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올라이트와 Klebsiella pneumonia sp.을 이용한 화학-생물학적 액상 암모니아의 제거 효율 연구
Investigation of Liquid Phase Ammonia Removal Efficiency by Chemo-biological Process of Zeolites and Klebsiella pneumonia sp.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6, 2017년, pp.685 - 690  

박민섭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  최권영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암모니아는 현대 산업에서 빠질 수 없는 유용한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폐기물의 분해과정을 통해 배출되며 인체에 매우 해로운 독극물로 알려져 있다. 산업에서 흔하게 쓰이는 물질이기에 직접 누출이나 간접 누출로 인한 수질오염의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암모늄이온을 빠르게 제거하는 데는 제올라이트의 흡착능을 이용하는 것이 좋지만 흡착만으로는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제올라이트의 흡착능을 통한 암모늄이온의 제거 효율과 미생물의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통한 제거효율을 비교하였다. 추가적으로 제올라이트에 미생물을 고정하여 화학적 흡착 및 생물학적 전환 기술을 병합하여 그 효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100 ppm 기준 상용 제올라이트의 경우 2-4 h 사이에 67-81%의 제거효율을 보이는데 반해 선정 미생물인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e를 이용한 경우 8 h 내에 최대 97%의 제거 효율을 나타냈었다. 그리고 미생물을 제올라이트에 고정시켰을 때 8 h 이내에 98.5%로 제거 효율 및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monia is a useful substance which is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It is generally released by the decomposition of agricultural wastes and known to have toxic effects on human beings. Due to the common usage, it is possible to cause water pollution through either direct or indirect leak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Klebsiella pneumonia 균주를 선택하여 암모니아 제거 효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균주는 그람 음성균으로서 선별적 호기성 균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토양에서 질소를 고정화 및 암모니아를 흡수하는데 관여하는 균주로 알려져 있다[20].
  • 이 균주는 그람 음성균으로서 선별적 호기성 균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토양에서 질소를 고정화 및 암모니아를 흡수하는데 관여하는 균주로 알려져 있다[20].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제올라이트의 흡착능과 미생물의 생물 학적 메커니즘을 이용한 폐수 내의 암모늄이온 제거효율을 비교하고 이 두 가지의 시너지 효과를 이용한 화학-생물학적 공정인 제올라이트 미생물 고정화 반응을 통하여 최종적인 암모니아 제거 효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암모늄이온 제거 공정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들 중, 암모니아의 흡착 제거는 암모니아 제거 공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특히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암모늄이온 제거 공정은 다른 공정에 비해 제거 속도가 빠르고 수온이나 농도의 변화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6-8]. 하지만 제올라이트의 물리적 흡착능만으로는 높은 제거효율을 기대하기 어렵다.
미생물을 담체에 고정화했을 때의 장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그 제거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인 방법과 절충할 수 있는 공정이 필요하다[9,10]. 미생물을 담체에 고정화했을 때의 장점은 반응조 내에 미생물을 고농도로 유지가 가능하고 온도나 pH의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으며 독성 물질에 대한 저해작용이 적다는 것이다[11].
방출된 암모니아가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예는 어떠한가? 방출된 암모니아는 그 형태에 관계없이 주위 환경에 독성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강과 호수에서 고농도의 암모니아(NH3, NH4+)는 부영양화를 촉진시키고 수생 환경의 용존 산소를 감소시켜 수중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비이온화된 암모니아는 저농도에서도 대부분의 어류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W. F. Hu, W. Lo, H. Chua, S. N. Sin, and P. H. F. Yu, Nutrient release and sediment oxygen demand in a eutrophic land-locked embayment in Hong Kong, Environ. Int., 26, 369-375 (2001). 

  2. D. J. Randall and T. K. N. Tsui, Ammonia toxicity in fish, Mar. Pollut. Bull., 45, 17-23 (2002). 

  3. J. O. Clemmesen, F. S. Larsen, J. Kondrup, B. A. Hansen, and P. Ott, Cerebral herniation in patients with acute E liver failure is correlated with arterial ammonia concentration, Hepatology, 29, 648-653 (1999). 

  4. W. T. Mook, M. H. Chakrabarti, M. K. Aroua, G. M. A. Khan, B. S. Ali, M. S. Islam, and M. A. A. Hassan, Removal of total ammonia nitrogen (TAN), nitrate and total organic carbon (TOC) from aquaculture wastewater using electrochemical technology: A review, Desalination, 285, 1-13 (2012). 

  5. S. K. Marttinen, R. H. Kettunen, K. M. Sormunen, R. M. Soimasuo, and J. A. Rintala, Screening of physical-chemical methods for removal of organic material, nitrogen and toxicity from low strength landfill leachates, Chemosphere., 46, 851-858 (2002). 

  6. T. C. Jorgensen and L. R. Weatherley, Ammonia removal from wastewater by ion exchange in the presence of organic contaminants, Water Res., 37, 1723-1728 (2003). 

  7. G. B. Nuernberg, M. A. Moreira, P. R. Ernani, J. A. Almeida, and T. M. Maciel, Efficiency of basalt zeolite and Cuban zeolite to adsorb ammonia released from poultry litter, J. Environ. Manage., 183, 667-672 (2016). 

  8. Y. Ding and M. Sartaj, Statistical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ammonia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 by zeolite using factorial desig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Environ. Chem. Eng., 3, 807-814 (2015). 

  9. S. Wang, Y. Peng, B. Ma, S. Wang, and G. Zhu, Anaerobic ammonium oxidation in traditional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ith low-strength ammonium loading: Widespread but overlooked, Water Res., 84, 66-75 (2015). 

  10. Y. Ma, D. Hira, Z. Li, C. Chen, and K. Furukawa, Nitrogen removal performance of a hybrid anammox reactor, Bioresour. Technol., 102, 6650-6656 (2011). 

  11. L. Zhang, W. Wu, and J. Wang, Immobilization of activated sludge using improved polyvinyl alcohol (PVA) gel, J. Environ. Sci., 19, 1293-1297 (2007). 

  12. W. Martens-Habbena, P. M. Berube, H. Urakawa, J. R. de la Torre, and D. A. Stahl, Ammonia oxidation kinetics determine niche separation of nitrifying Archaea and Bacteria, Nature, 461, 976-979 (2009). 

  13. R. Hatzenpichler, Diversity, physiology, and niche differentiation of ammonia-oxidizing archaea, Appl. Environ. Microbiol., 78, 7501-7510 (2012). 

  14. C. Wuchter, B Abbas, M. J. L. Coolen, L Herfort, J. van Bleijswijk, P. Timmers, M. Strous, E. Teira, G. J. Herndl, J. J. Middelburg, S. Schouten, and J. S. S. Damste, Archaeal nitrification in the ocean, Proc. Natl. Acad. Sci. U.S.A., 103, 12317-12322 (2006). 

  15. S. Leininger, T. Urich, M. Schloter, L. Schwar, J. Qi, G. W. Nicol, J. I. Prosser, S. C. Schuster, and C. Schleper, Archaea predominate among ammonia-oxidizing prokaryotes in soils, Nature, 442, 806-809 (2006). 

  16. J. Ollivier, N. Wanat, A. Austruy, A. Hitmi, E. Joussein, G. Welzi, J. C. Munch, and M. Schloter, Abundance and diversity of ammonia- oxidizing prokaryotes in the root-rhizosphere complex of Miscanthus x giganteus grown in heavy metal-contaminated soils, Microb. Ecol., 64, 1038-1046 (2012). 

  17. C. R. Murthy and L. Hertz, Acute effect of ammonia on branched-chain amino acid oxidation and incorporation into proteins in astrocytes and in neurons in primary cultures, J. Neurochem., 49, 735-741 (1987). 

  18. L. K. Bak, A. Schousboe, and H. S. Waagepetersen, The glutamate/ GABA-glutamine cycle: Aspects of transport, neurotransmitter homeostasis and ammonia transfer, J. Neurochem., 98, 641-653 (2006). 

  19. H. G. Preuss, Ammonia production from glutamine and glutamate in isolated dog renal tubules, Am. J. Physiol., 220, 54-58 (1971). 

  20. Y. J. Kim, M. Yoshizawa, S. Takenaka, S. Murakami, and K. Aoki, Ammonia assimilation in Klebsiella pneumoniae F-5-2 that can utilize ammonium and nitrate ions simultaneously: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lutamate dehydrogenase and glutamine synthetase, J. Biosci. Bioeng., 93, 584-588 (2002). 

  21. B. Zhao, Y. L. He, J. Hughes, and X. F. Zhang, Heterotrophic nitrogen removal by a newly isolated Acinetobacter calcoaceticus HNR, Bioresour. Technol., 101, 5194-5200 (2010). 

  22. M. G. Fernandez-Lopez, C. Popoca-Ursino, E. Sanchez-Salinas, R. Tinoco-Valencia, J. L. Folch-Mallol, E. Dantan-Gonzalez, and M. Laura Ortiz-Hemandez, Enhancing methyl parathion degradation by the immobilization of Burkholderia sp. isolated from agricultural soils, Microbiologyopen, 6, 1-12 (2017). 

  23. Y. Ding and M. Sartaj, Statistical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ammonia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 by zeolite using factorial desig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Environ. Chem. Eng., 3, 807-814 (2015). 

  24. W. C. van Heeswijk, H. V. Westerhoff, and F. C. Boogerd, Nitrogen assimilation in Escherichia coli: putting molecular data into a systems perspective, Microbiol. Mol. Biol. Rev., 77, 628-695 (2013). 

  25. L. Reitzer, Nitrogen assimilation and global regulation in Escherichia coli, Annu. Rev. Microbiol., 57, 155-176 (2003). 

  26. T. E. Shehata and A. G. Marr, Effect of nutrient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J. Bacteriol., 107, 210-216 (1971). 

  27. U. Lendenmann, M. Snozzi, and T. Egli, Growth kinetics of Escherichia coli with galactose and several other sugars in carbon- limited chemostat culture, Can. J. Microbiol., 46, 72-80 (2000). 

  28. M. Becker, L. De Cola, and A. Studer, Site-specific immobilization of proteins at zeolite L crystals by nitroxide exchange reactions, Chem. Commun. (Camb.), 47, 3392-3394 (2011). 

  29. Y. Watanabe, T. Ikoma, H. Yamada, Y. Suetsugu, Y Komatsu, G. W. Stevens, Y. Moriyoshi, and J. Tanaka, Novel long-term immobilization method for radioactive iodine-129 using a zeolite/apatite composite sintered body, ACS Appl. Mater. Interfaces, 1, 1579-1584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