (부산대학교 무역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류와 위험 유해물질(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이하 HNS)을 포함하는 위험물질의 해상운송 중에 발생하는 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위험물질 해양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예방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생하는 위험물질 해양사고 자료(2002~2014)를 수집하여 인명 및 환경 위험도를 분석하였으며, 사고원인 규명 및 적절한 예방대책이 필요한 우선 안전관리분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명위험도는 선박 수리 및 탱커세정(tank cleaning)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폭발 및 인명사고 중 질식 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위험도는 충돌, 좌초 등에 의한 유출사고로 인해 발생하였다. 또한 비포장 상태의 위험화물을 선박에 적재 중 취급부주의로 인하여 유출사고가 일어났다. 다수의 사고는 적합한 안전장비 미착용, 취급 부주의 등 인적오류로 인한 사고로서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주기적인 교육 훈련을 통하여 사고 저감이 가능하다. 위험물질 해양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물질 자체 고유의 특성상 유해성과 위험성을 지닌 위험물질(유류와 HNS)에 대한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idents associated with hazardous materials, including oil and HNS, in maritime transportation show increasing trend. Therefore, preventive countermeasures for such accidents should be provi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vel of risk on human loss and potential damage to environ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인명위험 뿐만 아니라 환경위험까지 고려하여 위험물질 해양사고의 위험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때 인명위험에 사망자뿐만 아니라 부상자를 고려하였으며, 이를 위해 미국 교통부 MAIS(Maximum Abbreviated Injury Scale) 기준에 따라 부상의 정도에 따라 사망자로 환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유류 및 HNS 등 위험물질 해양사고 자료(2002~2014)를 수집하여 인명 및 환경위험도를 분석하여, 사고원인 규명 및 예방대책이 필요한 우선 안전관리분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13년간(2002~2014) 국내 주요 항만과 해상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하여 인명 및 환경위험도를 분석하였으며, 사고 저감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분석으로서 질식 및 유출사고 사례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사고 유형별 발생 특징을 파악하여 사고 예방 및 대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생한 위험물질 해양사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인명손실과 환경피해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 NFPA 704 Code는 화학물질의 물리적인 위험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4가지 분야(보건, 화재, 반응 및 특수)로 나누어 0에서 4 사이로 표시한다(OSHA, 2013). 본 연구에서는 환경피해를 산출하기 위해서 각 물질의 보건 분야 위험성을 활용하였다. 보건 분야 위험등급은 물질이 인체에 접촉 또는 노출 시, 장애 또는 부상을 입을 위험성을 나타낸다.
  • 이를 통해 위험물질 해양사고에 대하여 더욱 정확하고 다각화된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특히 인적오류 개선 등 사람이 노력하면 중점적으로 사고 예방이 가능한 실효성 있는 저감방안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세계 2014년 해상물동량은 어떠한가? 전 세계적으로 2014년 해상물동량은 98억 4,170만 톤으로, 이 중 원유가 17억 1,030만 톤(17.37 %)이며 석유 제품은 11억 1,610만 톤(11.34 %)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유류와 HNS를 포함하는 위험물질의 물동량은 전 세계 해상물동량의 1/3에 해당하며, 최근 10년간 약 20 % 증가한 것으로 집계 되었다(UNCTAD, 2015).
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예방대책이 필요한 이유는? 유류와 위험 유해물질(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이하 HNS)을 포함하는 위험물질의 해상운송 중에 발생하는 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위험물질 해양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예방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생하는 위험물질 해양사고 자료(2002~2014)를 수집하여 인명 및 환경 위험도를 분석하였으며, 사고원인 규명 및 적절한 예방대책이 필요한 우선 안전관리분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HNS의 특징은? HNS는 해상으로 운송되는 위험하거나 유해한 화학물질을 말한다. 이는 약 6,000여 종으로 다양한 형태를 띠며,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선종으로 운송되는 특징이 있다. 유해액체물질(불산, 암모니아, 황산, 벤젠, 자이렌 등), 액화가스(LNG/LPG등), 산적고체위험물(석회석, 비료, 유연탄 등), 포장위험물(폭약·폭죽, 페인트 등) 등으로 분류된다(IMO,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 S. J., D. J. Kim and K. S. Choi(2013),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Risk Assessment and Accident Prevention Measures on Domestic Marine Transpor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9, 2, pp. 145-154. 

  2. Cho, S. and D. Kim(2013), A Study on Accidents of Hazardous Materials (Oil and HNS) Maritime Transportation in Major Domestic Ports by Formal Safety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8, No. 8, pp. 57-65. 

  3. IMO(2014), The 2010 HNS Convention. 

  4. Kim, D. J. and S. Y. Kim(2008), A Methodology for Risk Analysis on Ship Accidents at Port Area,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Vol. 59, pp. 105-121. 

  5. Kim, G. and J. M. Il(2009), The Study for Hazardous Material Inci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9, No. 1, pp. 91-97. 

  6. Kim, K., J. Gang and M. Lee(2015a), Comparison of Response Systems and Education Courses against HNS Spill Incidents between Land and Sea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1, No. 6, pp. 662-671. 

  7. Kim, Y. R., T. W. Kim, M. H. Son, S. Oh and M. Lee(2015b), A Study on Prioritization of HNS Management in Korean Wa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1, No. 6, pp. 672-678. 

  8. Lee, E. B., J. H. Yun and S. T. Chung(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sponse Resource Model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Based on the Risks of Marine Acci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ol. 6, No. 10, pp. 857-864. 

  9. Lee, M. and S. Oh(2014), Development of Response Scenario for a Simulated HNS Spill Incid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0, No. 6, pp. 677-684. 

  10. MPSS(2016a), Introduction of new machinery, like HNS responsive vessel, to enhance capability for marine accidents, Press Release, 2016.3.17. 

  11. MPSS(2016b), Development of marine pollution risk index by port and sea, Press Release, 2016.4.18. 

  12. OSHA(2013), OSHA quick card: Comparison of NFPA 704 and HazCom 2012 Labels. 

  13. Park, M. O., H. S. Park, T. Kim, S. Oh and M. Lee(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NS Database for Response System of Marine Spill Acciden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2, No. 1, pp. 52-58. 

  14. Seo, J. H. and H. D. Pyo(2014), Improving the Response system for(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Spill of Vessels inn the M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Act Of Korea,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Vol. 10, No. 12, pp. 147-169. 

  15. UNCTAD(2015), Review of Maritime Transport 2015, Report. 

  16. UNISDR(2009), Terminology in Disaster Risk Deduc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