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리함수와 속력함수의 관계에서 거리함수의 상수항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표현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 and Expression on the Constant of Distance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ance Function and Speed Fun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6 no.4, 2017년, pp.387 - 405  

이동근 (문정고)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tudents 'perception and expression about the motion of object following distance function $={x \atop 3}$ and distance function $y=\frac{x^3}{3}+3$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students' perception and exp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자 중심의 일방향성 강의의 문제점은? 이에 대하여 민숙·최성원(2016)은 교수자 중심의 일방향성 강의가 학생들로 하여금 시험을 대비한 단편적 지식의 획득이나 지엽적 공식의 암기에 치우치도록 만든다고 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자신이 주체가 되는 교육 경험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미적분 학습에서 기계적인 계산에 치우친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무엇을 지적한 것인가? 미적분 학습에서 미적분 개념에 대한 이해보다는 기계적인 계산에 치우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권오남, 박재희, 조경희, 박정숙, 박지현, 2015; 이현주, 류중현, 조완영, 2015; 정연준, 이경화, 2009a; 최영주, 홍진곤, 2014). 이는 학생들이 미적분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계산을 통하여 문제가 요구하는 값을 구할 수는 있지만 정작 자신이 제시한 답의 의미나 문제가 내포하고 있는 의미에 대하여는 고민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대희(1999)는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언급하면서, 정리를 이용한 계산에 능숙하기 이전에 ‘정리’ 자체에 대하여 의미 있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하였다.
학교 수학에서 적분 학습의 시작 단계를 무엇으로 도입하는가? 학교 수학에서는 적분 학습의 시작 단계에서 부정적분을 미분의 역으로 도입한다(정연준, 이경화, 2009a). 그러나 Toepliz(1963)가 ‘역사적으로 적분과 미분의 관계에 대한 고민이 미적분의 핵심적인 문제였지만 해결하기가 매우 어려운 과제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권오남, 박재희, 조경희, 박정숙, 박지현 (2015). 학습자 중심의 미적분 교육과정과 교실 문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6), 617-642. (Kwon, O.N., Park, J.H., Joe, K.H., Park, J.S., & Park, J.H. (2015). Learner-centered calculus curriculum and classroom cultur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6), 617-642.) 

  2. 민숙, 최성원 (2016). 자기주도적 팀 활동을 적용한 대학 미적분수업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0), 1159-1180. (Min, S. & Choi, S.W. (2016). A Case Study of College Calculus Courses with Self-Directed Team Learning: Qualitative Analyses with Social Learning Theor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0). 1159-1180.) 

  3. 신보미 (2009). 고등학생들의 정적분 개념 이해, 학교수학 11(1), 93-110. (Shin, B.M. (2009).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Definite Integral. School Mathematics 11(1), 93-110.) 

  4. 이동근 (2017).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시간, 속력, 거리의 관계에서 평균속력에 대한 인식과 평균속력 함수 구성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Lee, D.G. (2017). A Study on 1st Year High School Students' Construction of Average Speed Concept and Average Speed Functions in Relation to Time, Speed, and Dist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5. 이동근, 안상진, 김숙희, 신재홍 (2016). 거리함수와 속력함수에서, 거리와 속력의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표현의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18(4), 333-354. (Lee, D.G., Kim, S.H., Ahn, S.J., & Shin, J.H. (2016). A Study on the Change Process of Students" Perception and Expression About Distance and Speed in Distance Function and Speed Function. School Mathematics 18(4), 333-354.) 

  6. 이동근, 신재홍 (2017). 구간에서의 변화율에 대한 인식과 표현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7(1), 1-22. (Lee, D.G. & Shin, J.H. (2017). Students'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Rate of Change in the Given Range of Interval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7(1), 1-22.) 

  7. 이현주, 류중현, 조완영 (2015). 통합적 이해의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분계수 개념 이해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9(1), 131-155. (Lee, H.J., Ryu, J.H., & Joe, W.Y. (2015). An Analysis on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Concept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Based on Integrated Understanding,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9(1), 131-155.) 

  8. 정연준, 이경화 (2009a). 미적분의 기본정리에 대한 고찰 - 속도 그래프 아래의 넓이와 거리의 관계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9(1), 123-142. (Joung, Y.J. & Lee, K.H. (2009a). A Study on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Area Under Time-velocity Graph and Distanc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9(1), 123-142.) 

  9. 정연준, 이경화 (2009b).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관계에 관한 고찰, 학교수학 11(2), 301-316. (Joung, Y.J. & Lee, K.H. (2009b).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finite Integral and Definite, School Mathematics 11(2), 301-316.) 

  10. 최영주, 홍진곤 (2014). 도함수의 성질에 관련한 학생들의 사고에 대하여, 수학교육 53(1), 25-40. (Choi, Y.J. & Hong, J.G. (2014). On the students' thinking of the properties of derivative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3(1), 25-40.) 

  11. 한대희 (1999).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에 대한 역사-발생적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9(1), 217-228. (Han, D.H. (1999). A study on a genetic history of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9(1), 217-228.) 

  12. 황선욱, 강병개, 김영록, 윤갑진, 김수영, 송미현, 이성원, 도종훈, 이문호, 박효정, 박진호 (2014). 미적분 I, 서울: 신사고. (Hwang, S.W., Kang, B.G., Kim, Y.R., Youn, G.J., Kim, S.Y, Song, M.H., Lee, S.W., Do, J.H., Lee, M.H., Park, H.J., & Park, J.H. (2014). Calculus I, Seoul: ShinSaGo.) 

  13. Boyer, C. (1959). 미분적분학사-그 개념의 발달 (김경화 역), 서울: 교우사. 

  14. Courant, R. (1970).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E. J. Mcshane, Trans.). New York: John Wiley & Sons. 

  15. Courant, R. & Robbins, H. (1996). What is Mathematics? An Elementary Approach to Ideas and Methods, Oxford University Press. 

  16. Glasersfeld, E. (1995). 급진적 구성주의 (김판수, 박수자, 심성보, 유병길, 이형철, 임채성, 허승희 역), 서울: 원미사. 

  17. Gravemeijer, K. & Doorman, M.(1999). Context Problems in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 a Calculus Course as an Exampl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9(1), 111-30. 

  18. Hackenberg, A. J. (2005). A model of mathematical learning and caring relation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25(1), 45-51. 

  19. Merriam, S. B. (1997). 질적 사례연구법 (허미화 역), 서울: 양서원. 

  20. Stake, R. E.(2006). Multiple case study analysis, NY: The Guilford Press. 

  21. Steffe, L. P. & Gale, J. E. (1995). 구성주의와 교육 (조연주, 조미헌, 권형규 역), 서울: 학지사. 

  22. Steffe, L. P. & Tzur, R. (1994). Interaction and children's mathematics. In P. Ernest (Ed.), Constructing mathematical knowledge: Epistemology and mathematics education (Studies in Mathematics Education Vol. 4, pp. 8-32). London: Falmer. 

  23. Steffe, L. P. & Thompson, P. W. (2000). Interaction or intersubjectivity? A reply to Lerma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1(2), 191-209. 

  24. Steffe, L. P. & Wiegel, H. G. (1996). On the nature of a model of mathematical learning. In L.P. Steffe, P. Nesher, P. Cobb, G. A. Goldin, & B. Greer (Eds.), Theories of mathematical learning (pp. 477-498), Mahwah, NJ: Erlbaum. 

  25. Toeplitz, O. (1963). The Calculus -a Genetic Approach. Chicago: The Press of Chicago University. 

  26. Zandieh, M. J. (1998). The Evolution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erivativ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