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쌀의 잔류농약 및 이산화황 안전성 실태조사
Monitoring and Safety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and Sulfur Dioxide on Functional Rice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6, 2017년, pp.493 - 499  

이유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수산물검사소) ,  박명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수산물검사소) ,  김기유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수산물검사소) ,  박은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수산물검사소) ,  강흥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수산물검사소) ,  임지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수산물검사소) ,  조욱현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수산물검사소) ,  김윤호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수산물검사소) ,  이선영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수산물검사소) ,  용금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수산물검사소) ,  윤미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구리농수산물검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유통되는 기능성 쌀을 대상으로 농약 및 이산화황의 잔류실태를 조사하고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2016년 2월부터 10월까지 대형마트 및 재래시장에서 유통되는 기능성 쌀 91건을 수거하여 수행하였다. GC/ECD, GC/NPD, GC/TOF/MS, LC/PDA, LC/FLD를 이용한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220종의 잔류농약검사를 실시한 결과 3건(3.3%)에서 2종의 농약성분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은 살균제 농약인 propiconazole과 살균제 및 식물생장조절제 농약인 isoprothiolane이며, 검출수준은 0.0340~0.0566 mg/kg으로 MRL (Maximum Residues Limits) 대비 각각 34%, 2.8% 이하로 검출되었다. Monier-Williams 변법을 이용하여 이산화황(sulfur dioxide)을 분석한 결과 91건의 시료 모두 불검출 이었다. 농약 검출량을 바탕으로 일일섭취추정량(EDI)과 일일섭취허용량(ADI)을 이용하여 위해성평가를 한 결과 %ADI (Hazard Index)는 0.24~1.25%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current status of pesticide residues and sulfur dioxide in a total of 91 functional rice products from February to October 2016. Multi class pesticide multiresidue methods of 220 pesticides was performed by the GC/ECD, GC/NPD, GC/TOF/MS, LC/PDA, and LC/FLD.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지금까지 기능성 쌀의 성분 및 효능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본 연구의 주제인 기능성 쌀을 대상으로 한 잔류농약 실태보고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6년 경기도 내 대형마트 및 재래시장에서 유통 중인 기능성 쌀 91건을 수거하여 농약 220종과 이산화황의 잔류실태를 조사하고 위해성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기능성 쌀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산화황은 어떤 목적으로 사용 되는 가? 기능성 쌀의 가공처리 과정에서 색택이나 선도유지를 위한 상품성, 저장성, 유통기한 연장 등의 목적으로 이산화황을 첨가할 가능성과 발아침지 시 부패방지의 목적으로 종자소독제 등의 농약을 사용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산화황은 식품의 부패방지, 표백, 갈변방지 및 항산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이며, 현재 우리나라 식품첨가물 공전에는 무수아황산, 아황산나트륨, 산성아황산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칼륨의 6종 아황산염류가 지정 고시되어 사용되고 있다10,11). 그러나 아황산염류의 사용기준은 박고지, 당밀 및 물엿, 엿, 과실주, 천연과즙, 건조과실류, 곤약류, 새우살, 설탕 등에 한하여 각각 사용량이 규정되어 있다12).
기능성 쌀은 무엇인가? 기능성 쌀이라 함은 쌀의 주 기능 외에 잘못된 식생활 에서 기인한 각종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각종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거나 일부 영양성분을 강화하고 밥을 지을 때 간편성을 추구한 새로운 형태의 쌀 제품군으로 정의할 수 있다5). 기능성 쌀은 생산공정 상 두 부류로 구분할 수 있다.
품종개량형 쌀은 어떤 특징을 갖는 가? 첫째, 품종개량형 쌀로 유전자 조작 등 생명공학 기법을 이용하여 부가적 기능이 발현되는 벼를 생산하는 것이다2). 이 방법으로 생산되는 쌀인 고아미 2호는 식이섬유 함량이 높고 소화율이 낮아서 중성지방을 줄이고 혈당상승을 억제하여 당뇨개선 및 다이어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하이아미는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보통 쌀보다 30%이상 고루 증가한 품종이며, 큰눈벼는 GABA 함량이 높아 학습 및 집중력 강화에 효과가 있는 품종이다4). 둘째, 가공형 쌀로 도정과정에서 유용한 기능성 물질을 코팅한 코팅쌀, 유용 미생물 배양액을 접종하여 배양 가공한 발효쌀, 종자를 수침시켜 발아 건조한 발아쌀 등이 있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public of Korea.: Food Grain Consumption Survey Report.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 statHtml.do?orgId101&tblIdDT_1ED0001&conn_pathI2 

  2. Jeon N.S.: A Study on new growth industry of the functional rice and rice processing industry, Gyeongnam Development Institute, Policy Focus, 9, 1-3 (2013). 

  3. Kim E.O., Oh J.H., Lee K.T., Im J.G., Kim S.S., Suh H.S., Choi S.W.: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lored Rice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15(1), 118-124 (2008). 

  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Available from http://www.nics.go.kr/api/breed.do?m100000128&homepageSeCodenics 

  5. Jeong J.U.: A patent trends in food and functionality in the rice, Korea Institute of Patent Information, Patent 21, 66, 38- 43 (2006). 

  6. Wang J., Lu Z., Chi J.: A multi-center clinical trial of the serum lipid lowering effects of a Monascus purpureus (red yeast) rice preparation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urr. Ther. Res., 58, 964-978 (1997). 

  7. Li C.L., Zhu Y., Wang Y.: Monascus purpureus-fermented rice (red yeast rice): a natural food product that lowers blood cholesterol in animal models of hyperchlolesterolemia. Nutr. Res., 18, 71-81 (1998). 

  8. Heber D., Yip I., Ashley J.M.: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a proprietary Chinese red-yeast-rice dietary supplement. Am. J. Clin. Nutr., 69, 231-236 (1999). 

  9. Oh S.H.: Effects and Applications of Germinated Brown Rice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Food Sci. Industry, 40(3), 41-46 (2007). 

  10. Oh C.H., Seo D.W., Yook C.S., Lee Y.J., Chang S.Y., Ze K.R., Park J.Y., Lee J.P., Seong R.S., Park J.Y., Ko S.K., Lee P.J.: The Variation of Residual Sulfur Dioxide and Marker Components of Herbal Medicines during Drying Process. Korean J Pharmacogn., 38(4), 299-304 (2007).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Additives Code. Korea. (2015). 

  12. Kim H.Y., Lee Y.J., Hong K.H., Kwon Y.K., Ko H.S., Lee Y.K., Lee C.W.: Studies on the Contents of Naturally Occurring of Sulfite i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3), 544-549 (2000). 

  13. Kang Y.G.: Detection of a bleach in the steamed rice from China, pressian news, Available from http://www.pressian. com/news/article.html?no27650, 2004.08.19.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Code, Korea, 279-313 (2015).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Code, Korea, 341-343 (2015).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Code, Korea, 517, 170-172 (2015). 

  1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sation of Technical Requirements for Registration of Pharmaceuticals for Human Use.: Quality Guidelines, Validation of Analytical Procedures, Available from http://www.ich.org/fileadmin/Public_ Web_Site/ICH_Products/Guidelines/Quality/Q2_R1_Guideline.pdf 

  18. Park D.W., Kim A.G., Kim T.S., Yang Y.S., Kim G.G., Chang G.S., Ha D.R., Kim E.S., Cho B.S.: Monitoring and Safety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on Agricultural Products Sold via Online Websites. Korean. J. Pestic. Sci., 19(1), 22- 31 (2015). 

  1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Development of Improved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of Residue Pesticides in Food. (2004). 

  20. Kim N.H., Lee H.G., Lee S.R.: Elimination of Phenthoate Residues in the Washing and Cooking of Polish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3), 490-496 (1996). 

  21. Kim H., Lee H.J., Kim O.W., Lee S.E., Yoon D.H.: Effect of Non-Uniform Milling on Quality of Milled Ric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3(6), 675-680 (2006). 

  2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esticides and Veterinary Drugs Information.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residue. 

  23. Lim Y.B.: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Brown Ric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323-328 (1999). 

  24. Kim H.Y., Jeon Y.H., Hwang J.I., Kim J.H., Ahn J.W., Chung D.H., Kim J.E.: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for Cereals and Leafy Vegetables of Certificated and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Environ. Agric., 30(4), 440-445 (2011). 

  25. Kim M.R., Na M.A., Jung W.Y., Kim C.S., Sun N.K., Seo E.C., Lee E.M., Park Y.G., Byun J.A., Eom J.H., Jung R.S., Lee J.H.: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Special Products. Korean. J. Pestic. Sci., 12(4), 323-334 (2008). 

  2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Code, Korea, 171 (2015). 

  27. Moon J.Y.: Monitoring of Sulfur dioxide and its Risk Assessment in F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12). 

  28. Kang C.H.: KR-A-0036987, 05.24 (2004). 

  29. Han B.K.: KR-A-0022323, 03.31 (2004). 

  30. Kang M.Y.: KR-A-0077133, 12.04 (2001). 

  31.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Jiont FAO/WHO Food Standards Programme CODEX Alimentarious Commission, 53-54 (2010). 

  32. Lee P., Barefoot A., Murphy J.: Handbook of residue analytical methods for agrochemicals, 1st Ed. John Wiley & Sons, 13-37 (2003). 

  3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alytical Practices Manual for Pesticide Residues in Foods, 4th Ed. Part 7, 81-82 (2013). 

  34. Chun O.K., Kang H.G.: Estimation of risks of pesticide exposure, by food intake, to Koreans. Food Chem. Toxicol., 41(8), 1063-1076 (2003). 

  35. Hwang L.H., Kim A.K., Jung B.K., Lee J.K., Shin J.M., Park Y.H., Park H.W., Kim M.J., Park K.A., Yun E.S., Kim M.S.: Removal of Pesticides during Washing and Cooking of Rice. J. Food Hyg. Saf., 28(1), 331-35 (2013). 

  36.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National Food & Nutrition Statistics 2013 based on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15 (2015). 

  3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esticide Residue Database. Available from http://foodnara.go.kr/residu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