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 화학물질 유출사고 대응을 위한 한국형 위험유해물질의 데이터베이스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NS Database for Response System of Marine Spill Accident in Kore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2 no.1, 2016년, pp.52 - 58  

박미옥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박현실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김태홍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오상우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안전연구부) ,  이문진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안전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공시된 545종의 위험유해물질의 국제 해상운송위험물 코드를 포함한 다양한 물질 고유번호들을 수집하고 물질정보와 위험성에 대해 조사한 후, 이미 개발된 미국, 일본, 유럽형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여, 해상 운송되는 국내 HNS의 물질정보와 폭발성과 부식성을 포함한 거동특성에 대한 자료를 취합한 한국형 위험유해물질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 육상 환경위주의 위험유해물질의 데이터베이스의 문제점과 혼합물 위험유해물질의 물질정보의 부재를 포함한 해결해야할 문제점을 보고하였다. 해양유출사고에 대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국내 해양환경에 맞는 기본모델을 구축하고 추후 확장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ollected various substance code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hazard level of the 545 HNS which was determined earlier, and constructed the Korean HNS database including 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IMDG) codes,, informations of explosive and corrosive chara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국외의 HNS 사고에 대비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단순한 물동량 기준으로 고시된 현재의 HNS 물질 545종은 향후 사고에 대비한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 제고되어야 할 점이 많으므로, 앞으로 HNS의 우선 순위도를 인체 및 해양환경에 대한 유해성과 사고 대응 시 위험성 그리고 사고이력을 포함한 자료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하고 체계적인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해양 HNS 유출 사고 발생 시 적합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고려할 점과 기존 국외의 데이터베이스들의 검토하고 국내의 기존자료들을 활용한 해양 위험유해물질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기초를 다지고자 한다. 또한 대응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물질정보와 위험도를 포함한 대응정보를 활용해 추후데이터의 확장을 위해 우선순위 선정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고찰하고, 누락된 자료 및 혼합물에 대한 물성자료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한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해상 운송되는 약 6천 종의 HNS에 비해, 현재 이용 가능한 68종의 해상 유출에 대비한 위험유해물질 데이터베이스는 매우 부족한 자료이므로 데이터베이스의 자료 확보는 해상운송에 대한 안전관리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확장해야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료가 수집되기까지 본 연구에서는 해양환경관리법상의 유해액체물질 545종을 우선 선택하여, 국내 사정에 맞는 해양 HNS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요소와 다양한 자료의 공급원 중 선택의 기준을 검토하여 초기단계의 HNS 데이터베이스의 기본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해양 HNS 유출 사고 발생 시 적합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고려할 점과 기존 국외의 데이터베이스들의 검토하고 국내의 기존자료들을 활용한 해양 위험유해물질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기초를 다지고자 한다. 또한 대응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물질정보와 위험도를 포함한 대응정보를 활용해 추후데이터의 확장을 위해 우선순위 선정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고찰하고, 누락된 자료 및 혼합물에 대한 물성자료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한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국내외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선진국의 표준화된 분류체계와 데이터베이스를 검토하여, 국내 유해위험물질의 관리와 사고대응을 위한 안전 관리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의 기본 인프라를 마련할 수 있는 한 측면에서 국내 해양 유해위험물질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필요한 요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번 물질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온도조건을 실온 20℃로 고정하여 정리하고 그 외, 온도에서 측정한 값만 있을 경우 조건을 명시하였다. 또한 유사한 명칭의 물질명도 worksheet에 별도로 준비하여 추후 HNS 대응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할 경우 사용하고자 하였다. 대응 정보를 신속하고도 정확한 전달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단계별 번호화가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육상 환경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HNS 데이터베이스와 다른 한국형 해양 HN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국내외 기존자료를 참고하고 검토하였다. 그 중 CAMEO, KISChem, NCIS을 주요 참고자료로 선택해서, 국내의 법정고시된 해양환경관리법상의 유해액체물질 540여종의 HNS의 물질정보를 수집하였으며, 향후 데이터베이스 확장시 위험성이 큰 물질부터 추가하기 위해 HNS 물질의 폭발성 및 부식성에 대한 위험도 순위를 별도로 자료화 하였다.
  • 또한 대응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물질정보와 위험도를 포함한 대응정보를 활용해 추후데이터의 확장을 위해 우선순위 선정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고찰하고, 누락된 자료 및 혼합물에 대한 물성자료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한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국내외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선진국의 표준화된 분류체계와 데이터베이스를 검토하여, 국내 유해위험물질의 관리와 사고대응을 위한 안전 관리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의 기본 인프라를 마련할 수 있는 한 측면에서 국내 해양 유해위험물질의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 필요한 요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우선순위 매김의 기초자료로서 폭발성과 부식성에 대한 위험성을 단계별로 구분하는 등급을 조사하여, 추후 데이터베이스 확장을 위한 선택의 바탕이 되는 보조 자료를 정리하였다. 이로써 향후 해양환경에서유출사고 발생 시 방제 처리를 위한 물질정보들을 알기 쉽게 정리한 데이터 베이스를 현재 법정 HNS 물질들에 대해서 확보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외의 HNS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인 CAMEO의 특징은 무엇인가? 해외의 HNS 데이터베이스 중 가장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는 미국의 NOAA와 EPA가 공동으로 구축한 CAMEO(Computer-Aided Management of Emergency Operations)를 들 수 있다(CAMEO Chemicals, 2015). 물질정보 및 대응정보를 6천여 종 화합물에 대해 수록하였고, 사고발생시 인체 및 수생생물에 대한 독성자료까지 포함한 포괄적인 데이터베이스로 온라인상에서 검색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구축해놓고 있어서, 효과적인 검색기능도 갖추고 있다. 그러나 미국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IMDG 번호(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Codes)는 누락되어 있다.
화학물질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의 한계는 무엇인가? KISChem(2015)은 9개 항목 50범주의 정보를 제공하고(Table 1), 이는 기본물질정보를 포함하며 물리화학적 특성, 독성정보, 응급조치, 폭발 및 화재위험성, 누출 시 대처 요령, 환경거동, 그리고 GHS 정보를 제공한다. 이들 자료의 구성은 해외의 기존 개발된 데이터베이스의 상당부분을 물리적으로 취합한 것으로 종합적인 자료제공의 장점이 있으나, 정보의 중복성 및 정리, 그리고 누락된 자료의 보완이 필요한 한계점이 있다. 이와 별도로 화학물질정보시스템(NCIS:National Chemicals Information System)(Table 2)도 9개 항목과 45개 범주의 자료를 제공하며, 이 NCIS 데이터베이스는 사고 시 조처 및 취급중의 사항보다는 물질 자체의 물리화학적 특성이나 환경독성, 인체 건강독성과 함께 관리번호를 포괄적으로 모두 제공하고 있어 KISChem과 차별성이 있으며, 본 연구의 HNS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에 IMDG 번호 및 HS 번호와 같은 자료를 얻는데 활용하였다.
국제 해사 기구인 IMO에서 OPRC-HNS를 발효한 목적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 유류 유출 오염사고 시 유류 확산 방지를 위한장치 및 유류 회수 장치, 유류 수거를 위한 다양한 방법과 같은 종합적인 방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데 반해, 위험유해물질에 대한 대비는 대응방안 및 방제 시스템은 물론이고, 전문 인력을 포함한 자료의 체계적 데이터베이스도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나 국제적으로 범세계적 HNS 유출사고에 대비한 대응체제 구축을 위해 국가 간 대비 대응 및 협조체제를 만들고자 국제 해사 기구 IMO(International MaritimeOrganization)에서는 2007년 OPRC(Oil Pollution Preparedness,Response and Co-operation) - HNS를 발효하였고, 우리나라도 2008년 가입함으로써 국내외적으로 이러한 HNS 해양오염유출사고의 대응책을 세워하는 시점에 이르게 되었다. 해상운송 시 위험유해물질의 유출사고 발생 시 현장대응 능력뿐 아니라 사고 발생 현장에서 필요한 물질정보의 신속한 제공과 처리를 위한 위험요인에 대한 정보가 사전 구축되어야 하며, 물질 수송이 물동량 기준으로 본 사고이력들을 기반으로 관리체계도 우선으로 갖추어져야만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AMEO Chemicals(2015), https://cameochemicals.noaa.gov. 

  2. Chemical Emergency Information Center(2004), 2000 Emergency Response Guidebook. 

  3. Cho, S. J., D. J. Kim and K. S. Choi(2013),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Risk Assessment and Accident Prevention Measures on Domestic Marine Transpor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9, No. 2, pp. 145-154. 

  4. GESAMP(2015), http://www.gesamp.org. 

  5. Hong, C. Y., M. S. Lee and D. H. Kim(2001), Computerized IMDG Code for Safe Marine Transportation, MECA Information and Communucation LTD, pp. 20-25. 

  6. KISChem(2015), http://kischem.nier.go.kr. 

  7. Lee, B. W., S. M. Lee, H. P. Jung and S. P. Kwon(2013), Final Report :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for kinds of dangerous goods and advanced method providing informations of HN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pp. 96-101. 

  8. Lee, M. J. and H. J. Kim(2012), 2012 HNS Emergency Response Guidebook,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p. 206. 

  9. MDPC(2004), Marine Disaster Prevention Center, Data Base for Marine HNS Spill Disaster Response, pp. 181-464. 

  10. MPSS(2015),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http://www.mps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