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 병원선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Current Status and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of Hospital Ship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2 no.4, 2017년, pp.189 - 195  

오종명 (충청남도 복지보건국 건강정책과) ,  이무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른 도서지역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의 핵심이자 주요수단인 병원선 사업은 제도적으로 답보상태에 있으며,기계 및 설비의 낙후, 도서지역 보건의료 전달체계 등의 보완필요, 여전한 미충족의료의 문제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충청남도의 병원선 사업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개선방향과 향후과제를 도출코저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지역에 대한 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은 그간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 특히, 도서지역에 대한 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은 그간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등을 대상으로 한 시설중심 지원정책으로 인하여 법적, 행정적 지원체계에서 배제되어 왔음이 확실하다. 이에 따른 도서지역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의 핵심이자 주요수단인 병원선 사업은 제도적으로 답보상태에 있으며,기계 및 설비의 낙후, 도서지역 보건의료 전달체계 등의 보완필요, 여전한 미충족의료의 문제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훈령 제4호 ‘병원선 및 쾌속후송선 관리규정’ 제4조의 내용은? 보건복지부 훈령 제4호 ‘병원선 및 쾌속후송선 관리규정’ 제4조는 병원선의 임무 및 역할을 명시하고 있는데 환자진료, 각종 전염병에 대한 예방접종 및 방역활동, 보건교육, 기타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등으로 규정되어 있다.
국내 섬들의 무인도화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은? 이와 더불어 많은 섬이 생산 연령층의 비율이 낮고, 인구 고령화로 인하여 무인도화되고 있다. 지리적 고립으로 인하여 의료기관의 이용이 어렵고, 일부 도서지역은 보건지소 혹은 보건진료소가 대부분으로 의료소외 지역으로 남아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 YH.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health resources and services of islands in Korea. Webhealth Research 2003;6:1-13 (Korean) 

  2. Shin SH. Social structure of the island in the southeast of Korea.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1990;7:307-320 (Korean) 

  3. Shin SH.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of the island. Korea Institute of Rural Problems, Gwangju Ilbo Corporation, 1995, pp 9-33 (Korean) 

  4. Ko KH, Moon G, Sohn SJ, Choi JS. The Survey on the Health Status of an Islands-District Residents -II. The Medical Utilization Pattern and Recognition of Medical Facilities. Korean J Rural Med 1992;17(2): 113-119 (Korean) 

  5. Lee MS, Kim EY, Kim DK, Hong JY, Kim KY, BJ Na.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and need assessment for healthcare services in island residents of the 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Konyang Medical Journal 2003;3(1):7-13 (Korean) 

  6. Eum GC, Hwang SS, Lee BS.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island reg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1996, 1-272 (Korean) 

  7. Lim JS, Kim CY. Health issues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island residents. Korean J of Rural Med 2002;27(1):185-196 (Korean) 

  8. Yu SH. Cho WH, Park JY, Lee MG. Health Care Utilization and Its Determinants among Island Inhabitant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1987; 20(2):287-300 (Korean) 

  9. Lee MS, Lee WJ, Kim DK, Kim KY, Na BJ, Hong JY.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between island and land residents in the one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Konyang Medical Journal 2003;3(2):64-70 (Korean) 

  10. Green LW, Lewis FM.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Mayfield, Paolo Alto, CA, 1986, 1-430 

  11. Na BJ, Kim KY, Lee MS, Lee SG. Strengthening strategies of community health i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ublic of Korea. 2005, 1-226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