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8세 이하 무비증 환자에서 발생한 침습성 세균 감염증에 대한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f Invasive Bacterial Infections in Children with Asplenia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4 no.3, 2017년, pp.160 - 167  

최용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서유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진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무비증 환자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침습성 세균 감염의 위험성은 잘 알려져 있으며 예방적 항생제 처방 및 특히 피막세균에 대한 예방접종이 강조된다. 최근 피막세균에 대한 국내 백신 영역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국내 무비증 소아청소년 환자의 현황과 침습성 세균 감염, 예방적 항생제 처방 및 예방접종의 실태에 관한 보고는 찾기 어렵다. 방법: 1997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20년간 단일 3차 병원의 18세 이하 소아청소년 무비증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 기술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총 213명의 소아청소년 무비증 환자 중 선천성 무비증은 114명(53.5%), 기능성 무비증은 58명(27.2%)이었으며 나머지 41명(19.3%)은 후천성 무비증이었다. 비장절제술을 받은 중앙 연령은 12.2세(범위, 5.0-16.9세)였으며 수술의 가장 흔한 원인은 유전구형적혈구증(39.0%)이었다. 전체 무비증환자 중 16.4%만이 1년 이상 예방적 항생제를 유지하였고 항균제는 amoxicillin이 94.3%로 가장 흔하였으며 유지기간 중앙값은 41개월(범위, 12-161개월)이었다. 전체 무비증 환자 중 168명(78.9%)에서 예방접종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피막세균에 대한 예방접종률은 폐렴사슬알균이 44.1%, b형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 type B)은 53.0%, 수막알균은 10.7%로 낮았고 3가지 백신을 모두 완료한 환자는 8.7%에 불과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총 6명에서 6예(2.8%, 0.28/100인년)의 침습성 세균 감염증이 발생하였고 5예는 선천성 무비증, 1예는 기능성 무비증군에서 발생하였으며 발생 중앙 연령은 15개월(범위, 4-68개월)이었다. 6예 중 5예는 균혈증, 1예는 뇌수막염이었고, 가장 흔한 균은 폐렴사슬알균(n=3)이었으며 그 외 H. influenzae가 1예 있었다. 6예 중 3예(50.0%)가 사망하였고 모두 폐렴사슬알균 균혈증이었다. 6예 모두 예방적 항생제를 처방받지 않았고 예방접종력을 확인할 수 있었던 4예 중 1예만 Hib의 접종을 완료하였으나 나머지 모두는 피막세균 예방접종을 전혀 받지 않았다. 결론: 무비증 환자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침습성 세균 감염의 위험은 전통적으로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예방적 항생제 처방 및 필수 예방접종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임상 의사는 무비증 환자의 정기적 추적 관찰뿐만 아니라 적절한 예방적 항생제 및 필수 예방접종에 대해 숙지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Because children with asplenia have an increased risk of fulminant infection associated with a high fatality, chemoprophylaxis, and vaccinations against encapsulated bacteria are recommended.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f the burden of severe bacterial infection and the current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10–20년간 특히 피막세균 백신 영역 에서 큰 변화가 있었던 국내 의료환경 하에서 소아청소년 무비증 환자의 발생 현황, 침습성 세균 감염증의 발생과 예방적 항생제 처방 및 피막세균 예방접종의 실태를 기술 분석한 국내 최초의 연구로 그 의미가 있다. 무비증 환자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침습성 세균 감염의 위험성은 전통적으로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예방적 항생제 처방 및 필수 예방접종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 이러한 국내 의료환경의 변화에 따라 무비증 소아에서 침습성 세균 감염증 발생 양상의 변화가 있으리라 생각되며, 예방적 항생제 처방 등 적절한 예방 조치, 특히 피막세균 예방접종에 대한 현 상태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20년간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에서 진단 및 치료받은 18세 이하의 후천성, 선천성 및 기능성 무비증 환아에서 침습성 세균 감염증의 발생 빈도 및 호발 균주와 함께 예방적 항생제 처방 및 피막세균 예방접종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 이후에는 피막세균에 대한 백신 영역이 어떻게 변하였는가? 국내에서는 최근 수십 년간 피막세균에 대한 백신 영역에서 큰 변화가 있었는데, 1991년에 폐렴사슬알균 23가 다당 백신이, 1995년에는 b형 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 단백결합 백신, 2003년에는 폐렴사슬알균 7가 단백결합 백신, 2010년에는 폐렴사슬알균 10가 및 13가 단백결합 백신이 허가되었다. 2012년에는 수막알균 단백결합 백신이 만 11세 이상에서 그리고 2014년에는 2개월 이상 영아에서 허가되었다. 이와 더불어 2013년에는 Hib 백신, 2014년에는 폐렴사슬알균 10가 및 13가 단백결합 백신이 국가필수예방접종으로 지정 되었다6).
무비증이란? 무비증(asplenia)은 비장이 없거나 비장의 기능장애를 뜻하며 비장절제술로 인한 후천성 무비증, 선천적으로 비장이 없는 선천성 무비증, 그리고 다비장증(polysplenia) 이나 겸상적혈구빈혈 등의 비장 기능이 저하된 기능성 무비증 등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1). 무비증에서 세균 감염증이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비장절제술 후 진격성 감염(overwhelming post-splenectomy infection)이 대표적으로 잘 알려져 있고 이 경우 사망률이 50%– 70%로 높을 수 있다1).
무비증을 3가지로 분류하면? 무비증(asplenia)은 비장이 없거나 비장의 기능장애를 뜻하며 비장절제술로 인한 후천성 무비증, 선천적으로 비장이 없는 선천성 무비증, 그리고 다비장증(polysplenia) 이나 겸상적혈구빈혈 등의 비장 기능이 저하된 기능성 무비증 등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1). 무비증에서 세균 감염증이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비장절제술 후 진격성 감염(overwhelming post-splenectomy infection)이 대표적으로 잘 알려져 있고 이 경우 사망률이 50%– 70%로 높을 수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Pickering LK, Baker CJ, Kimberlin DW, Long SS. Red book: 2012 report of the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29th ed. Elk Grove Villag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12:88-90. 

  2. Gilsdorf JR. Infections in Asplenic Patients. In: Bennett JE, Dolin R, Blaser MJ, editors. Mandell, douglas, and bennett's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s. 8th ed. Philadelphia: Elsevier Health Sciences, 2015:3466-74. 

  3. Davies JM, Lewis MP, Wimperis J, Rafi I, Ladhani S, Bolton-Maggs PH, et al. Review of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ection in patients with an absent or dysfunctional spleen: prepared on behalf of the British Committee for Standards in Haematology by a working party of the Haemato-Oncology task force. Br J Haematol 2011;155:308-17. 

  4. El-Alfy MS, El-Sayed MH. Overwhelming postsplenectomy infection: is quality of patient knowledge enough for prevention? Hematol J 2004;5:77-80. 

  5. Choi JY, Yun YS, Hong CY. Clinical study on asplenia and polysplenia syndrome. J Korean Pediatr Soc 1989;32:653-8. 

  6.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15 Report of the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 Immunization guideline. 8th ed. Seoul: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2015. 

  7.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National Healthcare Safety Network. Bloodstream infection event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and non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Internet]. Atlant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cited 2017 Oct 9]. Available from: http://www.cdc.gov. 

  8. Rubin LG, Schaffner W. Clinical practice. Care of the asplenic patient. N Engl J Med 2014;371:349-56. 

  9. Styrt B. Infection associated with asplenia: risks, mechanisms, and prevention. Am J Med 1990;88:33N-42N. 

  10. Lynch AM, Kapila R. Overwhelming postsplenectomy infection. Infect Dis Clin North Am 1996;10:693-707. 

  11. Bisharat N, Omari H, Lavi I, Raz R. Risk of infection and death among post-splenectomy patients. J Infect 2001;43:182-6. 

  12. Kyaw MH, Holmes EM, Toolis F, Wayne B, Chalmers J, Jones IG, et al. Evaluation of severe infection and survival after splenectomy. Am J Med 2006;119:276.e1-7. 

  13. Thomsen RW, Schoonen WM, Farkas DK, Riis A, Jacobsen J, Fryzek JP, et al. Risk for hospital contact with infection in patients with splenectomy: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Ann Intern Med 2009;151:546-55. 

  14. Waghorn DJ, Mayon-White RT. A study of 42 episodes of overwhelming post-splenectomy infection: is current guidance for asplenic individuals being followed? J Infect 1997;35:289-94. 

  15. Theilacker C, Ludewig K, Serr A, Schimpf J, Held J, Bogelein M, et al. Overwhelming postsplenectomy infection: a prospective multicenter cohort study. Clin Infect Dis 2016;62:871-8. 

  16. Mahlaoui N, Minard-Colin V, Picard C, Bolze A, Ku CL, Tournilhac O, et al. Isolated congenital asplenia: a French nationwide retrospective survey of 20 cases. J Pediatr 2011;158:142-8. 

  17. Jacobsen CT, Shurin SB. Disorders of the spleen. In: Stossel TP, Handin RI, Lux SE, editors. Blood: principles and practice of hematology.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3:649-72. 

  18. Lee S.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children with no vaccinations recorded on the National Immunization Registry Information System.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