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신항은 항만의 대형화 및 하역장비의 현대화와 상해, 싱가포르 등 경쟁항만과의 중심항만 선점 필요성 등 세계해운항만 여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물류중심항만(Hub Port)으로 건설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현재 북컨테이너 부두 및 남컨테이너 부두 등 23선석 운영 중에 있으며, 장래 서컨테이너 부두, 남컨테이너 부두 등에 2020년까지 45선석 규모로 확장될 계획이다. 또한 기 준공된 북컨 외에 웅동지구 1,2단계, 서컨 1,2단계, 남컨 항만배후부지 등 항만배후단지 개발이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발계획을 반영한 장래 교통수요를 예측하여 부산 신항의 교통체계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부산항 신항의 교통체계 문제점은 부산항 신항 제2배후도로와 연계되는 남북축 도로의 주요교차로의 교통혼잡이 발생하고, 장래 증가될 교통량 대비 신항로(북컨 임항도로)의 용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부산항 신항 제1진입도로와 국도2호선이 직접 연결되지 않아 신항북로 등으로 우회교통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신항의 원활한 교통처리를 위한 3가지 교통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첫째, 부산 신항 제2배후도로와 연계되는 서"컨"남북간 교통축에 대한 주요교차로 운영 및 부교차로의 우회전 진입,진출만 허용하는 방안, 둘째, 존 보도 및 중앙분리대 공간을 활용한 신항로(북"컨"임항도로) 차로 확장방안, 셋째, 부산항 신항 제1진입도로에서 지방도 1042호선 직결 진출입램프 설치하여 국도2호선 방면 연계방안이다. 이러한 개선방안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Micro Simulation Package인 Vissi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부산항 신항은 항만의 대형화 및 하역장비의 현대화와 상해, 싱가포르 등 경쟁항만과의 중심항만 선점 필요성 등 세계해운항만 여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물류중심항만(Hub Port)으로 건설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현재 북컨테이너 부두 및 남컨테이너 부두 등 23선석 운영 중에 있으며, 장래 서컨테이너 부두, 남컨테이너 부두 등에 2020년까지 45선석 규모로 확장될 계획이다. 또한 기 준공된 북컨 외에 웅동지구 1,2단계, 서컨 1,2단계, 남컨 항만배후부지 등 항만배후단지 개발이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발계획을 반영한 장래 교통수요를 예측하여 부산 신항의 교통체계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부산항 신항의 교통체계 문제점은 부산항 신항 제2배후도로와 연계되는 남북축 도로의 주요교차로의 교통혼잡이 발생하고, 장래 증가될 교통량 대비 신항로(북컨 임항도로)의 용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부산항 신항 제1진입도로와 국도2호선이 직접 연결되지 않아 신항북로 등으로 우회교통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신항의 원활한 교통처리를 위한 3가지 교통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첫째, 부산 신항 제2배후도로와 연계되는 서"컨"남북간 교통축에 대한 주요교차로 운영 및 부교차로의 우회전 진입,진출만 허용하는 방안, 둘째, 존 보도 및 중앙분리대 공간을 활용한 신항로(북"컨"임항도로) 차로 확장방안, 셋째, 부산항 신항 제1진입도로에서 지방도 1042호선 직결 진출입램프 설치하여 국도2호선 방면 연계방안이다. 이러한 개선방안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Micro Simulation Package인 Vissi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The development project of Busan New Port aims to be Logistics Hub Port but there are too many things to deal with ; enlargement of harbour, interport competition, modernization of harbour loading equipment and so on. At present, 23 berths of North and South container quay are in operation and 22 be...
The development project of Busan New Port aims to be Logistics Hub Port but there are too many things to deal with ; enlargement of harbour, interport competition, modernization of harbour loading equipment and so on. At present, 23 berths of North and South container quay are in operation and 22 berths will be constructed on west and south-side by 2020. Namely, Busan New Port will operate 45 berths in 2020. When it comes to port distripark, a large-scale of Port distripark project is underway, such as Ung-Dong district 1,2 phase, West container 1,2phase, North distripark and so on. This study is to deduce traffic system problem of Busan New Port which is caused by the development project through predicting traffic need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roject. According to study, there are three main problems of traffic system : 1. traffic congestion caused on main crossroad, connecting second harbour back road. 2. It has been predicted that South-North road and traffic capacity of New Port road would lack compared to traffic volume-to-be-increased. Moreover, the detour volume of traffic is caused because New Port's 1st avenue and route 2 were not connected directly. Thus, this study suggests three kinds of improvement plan for smoother traffic flow. 1st. Operate roundabout on major intersection, for example, second harbour back road, west container wharf's subway corridors(South to North), and permit only right turn on sub-intersection. 2nd. Extend New Port road(North container's port road) by utilizing side walk and median. 3rd. Install exit ramp which utilizes Route 2 connecting New Port's 1st avenue and local road 1042. The method w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improvement is Vissim of Mircro Simulation Package.
The development project of Busan New Port aims to be Logistics Hub Port but there are too many things to deal with ; enlargement of harbour, interport competition, modernization of harbour loading equipment and so on. At present, 23 berths of North and South container quay are in operation and 22 berths will be constructed on west and south-side by 2020. Namely, Busan New Port will operate 45 berths in 2020. When it comes to port distripark, a large-scale of Port distripark project is underway, such as Ung-Dong district 1,2 phase, West container 1,2phase, North distripark and so on. This study is to deduce traffic system problem of Busan New Port which is caused by the development project through predicting traffic need considering the development project. According to study, there are three main problems of traffic system : 1. traffic congestion caused on main crossroad, connecting second harbour back road. 2. It has been predicted that South-North road and traffic capacity of New Port road would lack compared to traffic volume-to-be-increased. Moreover, the detour volume of traffic is caused because New Port's 1st avenue and route 2 were not connected directly. Thus, this study suggests three kinds of improvement plan for smoother traffic flow. 1st. Operate roundabout on major intersection, for example, second harbour back road, west container wharf's subway corridors(South to North), and permit only right turn on sub-intersection. 2nd. Extend New Port road(North container's port road) by utilizing side walk and median. 3rd. Install exit ramp which utilizes Route 2 connecting New Port's 1st avenue and local road 1042. The method we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improvement is Vissim of Mircro Simulation Packag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부산항 신항건설은 선박의 대형화와 고속화에 따른 항만의 대형화와 하역장비가 현대화하고 상해, 싱가포르 등 경쟁항만의 대대적인 항만확충 및 중심항만 선점경쟁이 시작된 세계 해운항만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90∼95’년 항만물동량 연평균 증가율 약 14%에 따른 만성적인 체선, 체화 발생과 물류비 증가, 항만 경쟁력 저하로 정기선의 기항 기피가 우려되는 국내 항만여건을 개선하고, ‘95년 시설확보율 49% 수준(하역능력 220만TEU 대비 처리실적 450만 TEU)으로 배후지 협소, 시내교통체증, 체선·체화 등으로 항만서비스가 크게 낙후된 기존 부산항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추진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신항 및 항만배후단지의 기능을 충족하고 급증하는 교통량을 원활히 처리하기 위해 「컨」부두 주변 일대의 교통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산항 신항의 교통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항 신항과 관련하여 수집한 현장실사 자료를 토대로 교통체계의 문제점과 개발계획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항 신항의 교통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항 신항과 관련하여 수집한 현장실사 자료를 토대로 교통체계의 문제점과 개발계획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방향은 부산항 신항 개발계획과 주변개발예정지역을 반영한 토지이용계획, 교통시설계획, 교통운영계획 간의 상호 연계성과 사전진단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연계교통체계를 수립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기준년도는 2015년으로 하고 시간적 범위는 2016~ 2025년으로 하며, 부산항 신항을 중심으로 교통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통수요예측은 당해 지역에 새로운 시설이 입지함으로써 발생 하는 교통상의 제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예측․분석하여 교통영향을 비교․분석하고 사업시행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산항 신항은 동북아 물류중심항만(Hub Port)으로 부상하기 위해 현재 북컨 및 남컨 등 23선석 운영 중에서 장래 서컨, 남컨 등 45선석 규모로 확장될 계획이며, 이와 동시에 웅동지구 2단계, 서컨1, 2단계 항만배후단지 등 항만배후단지 개발이 추진되어, 이에 따른 교통량 급격한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신항의 교통시설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교통체계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부산항 신항의 원활한 교통처리를 위해서 1)서「컨」교통축개선방안 2)북「컨」임항도로 차로 확장방안 3)부산항 신항 제1진입 도로에서 국도2호선 연계방안(진출입램프 연결) 등 3가지의 교통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이를 바탕으로 장래 교통수요예측을 통해 부산항 신항 교통체계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그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Micro Simulation package인 Vissim을 이용하였다.
12, KOTI」, 「부산광역시 도시교통정비기본계획(2012~2031), 2011, 부산광역시」, 「창원시 도시교통정비 기본계획, 2103. 7, 창원시」의 도시 성장지표 및 통행수요 전망치를 적용하였다.
그 후 교통수요예측 모형을 이용하여 통행발생, 통행분포, 통행 수단분담, 통행배정의 4단계를 거쳐 과업대상구간 주변도로에 대한 장래 교통량을 예측하였다.
외부권역에 대한 생성/유인량은 국가교통DB자료의 전국 지역 간 통행량 자료를 수용하여 목적별 통행발생량을 적용하였다.
주 수단은 비기관 교통수단(도보+자전거), 화물/기타수단, 기타버스(시외버스, 고속버스, 기타버스), 철도(일반철도, KTX), 승용차, 택시, 버스, 지하철 등 8가지로 구분된다. 주 수단 통행은 목적통행 기준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통행량 산정 시 목적전수화계수를 적용하여 통행량을 집계하였다.
따라서, 보행 및 자전거 이용이 저조한 점을 고려하여 컨테이너부두측 보도·자전거도로(B=2.0 m)를 폐지하고, 중분대(B=3.0 m) 축소와 전체적인 횡단조정을 통하여 현황 왕복 6차로에서 왕복 8차로로 차로를 증설하여 용량을 증대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교통량-속도 관계식은 통행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KTDB에서 제공하는 전국기반 자료의 도로유형별 VDF 함수 및 파라미터 값을 적용하였다. 분석 시 적용된 VDF 함수는 『국가교통DB』에서 제시된 VDF 함수를 기본적으로 수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TDB에서 제공하는 전국기반 자료의 도로유형별 VDF 함수 및 파라미터 값을 적용하였다. 분석 시 적용된 VDF 함수는 『국가교통DB』에서 제시된 VDF 함수를 기본적으로 수용하였다.
부산항 신항 제2배후도로에서 서컨입구 교차로 구간에 대하여 교통축(Corridor)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개선 방안은 제2배후 도로축의 임계교차로(Critical Intersection) 및 부교차로(Minor Intersection) 4개소 모두에 대하여 우회전 포켓 등을 설치하는 평면교차로 운영방안이다.
부산항 신항 제2배후도로에서 서컨입구 교차로 구간에 대하여 교통축(Corridor) 개선방안을 검토하였다. 개선 방안은 제2배후 도로축의 임계교차로(Critical Intersection) 및 부교차로(Minor Intersection) 4개소 모두에 대하여 우회전 포켓 등을 설치하는 평면교차로 운영방안이다.
또한 장래 교통량 증가에 따른 도로확장을 위해 제2배후도로축및 웅천대로 축에 완충녹지의 신설 및 이설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신항로의 개별시설 출입구 설치 시에 가·감속차로(기 개설 출입구 4개소 포함)를 설치하고, 불법 주·정차 및 운행 방지시설(단속카메라) 설치하는 방안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키 위해 국도2호선(소사~녹산 간)방면, 신호대교방면 신항 진·출입 연계를 위하여 부산항 신항 제1진입 도로 상행방면에서 녹산산단 14번길 접속되는 직결램프 및 지방도 1047호선(녹산산업대로)에서 부산항 신항 제1진입도로 하행방면 으로 접속되는 직결램프 2개소 건설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부산항 신항 상하행 모두 지방도 1047호선(녹산산업대로)에 바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진·출입 연결램프 계획 시 소형선박 통행을 고려한 Clearance (H=3.0 m) 확보를 위해 상행방면은 부득이 녹산산단 14번길을 통해 연결하는 방안도 검토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방법과 범위를 포함한 서론이며, 제2장에서는 부산항 신항의 개발계획 및 도로․교통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장래 교통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제3차 항만기본계획(부산항 기본계획 변경, 2012.8)』 및 『제2차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 및 항만배후단지 지정(변경), 2013.12』 고시내용을 토대로 서컨부두 일원 교통수요를 예측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표년도는 2015년을 기준연도로 하며 부산항 신항 부두 및 항만배후단지 개발계획 최종 완공년도(2020년)의 5년 후인 2025년을 목표년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체계효율화법 규정에 의거하여 국가가 매년 발표하는 국가교통DB자료 중 「2014년 국가교통조사 및 DB구축사업(부산・울산권), 2014.12, KOTI」에서 제시하는 부산․울산광 역권 O/D 및 Network 자료를 기반으로 교통수요를 예측하였다.
단, 부산・울산권 DB에서는 광역권 외부 화물통행에 대한 자료가 없으므로 「2014년 국가교통조사 및 DB구축사업(전국권), 2014.12, KOTI」의 부산․울산광역권 외부 화물통행량 자료를 수용하였다.
- 부산・울산권 DB에서 제공하는 650개 교통존 체계 기준의 여객 O/D를 사용하였다.
- 화물 O/D는 「2014년 국가교통조사 및 DB구축사업(부산・울산권), 2014.12, KOTI」을 사용하였으며,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251개 존을 부산・울산권 DB 여객존체계와 같은 존체계로 세분화 하여 장래 650개존 체계를 기본으로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 분석에 사용되는 주요 파라미터는 채택한 O/D 및 네트워크에 상응하는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장래 교통수요예측은 「국가교통DB」에서 제시한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 수단분담과정의 결과값을 수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행분포모형으로 이중제약 중력모형을 적용하여 목적통행별 기종점 통행량을 산출하였다.
통행수단분담 대상수단의 수단 선택모형은 기준연도의 수단분담율 패턴을 기반으로 기준연도와 장래목표연도별의 효용의 차이를 고려하여 수단분담율을 산출하는 점진적 로짓(Incremental Logit) 모형을 적용하여 장래 수단분담율을 예측하였다.
단, 장래 신교통수단이 건설되거나(예 : 지하철) 장래 개발계획등으로 기준년도 수단분담비가 없는 경우 해당 지역의 수단분담율의 추정을 위해 다항 로짓(Multinomial Logit) 모형을 적용하였다.
통행배정은 종합교통계획 분석모형인 EMME/2를 이용하여 균형배정기법(Equilibrium Assignment)으로 배정하였으며, 통행배정 시 제약요소는 통행거리와 속도, 목적지까지의 도달시간 등을 고려하였다.
통행배정 방법은 일반적으로 단일수단 통행배정방법(SingleClass Assignment)과 다중수단 통행배정방법(Multi-Class Assignment)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버스와 화물차의 통행 배정은 multi-class 통행배정 방식으로 수행한다.
통행/일 단위로 제시된 통행량을 대/일 단위로 환산하기 위한 재차인원은 『국가교통DB』에서 제시한 환산계수를 적용하였다.
성능/효과
세부적으로는 첫째, 부산항 신항 제2배후도로 등 연계수송망 계획에 맞는 내부 접근동선체계의 개선 및 교통량 분산방안을 검토하고, 둘째, 부산항 신항 내 북컨 임항도로 등 장래 교통수요 증가에 대비한 용량증대방안을 제시하며, 셋째, 신항 제1진입도로와 국도2호선 등의 연계방안 개선을 통해 전체적인 신항 내 도로기능 향상 및 운송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하였다.
따라서 해양수산부 부산항 기본계획 변경고시에 의하면, 부산항 신항의 장래 총 하역능력은 15,840천TEU이며 총 45선석 규모이다. 북컨테이너 1-1, 1-2, 2-1단계, 남컨테이너 2-2, 2-3단계 등 현재 운영 중인 부두의 하역능력은 9,230천TEU, 23선석 규모이다.
부산항 신항 제2배후도로에서 서컨입구 교차로구간 평면교차로 개선계획수립에 따른 개선효과는 부산항 신항 제2배후도로에서 서컨 입구 교차로구간 통행속도가 북→남 방면 21.2 km/h에서 39.2 km/h, 18.0 km/h, 남→북 방면 18.1 km/h에서 38.2 km/h로 20.1 km/h가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선효과 분석결과, 신항입구 교차로의 평균제어지체가 연계 전 51.3초/대에서 연계 후 37.1초/대로 14.2초 감소되어 서비스수준도 D에서 C로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산항 신항의 교통체계 문제점을 살펴본 결과 부산항 신항제2배후도로와 연계되는 남북축 도로 주요교차로의 교통혼잡이 발생하고, 장래 증가될 교통량에 대비하여 웅천대교 임항도로의 용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부산항 신항 제Ⅰ진입도로와 국도2호선의 연계성이 부족하여 우회교통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교통체계 개선방안에 대하여 Vissim시뮬레이션 결과 제2배후도로 가로 통행속도는 26.80~32.00 km/h, 신항로 가로 통행속도는 9.10~14.50 km/h 증가되며, 신항입구 사거리는 평균제어지체가 14.20초/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후속연구
따라서 본 연구의 교통수요예측은 부산항 신항 주변지역의 도시 성장지표 및 주변개발계획을 고려하여 주변가로 및 교차로의 장래 교통량을 예측하는 것으로, 상위계획에서 제시한 도시성장지표 및 주변 교통부문 개발계획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부산항 신항의 교통체계 문제점이 발생한 원인은 부산항 신항 토지이용계획 수립 단계에서 원활한 교통처리계획을 충분히 검토하지 못한 결과로 사료된다.
따라서 장래 「항만기본계획」 및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 수립에 따른 부산항 신항 토지이용계획 수립 시 원활한 교통처리계 획을 반영한 토지이용계획 수립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개선방안의 상위계획(항만기본계획, 항만배후단지개발 종합계획) 에 반영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산항 신항건설의 목적은 무엇인가?
부산항 신항건설은 선박의 대형화와 고속화에 따른 항만의 대형화와 하역장비가 현대화하고 상해, 싱가포르 등 경쟁항만의 대대적인 항만확충 및 중심항만 선점경쟁이 시작된 세계 해운항만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90∼95’년 항만물동량 연평균 증가율 약 14%에 따른 만성적인 체선, 체화 발생과 물류비 증가, 항만 경쟁력 저하로 정기선의 기항 기피가 우려되는 국내 항만여건을 개선하고, ‘95년 시설확보율 49% 수준(하역능력 220만TEU 대비 처리실적 450만 TEU)으로 배후지 협소, 시내교통체증, 체선·체화 등으로 항만서비스가 크게 낙후된 기존 부산항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추진되었다.
부산항 신항은 어떻게 구분될수 있는가?
부산항 신항은 북컨테이너부두, 남컨테이너부두, 서컨테이너부두와 다목적부두로 구분되어 있으며, 컨테이너부두와 항만배후단지, 배후산업단지가 연계된 항만 클러스터 형성을 통한 항만물류 업무 중심지 조성을 위해 총 9,443천m2의 북컨, 웅동, 서컨, 남컨 항만배후단지 개발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부산항 신항의 교통체계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개선방안은?
이에 부산항 신항의 원활한 교통처리를 위해서 1)서「컨」교통축개선방안 2)북「컨」임항도로 차로 확장방안 3)부산항 신항 제1진입 도로에서 국도2호선 연계방안(진출입램프 연결) 등 3가지의 교통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12)
Busan Metropolitan City (2011). Busan metropolitan city traffic maintenance basic plan (2012-2031) (in Korean).
Changwon City (2013). Changwon city traffic maintenance basic plan (in Korean).
Cowie, J. (2002). "Acquisition, efficiency and scale economies : An Analysis of the British bus industry." Transport Reviews, Vol. 22, No. 2, pp. 147-157.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