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델파이 방법을 이용한 완화의료 도우미 직무범위 개발
Development of the Scope of Practice for Palliative Care Aides with Delphi Method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0 no.4, 2017년, pp.242 - 252  

권소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양아름 (보바스기념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델파이 합의방식을 통해 '완화의료 도우미'라는 새로운 직종의 직무범위를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호스피스 완화의료 실무와 정책에 관여하는 전문가 패널 36명이 참여하였고, 4단계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각 책무-과업-과업요소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내용 타당도는 5점 척도에서 4점 이상인 항목을 채택하였다. 결과: 4단계의 델파이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완화의료 도우미의 직무로 책무 4개, 과업 15개, 과업요소 46개를 최종 확정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완화의료 도우미의 직무범위가 명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역할갈등과 혼란을 예방하고 서비스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Given the emergence of a new profession called a palliative care aid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scope of its practice using the Delphi consensus method. Methods: This study was participated by a panel of experts comprising 36 members who were involved in either hospice palliative c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는 완화의료 도우미의 정의만 제시하고 있을 뿐 직무분석을 위한 선행문헌이나 자료가 부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1차 라운드는 위의 정의에 준하여 그 직무의 범위와 구체적 작업요소를 개발하기 위한 브레인스토밍 단계로 개방형 질문지에 완화의료 도우미가 수행 가능한 업무와 중점을 두어야 할 업무를 자유롭게 작성하도록 하였다. 개방형 설문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대분류와 소분류를 제시하였고, 대분류에는 증상관련 돌봄, 일상생활보조, 정서적 돌봄, 보호자 역할, 소분류에는 피부 살피기, 투약보조, 위생, 배변도움, 섭생보조, 이동, 말법, 의사소통 매개를 포함하였다.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델파이 합의방식을 통해 ‘완화의료 도우미’라는 새로운 직종의 직무범위를 개발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델파이 방법으로 ‘완화의료 도우미’라는 새로운 직종의 표준화된 역할과 직무범위를 규명하고 제공함으로써 완화의료 도우미가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장에서 표준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고, 이를 통해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완화의료 도우미의 표준화된 역할과 직무범위를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직종 개발에 따른 실무현장의 혼란을 줄이고 서비스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방법을 이용해 완화의료 도우미의 책무, 과업, 과업요소를 규정하고, 각 과업요소의 타당도와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완화의료 도우미의 책무, 과업, 과업요소를 기술함으로써 직무범위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완화의료 도우미의 기준 및 역할은? 건강보험공단 완화의료 급여기준에 따르면 완화의료 도우미는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소지한 자 중 한국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에서 실시하는 호스피스 전문교육을 이수한 자로, 완화의료 병동에서 간호사의 지도·감독 하에 위생, 식사, 이동 등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보조함으로써 가족의 간병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6). 그러나 그간에 가족이 부담하던 간병의 범위가 기관마다 다양하고, 완화의료 도우미의 구체적 역할 및 업무범위에 대한 표준화된 지침이 없어 제도를 도입한 기관마다 역할과 업무내용이 상이한 등 운영상의 혼선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델파이 방법의 전문가 패널 선정 기준은 무엇인가? 그러나 델파이 방법은 직접적 자료가 아닌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전문가 패널의 선정 기준은 1) 완화의료 도우미를 고용한 기관의 수간호사, 2)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 강사, 3) 호스피스 완화의료 정책 개발에 참여하는 의학, 사회복지학, 간호학자로 규정하였다. 전문가 패널 선정을 위해 선정기준을 충족하는 전문가 명단을 작성한 후 중복과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 경력이 1년 미만인 경우를 제외하였다.
완화의료 도우미를 운영하는데 혼선이 발생하는 이유는? 건강보험공단 완화의료 급여기준에 따르면 완화의료 도우미는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소지한 자 중 한국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에서 실시하는 호스피스 전문교육을 이수한 자로, 완화의료 병동에서 간호사의 지도·감독 하에 위생, 식사, 이동 등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보조함으로써 가족의 간병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6). 그러나 그간에 가족이 부담하던 간병의 범위가 기관마다 다양하고, 완화의료 도우미의 구체적 역할 및 업무범위에 대한 표준화된 지침이 없어 제도를 도입한 기관마다 역할과 업무내용이 상이한 등 운영상의 혼선이 발생하고 있다. 때문에 완화의료 도우미의 직무범위에 관한 연구가 시급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rean Hospice & Palliative Nurses Association. Hospice palliative nursing. Seoul:Hyunmoonsa;2015. p. 16-7. 

  2.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Cancer control law enforcement regulation. Sejong: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5. 

  3. Hospice and Palliative Care. Hospice palliative care status and statistics [Internet]. Goyang: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2015 [cited 2017 Jun 18]. Available from: http://hospice.cancer.go.kr/home/contentsInfo.do?menu_no443&brd_mgrno. 

  4. Kim DK. Problems for the achievement and expansion of the introduction of the palliative care assistant system. Hospice Palliative Care Society Symposium for Palliative Care Helper System;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6 Jul 2; Cheongju, Korea. Seoul: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6. 

  5. Lim MS. The number of palliative care assistance system applied that one year experience. Hospice Palliative Care Society Symposium for Palliative Care Helper System;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6 Jul 2; Cheongju, Korea. Seoul: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016.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Palliative care health insuranc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5. 

  7. Lee JS. Delphi method. Seoul:Kyoyookbook;2001. (The series in research method; vol. 21). 

  8. Shin KL, Jo MO, Yang JH.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Ewha Womans University Press;2008. p. 175. 

  9. Hwang NM. An analysis of the debates on introduction of public caregivers' services in acute medical center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0;170:60-71. 

  10. Shin YS, Hwang DK, Nam-Gung EH, Min IS, Yun SJ, Jung HS. Research on institutionalization of nursing service. Seoul: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0. 

  11. Hwang NM. Expansio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for quality assurance of hospitalization in medical institutions. Issue & Focus 2015;286:1-8. 

  12. Song MS. A study on standards development for nursing practice. J Korean Acad Nurs Adm 1995;1:223-45.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standard textbook for nursing caregivers revised in 2014. Sejong: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4. 

  14. Cho JH. A study on the limit of delegated legislation in Medical Law: focus on the regulation of the nurse's aide. Korean J Med Law 2015;23:91-112. 

  15. OECD. Health at a Glance 2015: OECD Indicators [Internet]. Seoul: OECD/Korea Policy Centre; 2016 [cited 2016 Jul 19]. Available from: http://www.oecd-ilibrary.org/docserver/download/811507ke.pdf?expires1509448739&idid&accnameguest&checksumAE9AA9A5C06E56BBA5AF4D4A6620FB82. 

  16. Jeon MH, Lee B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hospice volunteer's activities perceived by hospice voluntee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9;12:122-31. 

  17. No YJ, Han SS, An SH, Kim CG. Hospice and death. Seoul: Hyunmoonsa;1994. p. 158. 

  18. Brock CM, Herndon CM. A survey of hospice volunteer coordinators: Training methods and objectives of current hospice volunteer training programs. Am J Hosp Palliat Care 2017; 34:412-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