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도양 쌍극진동 변동에 따른 위성에서 추정된 표층 클로로필-a 농도 변화 연구
Variability of Satellite-derived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 Relation to Indian Ocean Dipole (IOD) Variation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6 pt.1, 2017년, pp.917 - 930  

손영백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제주특성연구실) ,  김석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환경기반연구센터) ,  김상현 (한성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시스템공학과) ,  노태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환경기반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7년부터 "이사부호"를 활용하여 인도양에서 본격적으로 수행되는 관측에 앞서 위성을 활용하여 인도양 쌍극진동(Indian Ocean Dipole, IOD) 변동에 따른 위성에서 추정된 클로로필-a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단기적인 변화보다는 장기 변화에 초점을 두고 1998년부터 2016년까지 해색위성에서 계산된 월평균 클로로필-a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인도양 전 해역($30^{\circ}E{\sim}120^{\circ}E$, $30^{\circ}S{\sim}30^{\circ}N$)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클로로필-a 농도는 중앙 인도양에서 낮고, 용승해역 및 대륙 주변 해역에서 증가되었다. 계절풍과 해류 시스템의 영향으로 클로로필-a 농도는 봄에 가장 감소하고 여름에 최대를 나타냈다.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EOF) 분석 결과, 첫 번째 모드의 클로로필-a 농도 변화는 엔소(El $Ni{\tilde{n}}o$/Southern Oscillation, ENSO)의 변화와 높은 관계를 보이고, 두 번째 모드의 클로로필-a 농도 변화는 엔소에 의한 영향보다는 인도양 쌍극진동의 변화와 상대적으로 높은 관계를 나타냈다. 클로로필-a 농도는 두 개의 모드에서 공통적으로 동 인도양과 서 인도양에서 서로 상반된 변화를 나타냈다. 클로로필-a 농도 변화는 동 인도양, 서 인도양 및 인도 주변 해역에서는 인도양 쌍극진동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열대 중앙 인도양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엔소의 변화와 높은 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클로로필-a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는 인도양 쌍극진동의 발생 기작에 따라 다른 반응을 나타냈다. 클로로필-a 농도 변화는 첫 번째 타입 인도양 쌍극진동(엔소 발생시기와 동일)은 여름철에 동 인도양과 서 인도양에서 클로로필-a 농도 차이가 생기고, 최대는 가을에 발생했다. 두 번째 타입 인도양 쌍극진동(엔소 발생 후 그 다음 해 또는 소멸되는 시기)은 봄에 동 인도양과 서 인도양 클로로필-a 농도 차이가 생기고, 여름과 가을에 증가되어, 겨울에 감소되었다. 인도양 쌍극진동의 변동에 따른 클로로필-a 농도 변화는 동 인도양과 서 인도양의 클로로필-a 농도 차이를 발생시키는 과정은 유사하지만, 북부 인도양은 쌍극진동 발생 기작에 따라 상반된 클로로필-a 농도 변화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urface chlorophyll-a concentration (Chl-a) distribution in the Indian Ocean ($30^{\circ}E{\sim}120^{\circ}E$, $30^{\circ}S{\sim}30^{\circ}N$) by the Indian Ocean Dipole (IOD), we conducted EOF and K means analyses of month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본격적인 인도양 해양관측에 앞서 해색위성을 활용한 인도양 전 해역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위성에서 추정된 장기 클로로필-a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인도양 쌍극진동 변동에 따른 클로로필-a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했다. 첫 번째 장기 클로로필-a 농도 자료를 분석하여 공간변화에 따른 시간적 변화를 살펴보았고, 기후 변화 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고, 두 번째 Guo et al.
  • 이런 변화는 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엔소의 영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엔소 발생과 무관한 독립적 현상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양 쌍극진동 변동에 따른 클로로필-a 농도의 장기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해색위성(SeaWiFS, MODIS)에서 추정된 클로로필-a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19년간의 변화를 분석했다.
  • First Type IOD(FT IOD)는 엘리뇨(라니냐)의 발달시기와 동일하게 인도양 쌍극진동 현상이 발생하고, Second Type IOD(ST IOD)는 엘리뇨(라니냐) 발생 이후이거나 또는 소멸되고 그 다음의 해에 인도양 쌍극진동 현상이 발생하고, Third Type IOD(TT IOD)는 엔소 현상과 별개의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양 쌍극진동에 따른 클로로필-a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Guo et al.(2015)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을 이용했다.
  • , 2013). 본 연구에서는 장기 클로로필-a 농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9년 동안 위성에서 추정된 월평균 클로로필-a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EOF 분석을 했다(Fig. 3). 첫 번째 모드(Fig.
  • , 2014). 본 연구에서는 클로로필-a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인 물리적 요인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를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 인도양 쌍극진동 변동에 따른 클로로필-a 농도의 시/공간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Guo et al.(2015)의 연구에서 제안되었던 FT와 ST IOD 시기를 이용하여 클로로필-a 농도 변화를 분석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도양의 해양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 2014). 인도양의 해양환경 변화는 계절풍에 의해서 열대수렴대(Tropical Convergence Zone, TCZ)의 규칙적인 진동에 의해서 결정이 되고, 이러한 변동은 인도양 상층 순환과 심층순환 변동을 수반한다 (Schoot and McCreary, 2001; Meehl and Arblaster, 2011; Han et al., 2014).
인도양 쌍극진동이란 무엇인가? 인도양 쌍극진동(Indian Ocean Dipole, IOD)은 열대 인도양(tropical Indian Ocean)에서 warm pool 움직임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양의 인도양 쌍극진동(positive IOD) 현상은 인도양 동쪽 해역에서 평년보다 동풍이 강해지면서 수온약층을 상승시키고 차가운 표층수온 변이(cold SST anomaly)를 형성하고, 서쪽 해역에서는 수온약층이 깊어지면서 따뜻한 표층수온 변이(warm SST anomaly)를 나 타 낸 다 (Saji et al.
인도양 쌍극진동 현상의 종류는 무엇이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 인도양 쌍극진동(Indian Ocean Dipole, IOD)은 열대 인도양(tropical Indian Ocean)에서 warm pool 움직임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양의 인도양 쌍극진동(positive IOD) 현상은 인도양 동쪽 해역에서 평년보다 동풍이 강해지면서 수온약층을 상승시키고 차가운 표층수온 변이(cold SST anomaly)를 형성하고, 서쪽 해역에서는 수온약층이 깊어지면서 따뜻한 표층수온 변이(warm SST anomaly)를 나 타 낸 다 (Saji et al., 1999; Murtugudde et al., 2004). 음의 인도양 쌍극진동(negative IOD) 현상은 이와 반대의 변화를 나타낸다(Meyers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bram, N.J., M.K. Gagan, J. Cole, W.S. Hantoro, and M. Mudelsee, 2008. Recent intensification of tropical climate variability in the Indian Ocean, Nature Geoscience, 1: 849-853. 

  2. Cai, W. and T. Cowan, 2013. Why is the amplitude of the Indian Ocean dipole overly large in CMIP3 and CMIP5 climate models, Geophysical Research Letter, 40: 1200-1205. 

  3. Cai, W., A. Santoso, G. Wang, E. Weller, L. Wu, K. Ashok, Y. Masumoto, and T. Yamagata, 2014. Increased frequency of extreme Indian Ocean Dipole events due to greenhouse warming, Nature, 510: 254-258. 

  4. Chowdary, J.S., S.-P. Xie, H. Tokinage, Y.M. Okumura, H. Kubota, N. Johnson, and X.-T. Zheng, 2012. Interdecadal variations in ENSO teleconnection to the Indo-western Pacific for 1870-2007, Journal of Climate, 25: 1722-1744. 

  5. Compo, G.P. and R.D. Sardeshmukh, 2010. Removing ENSO-related variations from the climate record, Journal of Climate, 23: 1957-1978. 

  6. Currie, J.C., M. Lengaigne, J. Vialard, D.M. Kaplan, O. Aumont, S.W.A. Naqvi, and O. Maury, 2013. Indian Ocean Dipole and El Nino/Southern Oscillation impacts on regional chlorophyll anomalies in the Indian Ocean, Biogeoscience, 10: 6677-6698. 

  7. Guo, F., Q. Liu, S. Sun, and J. Yang, 2015. Three types of Indian Ocean Dipoles, Journal of Climate, 28(8): 3073-3092. 

  8. Han, W., J. Vialard, M.J. PcPhaden, T. Lee, Y. Masumoto, M. Feng, and P.M. Ruijter, 2014. Indian Ocean decadal variability: A Review,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y Society, 95:1679-1703. 

  9. Hermes, J.C. and C.J.C. Reason, 2008. Annual cycle of the south Indian Ocean (Seychelles-Chagos) thermocline ridge in a regional ocean mode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3(C4). 

  10. Ihara, C., Y. Kushnir, and M.A. Cane, 2008. Warming trend of the Indian Ocean SST and Indian Ocean dipole from 1880 to 2004, Journal of Climate, 21: 2035-2046. 

  11. IOCCG, 2004. Guide to the Creation and Use of Ocean-Color, Level-3, Binned Data product, Antonie, D.(ed.), Reports of the International Ocean-Colour Coordinating Group, No.4, IOCCG, Dartmouth, Canada. 

  12. IOCCG, 2007. Ocean-Colour Data Merging. Gregg, W. (ed.), Reports of the International Ocean-Colour Coordinating Group, No.4, IOCCG, Dartmouth, Canada. 

  13. Krishnamurthy, V. and B.N. Goswami, 2000. Indian monsoon-ENSO relationship on interdecadal timescale, Journal of Climate, 13: 579-595. 

  14. Liu, L., L. Feng, W. Yu, H. Wang, Y. Liu, and S. Sun, 2013. The distribution and variability of simulated chlorophyll concentration over the tropical Indian Ocean from five CMIP5 model, Ocean and Coastal Sea Research, 12(2): 253-259. 

  15. MacKay, D. 2003. Information Theory, Inference and Learning Algorith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Meehl, G.A. and J.M. Arblaster, 2011. Decadal variability of Asian-Australian monsoon-ENSOTBO relationships, Journal of Climate, 24: 4925-4940. 

  17. Meyers, G., P. Mclntosh, L. Pigot, and M. Pook, 2007. The years of El Nino, La Nina, and interactions with the tropical Indian Ocean, Journal of Climate, 20: 2872-2880. 

  18. Murtugudde, R., L. Wang, E. Hackert, J. Beauchamp, J. Christian, and A.J. Busalacchi, 2004. Remote sensing of the Indo-Pacific region: ocean color, sea level, winds and sea surface tempera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5: 1423-1435. 

  19. Saji, N.H., B.N. Goswami, P.N. Vinayachandran, and T. Yamagata, 1999. A dipole mode in tropical Indian Ocean, Nature, 401:360-363. 

  20. Schoot, F.A. and J.P. McCreary, 2001. The monsoon circulation of the Indian Ocean, Progressive Oceanography, 51: 1-123. 

  21. Son, Y.B. and W.D. Gardner, 2011. Climatological variability of surface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and physical processes based on ocean color data in the Gulf of Mexico, Korea Journal of Remote Sensing, 27(3): 235-2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Wiggert, J.D., R.G. Murtugudde, and J.R. Christian, 2006. Annual ecosystem variability in the tropical Indian Ocean: Results of a coupled biophysical ocean general circulation model, Deep-Sea Research II, 53: 644-676. 

  23. Vantrepotte, V. and F. Melin, 2011. Inter-annual variations in the SeaWiFS global chlorophyll a concentration (1997-2007), Deep-Sea Research I, 58: 429-441. 

  24. Vinueza, L.R., G.M. Branch, M. Branch, and R.H. Bustamante, 2006. Top-down herbviory and bottom-up En Nino effects on Galapagos rockhshore communities, Ecological Monographs, 69: 239-266. 

  25. Yamagata, T., S.K. Behera, J.J. Luo, S. Masson, M.R. Jury, and S.A. Rao, 2004. Coupled oceanatmosphere variability in the tropical Indian Ocean, Earth's Climate, 147: 189-211. 

  26. Yoder, J.A. and M.A. Kennelly, 2003. Seasonal and ENSO variability in global ocean phytoplankton chlorophyll derived from 4 years of SeaWiFS measurements, Global Biogeochemical Cycle, 17: 1112. 

  27. Yokoi, T., T. Tozuka, and T. Yamagata, 2008. Seasonal variation of the Seychelles Dome, Journal of Climate, 21: 3740-3754. 

  28. Yokoi, T., T. Tozuka, and T. Yamagata, 2009. Seasonal variations of the Seychelles Dome simulated in the CMIP3 models,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39: 449-4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