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청소년의 치과치료 시 시각적 탐색에 대한 연구
A Study on Visual Explor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during Dental Treatment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47 no.1, 2020년, pp.9 - 16  

정현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김익환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김성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이제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이고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이전의 어린이, 학령기의 어린이, 그리고 청소년기 환자들의 치과 치료 중 시각적 탐색을 연구하는 것이다. 전체 치료 시간 중 눈을 뜨고 있는 시간의 비율을 측정하고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실란트 또는 수복 치료를 받은 5 - 15세, 총 60명의 환자들을 조사하였다. 총 치료 시간과 치료 중 눈을 뜨고 있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평균 비율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치과 치료 중 눈을 뜨고 있는 시간의 평균 비율은 5 - 6세는 90.3%, 7 - 9세는 87.5%, 10 - 12세는 83.6%, 13 - 15세는 35.3%로 나이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12세 이하 어린이들의 평균 눈을 뜨고 있는 시간의 비율은 13 - 15세 청소년들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길었다. 소아치과 의사는 어린이 환자들이 치과 치료 중 눈을 뜨고 있는 비율이 높다는 점을 인지하여야 한다. 눈의 손상과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눈 보호가 필요하며, 눈을 통해 소아환자의 감정을 감지하고, 불안과 공포를 경감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isual explor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during dental treatment by examining time ratio of eye opening in various age groups. This study reviewed 5 - 15 year-old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f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의학 영역에서는 치과 치료 중 환자의 시각적 탐색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적이 아직 없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치과 치료 중 눈을 뜨고 있는 시간의 비율을 측정하고 연령별 차이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haturvedi 등의 연구에서 보고한 AV 안경을 착용한 어린이들에게 나타난 효과는 무엇인가? 그 중 한 가지는 고글에 다양한 미디어가 연결되는 AudioVisual (AV) 안경을 사용하여 낯선 의료 환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격리시키고 청각 및 시각을 제어하는 방법이다[39]. Chaturvedi 등[39]의 연구에서 AV 안경을 착용한 어린이들에서 구강예방, 수복 치료, 치수 치료 시 불안감이 감소하였고, 이는 주의분산 효과와 시야에서 주사와 같은 날카로운 기구가 차단되었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Asvanund 등[40]의 연구에서 AV 안경을 착용한 군의 국소마취 시, 통증의 지표인 Face, Legs, Activity, Cry, Consolability scale 과 심박수가 AV 안경을 착용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낮았다.
주의분산은 어떤 접근법인가? 반대로, 눈을 뜨고 있는 어린이들이 높기 때문에, 시각적 자극을 활용한 주의분산을 활용한다면 행동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주의분산은 어린이의 스트레스 및 불쾌감을 줄이기 위한 간단하고 위험성이 적은 비약물적 접근법이다[38]. 그 중 한 가지는 고글에 다양한 미디어가 연결되는 AudioVisual (AV) 안경을 사용하여 낯선 의료 환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격리시키고 청각 및 시각을 제어하는 방법이다[39].
치과 치료 중 발생하는 분진 및 타액, 날카로운 기구 및 치과 재료들이 누워 있는 환자의 눈에 들어갈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은? 치과 치료 중 발생하는 분진 및 타액, 날카로운 기구 및 치과 재료들이 누워 있는 환자의 눈에 들어갈 수 있다. 이로 인해 각막의 외상, 미란, 열상과 같은 눈의 외상 또는 염증이 발생 할 수 있다[6]. 뿐만 아니라 치료에 사용되는 광중합기의 청색광은 각막염을 유발하거나 망막 세포를 손상 시킬 수 있다[7]. 치의 학의 발전으로 자외선, 레이저 등 다양한 광학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를 요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indemann M, Scheepers C, Burton AM : Viewpoint and center of gravity affect eye movements to human faces. J Vis , 9:7.1-16, 2009. 

  2. Kleinknecht RA, Thorndike RM, McGlynn FD, Harkavy J : Factor analysis of the dental fear survey with cross-validation. J Am Dent Assoc , 108:59-61, 1984. 

  3. Susskind JM, Lee DH, Anderson AK, et al.: Expressing fear enhances sensory acquisition. Nat Neurosci , 11:843-850, 2008. 

  4. Baranes A, Oudeyer PY, Gottlieb J : Eye movements reveal epistemic curiosity in human observers. Vision Res , 117:81-90, 2015. 

  5. Stokes AN, Burton JF, Beale RR : Eye protection in dental practice. N Z Dent J , 86:14-15, 1990. 

  6. Farrier SL, Farrier JN, Gilmour AS : Eye safety in operative dentistry - a study in general dental practice. Br Dent J , 200:218-223, 2006. 

  7. Stamatacos C, Harrison JL : The possible ocular hazards of LED dental illumination applications. J Mich Dent Assoc , 96: 34-39, 2014. 

  8. Kohn WG, Harte JA, Eklund KJ, et al.: Guidelines for infection control in dental health care settings-2003. J Am Dent Assoc , 135:33-47, 2004. 

  9. Smith A, Creanor S, McCowan M, et al.: Management of infection control in dental practice. J Hosp Infect , 71:353-358, 2009. 

  10. Kwon KA, Shipley RJ, Cameron RE, et al.: High-speed camera characterization of voluntary eye blinking kinematics. J R Soc Interface , 10:20130227, 2013. 

  11. Itier RJ, Batty M : Neural bases of eye and gaze processing: the core of social cognition. Neurosci Biobehav Rev , 33:843-863, 2009. 

  12. Jessen S, Grossmann T : Unconscious discrimination of social cues from eye whites in infants. Proc Natl Acad Sci USA , 111:16208-16213, 2014. 

  13. Smith ML, Cottrell GW, Gosselin F, Schyns PG : Transmitting and decoding facial expressions. Psychol Sci , 16:184-189, 2005. 

  14. Morris JS, DeBonis M, Dolan RJ : Human amygdala responses to fearful eyes. Neuroimage , 17:214-222, 2002. 

  15. Whalen PJ, Kagan J, Johnstone T, et al.: Human amygdala responsivity to masked fearful eye whites. Science , 306:2061, 2004. 

  16. Gamer M, Buchel C : Amygdala activation predicts gaze toward fearful eyes. J Neurosci , 29:9123-9126, 2009. 

  17. Lee DH, Susskind JM, Anderson AK : Social transmission of the sensory benefits of eye widening in fear expressions. Psychol Sci , 24:957-965, 2013. 

  18. Lim H, Kim M, Kim K, et al.: A survey of guardian's attitudes toward behavior guidance techniques. J Korean Acad Pediatr Dent , 44:427-436, 2017. 

  19. Kalpidou MD, Power TG, Cherry KE, Gottfried NW : Regulation of emotion and behavior among 3- and 5-year-olds. J Gen Psychol , 131:159-178, 2004. 

  20. Shim YS, Kim AH, An SY : Dental fear and the associated factors of some middle school students in Cheongju-City. J Korea Contents Assoc , 13:295-304, 2013. 

  21. Baier K, Milgrom P, Yoshida T, et al.: Children's fear and behavior in private pediatric dentistry practices. Pediatr Dent , 26:316-321, 2004. 

  22. Nakai Y, Hirakawa T, Shimono T, et al.: The children's fear survey schedule-dental subscale in Japa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 33:196-204, 2005. 

  23. Locker D, Liddell AM : Correlates of dental anxiety among older adults. J Dent Res, 70:198-203, 1991. 

  24. Frankl SN, Shiere FR, Fogels HR : Should the parent remain with the child in the dental operatory? J Dent Child , 29:150-163, 1962. 

  25. Gottlieb J, Oudeyer PY, Lopes M, Baranes A : Informationseeking, curiosity, and attention: computational and neural mechanisms. Trends Cogn Sci , 17:585-593, 2013. 

  26. Collins RP, Litman JA, Spielberger CD : The measurement of perceptual curiosity. Pers Individ Differ , 36:1127-1141, 2004. 

  27. Noton D, Stark L : Eye movements and visual perception. Sci Am , 224:35-43, 1971. 

  28. Bertera JH, Rayner K : Eye movements and the span of the effective stimulus in visual search. Percept Psychophys , 62:576-585, 2000. 

  29. Kashdan TB, Gallagher MW, Steger MF, et al.: The curiosity and exploration inventory-II: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psychometrics. J Res Pers , 43:987-998, 2009. 

  30. Yoo S :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y of pediatric patien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 44:384-389, 2017. 

  31. Erten H, Akarslan ZZ, Bodrumlu E : Dental fear and anxiety levels of patients attending a dental clinic. Quintessence Int , 37:304-310, 2006. 

  32. Taani DQ : Dental attendance and anxiety among public and private school children in Jordan. Int Dent J , 52:25-29, 2002. 

  33. Kim SY, Lee JR, Han OS : A study on the practice for infection prevention of dental clinic worker. J Dent Hyg Sci , 14:397-404, 2014. 

  34. Szymanska J : Work-related vision hazards in the dental office. Ann Agric Environ Med , 7:1-4, 2000. 

  35. Rueggeberg FA, Jordan DM : Effect of light-tip distance on polymerization of resin composite. Int J Prosthodont , 6:364-370, 1993. 

  36. Bruzell Roll EM, Jacobsen N, Hensten-Pettersen A : Health hazards associated with curing light in the dental clinic. Clin Oral Investig , 8:113-117, 2004. 

  37. Mainster MA : Spectral transmittance of intraocular lenses and retinal damage from intense light sources. Am J Ophthalmol, 85:167-170, 1978. 

  38. Ram D, Shapira J, Davidovich E, et al.: Audiovisual video eyeglass distraction during dental treatment in children. Quintessence Int, 41:673-679, 2010. 

  39. Chaturvedi S, Walimbe H, Nene K,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anxiety level during the conventional dental procedures with and without audiovisual distraction eyeglasses in pediatric dental patients. J Int Oral Health , 8:1016-1022, 2016. 

  40. Asvanund Y, Mitrakul K, Juhong RO, Arunakul M : Effect of audiovisual eyeglasses during local anesthesia injections in 5- to 8-year-old children. Quintessence Int , 46:513-521, 2015. 

  41. Al-Khotani A, Bello LA, Christidis N : Effects of audiovisual distraction on children's behaviour during dental treatment: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Acta Odontol Scand , 74:494-501, 2016. 

  42. Corah NL : Development of a dental anxiety scale. J Dent Res , 48:596, 1969. 

  43. Schienle A, Scharmuller W, Stark R, et al.: Sex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neuroanatomy of dental phobia. Brain Struct Funct , 218:779-787, 2013. 

  44. Wiederhold MD, Gao K, Wiederhold BK : Clinical use of virtual reality distraction system to reduce anxiety and pain in dental procedures. Cyberpsychol Behav Soc Netw , 17:359-365,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