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제 풍납토성 출토 흑색마연토기의 제작 특성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Black Burnished Pottery from Pungnaptoseong, Beakje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3 no.6, 2017년, pp.417 - 429  

김수경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한민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남상원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  장성윤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흑색마연토기의 태토를 분석하여 원료물질의 특성을 확인하고, 제작기법을 검토하였다. 분석된 흑색마연토기들은 표면부과 속심의 흑색 발현이 우수하고 입자의 정선도가 높은 그룹과 표면부만 흑색을 띠며, 정선도가 낮은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두 그룹간 태토 정선과정, 발색시간, 발색 방법 등의 제작기법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CaO, $P_2O_5$, L.O.I. 함량이 높게 검출되어 식물 재 성분을 표면에 침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부의 SEM-EDS mapping 결과, 흑색마연토기의 표면부에서 탄소의 농집 현상이 나타나 탄소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함께 출토된 회색토기의 표면부에서는 철의 농집 현상이 두드러지는데 고온소성 과정에서 표면부로 철의 이동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XRD 분석 결과를 통해 흑색마연토기는 $700{\sim}900^{\circ}C$ 이하에서, 회색토기는 $900{\sim}1000^{\circ}C$ 에서 소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at the identification of the black coating materials on the pottery surface and manufacturing technique of black burnished pottery excavated from the Pungnaptoseong, Seoul, which is estimated to be royal fortress of Beakje. According to observation of black coated surface and raw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본 연구는 백제 한성기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흑색마연토기를 대상으로 재료과학적 분석을 수행하고 함께 출토된 회색토기와 적색토기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제작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풍납토성 출토 흑색마연토기는 외관상 흑색의 침투양상과 입자의 크기, 단면 색, 태토 조직 특성을 고려할 때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흑색마연토기의 제작기법 해석을 위해 토기 태토와 표면 흑색물질의 특성을 분석하고 함께 출토된 회색토기 및 적색토기의 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흑색마연토기의 표면처리기법 조사를 위해 단면을 분석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광물 조성으로 토기의 소성온도를 추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백제 한성기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흑색마연토기의 제작기법을 규명하기 위해 물리적, 지구화학적, 광물학적 분석을 수행하고 함께 출토된 회색토기 및 적색연질토기 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토기를 구성하는 태토는 지구화학적 원소분포 거동이 유사하게 나타나 원료물질의 동질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흑색마연 토기의 단면에서 표면부의 SEM-EDS의 mapping을 통하여 원소별 분포 양상을 확인하였다. 시료 마운팅에 사용하는 에폭시수지의 탄소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마운팅하지 않은 토기편을 연마하여 준비하였다.
  • 앞서 언급했듯이 주성분 원소분석의 L.O.I.가 탄소를 포함한 열에 의해 소실된 성분을 나타내므로 그 속에 포함된 탄소의 총량을 탄소정량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Table 3은 전체에 대한 값으로 무게비 wt.
  •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흑색마연토기 태토의 구성성분으로부터 흑색발현 물질이 포함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보통 흑색의 발현은 탄소와 철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일반적인 회청색을 띠는 토기에서는 철의 함량보다는 철의 산화상태에 의해 표면색이 영향을 받으며, 이에 적합한 소성온도와 소성환경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흑색마연토기에 포함된 탄소를 검출하고자 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에서 CPS(초당 발생하는 전자신호 수)의 비율을 이용하여 흑색마연 토기 내의 탄소, 철, 인의 성분을 확인한 기존 연구결과가 있다(Nam, 20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흑색마연토기가 독특한 제작기법을 가졌을 것으로 판단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특히 흑색마연토기는 회색토기와는 다른 검고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있어 고유의 표면처리기법이 있을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5점의 흑색마연토기(B-1~5)를 분석한 결과 표면은 흑색이지만 속심이 갈색이거나 회색인 경우와 속심까지 흑색인 경우 등이 관찰되었다. 또한 태토에 거정질 입자가 거의 없는 경우와 함께 일부 석영과 장석이 포함된 경우 등이 있어 제작기법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흑색마연토기의 주성분 원소 분포는 어떠하며 그것으로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흑색마연토기를 포함하여 회색 및 적색토기를 구성하는 태토의 미량원소는 지구화학적으로 원소의 거동특성이 유사하여 원료물질의 동질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나 주성분원소 분포가 다소 달라 바탕흙의 준비과정은 달랐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흑색마연토기가 회색토기보다 SiO2의 함량이 다소 낮고 CaO와 P2O5, L.O.I.의 값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소성과정에서 식물재를 이용한 탄소 침착과정이 추정되며 이때 CaO, L.O.I.와 P2O5의 함량이 증가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Fe2O3의 함량은 흑색마연토기에서 높지 않았으며 회색토기의 G-8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다른 토기와 비교되는 백제 흑색마연토기의 특징적인 외관은 무엇인가? 백제 흑색마연토기는 형태와 제작기술적 측면에서 여타의 토기와 비교되는 특징적인 외관을 가지고 있다. 토기의 표면이 검고 매끈한 마연 흔적이 있으며, 정선된 태토를 사용하였다. 기벽은 매우 얇고 소성도는 그리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마연 흔적 위에는 칠(漆)을 덧바른 것처럼 광택도 있다(Lee, 2001). 또한 의도적으로 음각선문(陰刻線文)의 장식이 가미된 형태가 많은 것도 특징이다(Lee, 2001; Nam,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rbera, K., Frusteri, L., Italiano, G., Spadaro, L., Frusteri, F., Perathoner, S., Centi, G., 2014, Low-temperature graphitization of amorphous carbon nanospheres. Chinese Journal of Catalysis, 35, 869-876. 

  2. Choi., S.W., Lee, N.S., Yee, J.H., Yee, H.S. and Che, S.J., 2001, Study on occurrence of Paekche burnished black pottery and reproductio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an, Y.S. and Yee, B.H., 2013, Archaeometirc interpret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pottery from the Hyangnam relic sites, Hwaseong, Korea.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an, Y.S., Yee, B.H., 2004, Glaze from wood ashes and color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41(2), 158-1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S.K., 2009, Archaeometric characteristics and reproduction experiments of pottery from the Gojaemigol site in Baekseokdong, Cheonan, Korea.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98-101. (in Koream with English abstract) 

  6. Lee, N.S., 2001, An examination of black burnished pots in Baekje dynasty. Prehistory and Ancient History, 16, 177-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Maritan, L., Nodari, L., Mazzoli, C., Milano, A. and Russo, U., 2005, Influence of firing conditions on ceramic productions: Experimental study on clay rich in organic matter. Applied Clay Science, 31, 1-15. 

  8. Moon, H.T. and Jeoun, Y.S., 1996, Effects of forest fire soil nutrients in pine forests in Kosong, Kangwon province.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9(5), 375-3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Nam, S.W., 2013, A study of black burnished pottery in Beakje dynasty.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Study on standardization of classification of the pottery, focus on Han Seong Beakje, 59-62. 

  11.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5, Study on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pottery, focus on Han Seong Beakje, 16-39, 284-288. 

  12. Nockolds, S.R., 1954,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1007-1032. 

  13. Pearce, J.A., 1983, Role of the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t active continental margins. in Hawkesworth, C.J. and Norry, M.J.(eds.),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s. Shiva, 230-249. 

  14. Taylor, S.R. and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3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