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리함수와 속력함수에서, 거리와 속력의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표현의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Process of Students' Perception and Expression About Distance and Speed in Distance Function and Speed Function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4, 2016년, pp.881 - 901  

이동근 (문정고등학교) ,  안상진 (문정고등학교) ,  김숙희 (청담고등학교) ,  신재홍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간, 거리, 속력'의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표현을 교수실험을 통하여 세밀하게 관찰한 연구이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시간, 거리, 속력'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드러났으며, 학생들은 평균속력에 대하여 거리함수에서 구간의 양 끝점을 잇는 선분의 기울기라는 관점으로 인식하는 것 외에도 속력함수에서 사각형의 높이로 인식하여 '시간, 거리, 속력'을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과정에서 '거리=시간${\times}$속력'의 관계를 '거리=시간${\times}$평균속력'으로 확장하는 장면을 드러내었다. 본 연구는 제한된 소수 학생을 대상으로 교수실험을 진행하였지만, 학생들의 '시간, 거리, 속력'의 관계에 대한 인식과 표현의 변화 과정에 대한 관찰을 통하여 여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추후 미적분 학습 모델 구성을 위한 다양한 연구의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investigating students' recognition and expression on relationship of 'time, distance, speed' via teaching experiment. In this process, students showed not only a change in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of 'time, distance, speed' but also recognizing the average speed as a view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적분 학습은 어떨 때 중요한 의미를 갖는가? 미적분은 수학과목에만 국한된 학습 내용이 아니라 이미 여러 학문에서 활용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육과정에서 미적분 학습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미적분 개념이 학생들에게 어렵고(권오남, 조현정, 1997; 박선화, 2000), 학생들이 정형화된 계산에는 익숙하지만 비정형화된 문제해결에는 어려워하는 것으로 지적되었다 (황혜정, 김미향, 2016).
Johnson이 말하는미분 학습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행 미적분 학습에서 학생들의 학습이 지나치게 대수적인 절차에 치우치는 경향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이현주, 류중현, 조완영, 2015; 정연준, 이경화, 2009; 최영주, 홍진곤, 2014). 이에 대하여 Johnson(2012)의 경우는 ‘비와 극한의 기계적인 결합’으로 접근하는 미분 학습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공변 관점에서 함수의 변화를 인식하는 것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학생들의 속력에 대한 개념을 관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는? 학생들의 시간, 거리, 속도의 관계에 대한 인식은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수학과목과 과학과목에서 학습하게 되는 ‘속력=거리/시간’과 ‘거리=시간×속력’의 관계에서 시작(신은주, 2005, 2006; 정연준, 이경화, 2009)될 것으로 보이며, 이때 사용된 ‘속력’의 개념 속에는 평균속력과 순간속력을 포함한 학생들만의 다양한 개념이 혼재되어 있을 것이므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수실험을 통하여 학생의 구성과정을 따라가다 보면 혼재되어있는 ‘학생들의 속력에 대한 개념’을 관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 [별책 9]. 

  2. 권오남, 조현정(1997). 극한에 관련된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7(1), 211-229. 

  3. 권오남, 박재희, 조경희, 박정숙, 박지현(2015). 학습자 중심의 미적분 교육과정과 교실 문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6), 617-642. 

  4. 김연식, 박교식(1992). 함수 개념 지도의 교수현상학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1), 1-15. 

  5. 김영식(2001). 과학혁명-전통적 관점과 새로운 관점. 서울: 도서출판 아르케. 

  6. 김채연, 신재홍(2016). 연속적으로 공변하는 두 양에 대한 추론의 차이가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 55(3), 251-279. 

  7. 김현재(1978). J. Piaget의 아동의 운동과 속력 개념에 관한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 1-14. 

  8. 김형수, 권재술(1995). 초등학교 아동들의 속력 개념 형성에서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활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2), 164-172. 

  9. 박선화(2000). 수열의 극한 개념에 대한 인지적 장애의 극복 방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0(2), 247-262. 

  10. 신은주(2005). 등속도 운동에서 일차함수 교수-학 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5(4), 419-444. 

  11. 신은주(2006). 등가속도 운동에서 미적분의 기본 아이디어 학습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 교육학연구. 16(1), 59-78. 

  12. 이동근, 문민정, 신재홍(2015). 이차함수에서 두 변량사이의 관계 인식 및 표현의 발달 과정 분석. 수학교육. 54(4), 299-315. 

  13. 이동근, 김숙희, 안상진, 신재홍(2016). 변화율 관점에서 농도 변화에 대한 인식과 표현의 변화 과정에 대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3), 333-354. 

  14. 이진호(2005). 라이프니츠의 무한과 무한소의 개념과 무한의 연산, 한국수학사학회. 18(3), 67-68. 

  15. 이현주, 류중현, 조완영(2015). 통합적 이해의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분계수 개념 이해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9(1), 131-155. 

  16. 정연준, 김재홍(2008). 함수의 연속성 개념의 역사적 발달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3(4), 567-584. 

  17. 정연준, 이경화(2009). 미적분의 기본정리에 대한 고찰 - 속도 그래프 아래의 넓이와 거리의 관계를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9(1), 123-142. 

  18. 정은실(2003). 비 개념에 대한 교육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3(3), 247-265. 

  19. 정은실(2010).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의 양의 계산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4), 445-458. 

  20. 최영주, 홍진곤(2014). 도함수의 성질에 관련한 학생들의 사고에 대하여. 수학교육. 53(1), 25-40. 

  21. 황혜정, 김미향(2016). 미분 개념의 이해에 관한 수업 사례 -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역사 발생적 과정을 토대로. 학교수학. 18(2), 277-300. 

  22. Byerley, C., Hatfield, N. & Thompson, P. W. (2012). Calculus student understandings of division and rate. In S. Brown, S. Larsen, K. Marrongelle, & M. Oehrtman (Eds.), Proceedings of the 15th Annual Conference on Research in Undergraduate Mathematics Education (pp. 358-363). Portland, Oregon: SIGMAA/RUME. 

  23. Boyer, C. (1959). 미분적분학사-그 개념의 발달. 김경화 역, 서울: 교우사. 

  24. Carlson, M., Jacobs, S., Coe, E., Larsen, S., & Hsu, E. (2002). Applying covariational reasoning while modeling dynamic events: A framework and a stud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5), 352-378. 

  25. Castillo-Garsow, C. C. (2012). Continuous quantitative reasoning. In R. Mayes, R. Bonillia, L. Hatfield, & S. Belbase (Eds.), Quantitative reasoning: Current state of understanding, WISDOMe Monographs (Vol. 2, pp. 55-73). Laramie, WY: University of Wyoming. 

  26. Confrey, J., & Smith, E. (1995). Splitting, covariation and their role in the development of exponential func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6, 66-86. 

  27. Freu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ordre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8. Glasersfeld, E. (1995). 급진적 구성주의, 김판수, 박수자, 심성보, 유병길, 이형철, 임채성, 허승희 역, 서울 : 원미사. 

  29. Gravemeijer, K., & Doorman, M. (1999). Context Problems in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 a Calculus Course as an Exampl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9(1), 111-30. 

  30. Johnson, H. L. (2012). Reasoning about variation in the intensity of change in covarying quantities involved in rate of chang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31(3), 313-330. 

  31. Lobato, J., & Ellis, A. B. (2010). Essential understandings: Ratios, proportions, and proportional reasoning. In R. M. Zbiek (Series Ed.), Essential understanding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 

  32. Saldanha, L. A., & Thompson, P. W. (1998). Re-thinking co-variation from a quantitative perspective: Simultaneous continuous variation. In S. B. Berenson & W. N. Coulombe (Eds.),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 North America (Vol. 1, pp. 298-304). Raleigh, NC: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etrieved from http://bit.ly/1b4sjQE. 

  33. Strang, G. (1991). Calculus. Wellesley-Cambridge Press. 

  34. Thompson, P. W. (1994).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peed and its relationship to concepts of rate. In G. Harel & J. Confrey (Eds.), The development of multiplicative reasoning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pp. 179-234). Albany, NY: SUNY Press. 

  35. Thompson, P. W. (2008). Conceptual analysis of mathematical ideas: Some spadework at the found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In O. Figueras, J. L. Cortina, S. Alatorre, T. Rojano, & A. Sepulveda (Eds.),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pp. 45-64) Morelia, Mexico. PME. 

  36. Thompson, P. W. (2011). Quantitative reasoning and mathematical modeling. In L. L. Hatfield, S. Chamberlain, & S. Belbase (Eds.), New perspectives and directions for collaborative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WISDOMe Monographs (Vol. 1, pp. 33-57). Laramie, WY: University of Wyoming 

  37. Zandieh, M. (2000).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erivative. CBMS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8, 103-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