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적 외상이 있는 소아청소년 입원환자의 치과 협진 의뢰
Consultations to Department of Dentistry for Child and Adolescent Inpatients with Dental Trauma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44 no.4, 2017년, pp.403 - 411  

조찬우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소아치과) ,  김지훈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소아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적 외상이 있는 소아청소년 입원환자의 치과 협진 의뢰에 대한 본원의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2011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6년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의과에 입원한 소아청소년 환자의 치과 협진 의뢰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조사 항목으로 협진 의뢰 주소와 치과적 진단명, 협진 의뢰과, 치과적 외상 후 협진 의뢰 시기, 입원 기간과 치과적 외상 후 협진 의뢰 시기의 관계, 외상으로 의과에 입원하는 것과 치과적 외상 발생의 관계, 치과적 외상의 원인과 발생 나이, 치과적 외상에 대한 치료, 치과적 외상 환자의 퇴원 후 치과 외래 재내원 등이 있었다. 협진 의뢰 주소와 치과적 진단명에서 치과적 외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협진 의뢰과는 외과 계열의 진료과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입원 기간과 치과적 외상 후 협진 의뢰 시기는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외상을 이유로 의과에 입원하는 것과 치과적 외상 발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이 있었고, 교통 사고로 인해 의과에 입원한 환자의 경우 100% 치과적 외상이 동반되었다. 입원실에서 발생한 치과적 외상 환자의 나이는 유의하게 적었다. 치과적 외상과 입원 중 치료, 치과적 외상과 퇴원 후 치과 외래 재내원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교통 사고에 의해 의과에 입원한 소아청소년 환자에 대해서 치과적 외상이 동반될 가능성이 크고, 치과 협진 의뢰 시기가 지연될 수 있다. 어린 소아 환자의 경우 입원실에서 치과적 외상의 발생 가능성이 크다. 또한, 치과적 외상 환자의 입원 중 치료와 퇴원 후 치과 외래 재내원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들에 대해 협진 의뢰 체계의 개선, 입원 병동 내 전담 인력 배치와 치과 시설 및 장비 구비, 의과 주치의에 대한 교육, 주치의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등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의과와 치과의 교육 및 연구 자료로 활용되어 치과적 외상이 있는 소아청소년 입원환자의 치과 협진 의뢰에 관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nalyzing present condition, and pursuing developmental direction of consultation to department of dentistry for medical inpatient with dental trauma. This research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consultation to department of dentistry for medical inpatient 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적 외상이 있는 소아청소년 입원환자의 치과 협진 의뢰에 대한 본원의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즉, 본 연구를 통해 치과적 외상이 있는 소아청소년 입원환자에 대하여 치과적 외상의 인지 후 신속한 협진 의뢰, 입원 중 적절한 치료, 퇴원 후 재내원 등이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발전 방향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협진 의뢰 시기가 지연된 원인과 관련하여, 중증 입원 환자일수록 의뢰 시기가 지연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입원 기간과 치과적 외상 후 협진 의뢰 시기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입원 기간과 치과적 외상 후 협진 의뢰 시기는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과들 간에 협진을 의뢰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협진은 통합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환자의 만족도를 높인다[2]. 특히 다수의 과가 분과되어 있고 중증 입원환자를 진료하는 상급종합병원에서 협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의료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진료과들 간에 협진을 의뢰하는 것이 필요하다[3]. 이러한 입원환자의 협진 의뢰는 의과와 치과 간에도 이루어진다[4,5].
협진이란? 협진은 협의 진료의 줄임말로 병원 내 2개 이상의 진료과가 협력하여 환자를 진료하는 것을 말하며, 서로 다른 과의 의사 간 의사소통의 방식이다[1]. 협진은 통합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환자의 만족도를 높인다[2].
소아청소년 환자의 치과 협진 의뢰를 분석하기 위하여 조사한 항목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이에 2011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6년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의과에 입원한 소아청소년 환자의 치과 협진 의뢰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조사 항목으로 협진 의뢰 주소와 치과적 진단명, 협진 의뢰과, 치과적 외상 후 협진 의뢰 시기, 입원 기간과 치과적 외상 후 협진 의뢰 시기의 관계, 외상으로 의과에 입원하는 것과 치과적 외상 발생의 관계, 치과적 외상의 원인과 발생 나이, 치과적 외상에 대한 치료, 치과적 외상 환자의 퇴원 후 치과 외래 재내원 등이 있었다. 협진 의뢰 주소와 치과적 진단명에서 치과적 외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협진 의뢰과는 외과 계열의 진료과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Redding SW, Rose LF : The consultation: a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dentists and physicians. Gen Dent, 27:54-57, 1979. 

  2. Lockhart PB, Sonis ST : Utilization of inpatient dental consultation services. Spec Care Dentist, 1:18-21, 1981. 

  3. Kim CY, Son MS : A Judicial Precedent Analysis on Medical Malpractice in Internal Medicine. Korean J Med Law, 7:21-48, 2000. 

  4. Valenza JA : Coordination of patient care and consultation between the dentist and physician. Gen Dent, 42:79-82, 1994. 

  5. Brown RS, Farquharson AA, Pallasch TM : Medical consultations for medically complex dental patients. J Calif Dent Assoc, 35:343-349, 2007. 

  6. Mouradian WE, Wehr E, Crall JJ : Disparities in children' s oral health and access to dental care. JAMA, 284:2625-2631, 2000. 

  7. Majorana A, Bardellini E, Pasini S, et al. : Root resorption in dental trauma: 45 cases followed for 5 years. Dent Traumatol , 19:262-265, 2003. 

  8. Trope M : Luxation injuries and external root resorptionetiology, treatment, and prognosis. CDA, 28:860-866, 2000. 

  9. Traebert J, de Lacerda JT, Bortoluzzi MC, et al. : Impact of traumatic dental injuries on the quality of life of schoolchildren. Dent Traumatol, 28:423-428, 2012. 

  10. Choi SL, Min SK, Choi MK : Retrospective study on prognosis of the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s in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5:439-447, 2003. 

  11. Joo KH, Lee JH, Song JS, Lee HS : Inpatient dental consultations to pediatric dentistry in the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145-151, 2014. 

  12. Kanuga S, Sheller B, Williams BJ, Mancl L : A one-year survey of inpatient dental consultations at a children's hospital. Spec Care Dentist, 32:26-31, 2012. 

  13. Acs G, Needleman HL : Patterns of use of inpatient pediatric dental consultation services. Spec Care Dentist, 5:208-209, 1985. 

  14. Down KE, Boot DA, Gorman DF : Maxillofacial and associated injuries in severely traumatized patients: implications of a regional survey. Int J Oral Maxillofac Surg, 24:409-412, 1995. 

  15. Gassner R, Bosch R, Tuli T, Emshoff R : Prevalence of dental trauma in 6000 patients with facial injuries: implications for preventio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 87:27-33, 1999. 

  16. Jang CS, Lee CY, Yang BE, et al. : A clinical study on the dental emergency patients visiting an University Hospital emergency room.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37: 439-447, 2011. 

  17. Wilson S, Smith GA, Preisch J, Casamassimo PS : Epidemiology of dental trauma treated in an urban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Pediatr Emerg Care, 13:12-15, 1997. 

  18. Kim YJ, Kim SM, Choi NK :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Pattern and Treatment of Traumatic Dental Injury to Primary and Permanent Teeth.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314-321, 2014. 

  19. Choi SC, Park JH, Pae A, Kim JR : Retrospective study on traumatic dental injuries in preschool children at Kyung Hee Dental Hospital, Seoul, South Korea. Dent Traumatol, 26:70-75, 2010. 

  20. Lee DK, Min SK, Kim JG, et al. : A clinical study on the dental emergency patients visiting Wonkwang Univ-hospital emergency room.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4:31-39, 2002. 

  21. Moon WK, Jung YS, Yoo JH, et al. : The characteristics on the dental emergency patients of wonju christian hospital for last 10 years.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30: 34-42, 2004. 

  22. Lim SM : An actual utilization and development plan study of interdisciplinary medical care at th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J Korean Institute Orient Med Diagn, 18:25-31, 2014. 

  23. Kim WH, Choi HJ, Kang HG, et al. : Effect of emergency auto-consultation system (EACS) on length of stay of specialty consultation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20:155-162, 2009. 

  24. Hendrich A, Nyhuis A, Kippenbrock T, Soja ME : Hospital falls: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for clinical practice. Appl Nurs Res, 8:129-139, 1995. 

  25. Shin HJ, Kim YN, Bang KS, et al. : A pediatric fall-risk assessment tool for hospitalized children. Child Health Nurs Res, 20:215-224, 2014. 

  26. Hsu U, Hui BK, Pourat N : Recall compliance and incidence of dental caries among underserved children. J Calif Dent Assoc, 43:77-81, 2015. 

  27. Won JH, Hur W, Ahn SK, Lee SH : A statistical study of dermatoses in the Kangwondo. Korean J Dermatol, 30:175-185, 1992. 

  28. Seo M, Huh S, Chai JY, Yu JR : An epidemiological survey on Cryptosporidium parvum infection of inhabitants in Chorwon-gun, Kangwon-do. Korean J Parasitol, 39:201-203, 2001. 

  29. Chung SH :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Movement in Kangwon Province. Korea J Popul Stud, 31:133-155,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