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산지에 따른 커피의 이화학적 특성, 생리활성 성분 및 산화방지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bioactive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coffee beans dependent on the cultivation reg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5, 2017년, pp.474 - 479  

이경수 (영남이공대학교 관광외식학부 식음료조리계열) ,  김자민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경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많이 수입되어 음용되고 있는 커피원두를 일정한 조건하에서 배전 및 추출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 기능성 성분 및 산화방지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콜럼비아산 커피 추출액의 pH가 가장 높았으며, 산도는 0.46-0.55%로 산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0.90-1.0^{\circ}Bx$로 나타났다. 갈색도는 인도네시아산 커피 추출액의 값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에티오피아산이 가장 낮았다. 인도네시아산 커피 추출액이 가장 많은 카페인과 클로로젠산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케냐산 커피 추출액의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다. 산화방지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ABTS 소거능 모두 인도네시아산과 케냐산 커피 추출액이 다른 산지의 커피 추출액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5종류의 커피 중 인도네시아산과 케냐산이 높은 함량의 기능성 성분과 우수한 산화방지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ve types of coffee bean, which are usually imported and consumed in Korea, were roasted at $250^{\circ}C$ for 15 min and extracted by using a filter coffee machin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functional compon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ffee bean extracts were inv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에 비해 커피 원두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에 관한 선행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수입되어 음용되고 있는 커피원두를 일정한 조건하에서 배전 및 추출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 기능성 성분 및 산화방지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 하지만 이에 비해 커피 원두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이화학적 및 기능적 특성에 관한 선행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수입되어 음용되고 있는 커피원두를 일정한 조건하에서 배전 및 추출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 기능성 성분 및 산화방지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피는 무엇인가? 커피는 쓴맛, 신맛, 떫은맛 및 고소한 맛 등의 특유한 맛과 향이 조화되어 만들어진 대표적인 기호음료로써, 국내는 물론 전세계 사람들이 즐겨 마시고 있다. 관세청이 발표한 ‘최근 커피수입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커피 수입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생두 및 원두의 수입량은 전년에 비하여 각각 약 7% 및14% 증가하였다.
커피의 품종 3가지는 무엇인가? 커피나무는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가 원산지이며, 현재는 베트남을 비롯하여 인도네시아,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인도, 과테말라 등지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커피의 품종은 Coffea arabica L. (arabica 종), Coffea canephora L. (robusta 종), 그리고 Coffea liberica 세 품종으로 구분되며(2), 이 중 아라비카 종과 로부스타종이 전 세계 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리베리카 종은 소량 생산된다(3). 일반적으로 커피는 생산지별로 품질이 비슷하기 때문에 지역 이름 혹은 선적된 항구 등을 마치 상품명처럼 사용되고 있는데, 브라질 마르고지프, 콜롬비아의 콜롬비아 마일드, 에티오피아의 에티오피아 하라, 자마이카의 블루마운틴, 예맨의 모카 등이 그 예이다(2).
커피콩의 중요한 알칼로이드 성분의 이름과 그 기능은 무엇인가? 카페인은 커피콩의 중요한 알칼로이드로 그 함량은 품종에 따라 1-4% 정도 함유되어 있다(7). 카페인은 중추신경계를 활성화하고 혈액순환을 증가시켜 각성효과를 나타내고 이뇨작용을 유발하며, 위장과 운동성을 증가시키고 우울,떨림, 운동성 감소 등과 같은 파킨슨 증상의 완화에도 효과적이다(8,9). 뿐만 아니라 카페인의 함량은 그 쓴맛으로 커피의 품질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커피콩에는 다량의 폴리페놀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으며(5), 그 중 클로로젠산(chlorogenic acid)이 전체 고형분의 약 12%를 차지하며, 탄닌(tannin)과 리그난(lignan) 및안토사이아닌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1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orea Customs Service. Recent trends in coffee import. Available from: http://www.customs.go.kr/kcshome/cop/bbs/selectBoard.do? layoutMenuNo294&bbsIdBBSMSTR_1018&nttId2783. Accessed Mar. 22, 2017. 

  2. Kim HK, Hwang SY, Yoon SB, Cun DS, Kong SK, Kang KO.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ffee bean by roasting and extracting condition. Korean J. Food Nutr. 20: 14-19 (2007) 

  3. Jo SJ, In MJ, Kim DC. Effect of the roasting intensity and extraction time of coffee bean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 extract. Food Eng. Prog. 20: 165-169 (2016) 

  4. Yukawa GS, Mune M, Otani H, Tone Y, Liang XM, Iwahashi H, Sakamoto W. Effects of coffee consumption on oxidative susceptibility of low density lipoproteins and serum lipid levels in humans. Biochemistry 69: 70-74 (2004) 

  5. Lopez-Garcia E, van Dam RM, Willett WC, Rimm EB, Manson JE, Stampfer MJ, Rexrode KM, Hu FB. Coffee consumption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men and women: A prospective cohort study. Circulation 113: 2045-2053 (2006) 

  6. Choi EY, Jang JY, Cho YO. Coffee intake can promot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with increasing MDA level and decreasing HDL-cholesterol in physically trained rats. Nutr. Res. Pract. 4: 283-289 (2010) 

  7. Mazzafera P, Silvarolla M. Caffeine content variation in single green Arabica coffee seeds. Seed Sci. Res. 20: 163-167 (2010) 

  8. Hu G, Bidel S, Jousilahti P, Antikainen R, Tuomilehto J. Coffee and tea consumption and the risk of Parkinson's disease. Mov. Disord. 22: 2242-2248 (2007) 

  9. Glade MJ. Caffeine-not just a stimulant. Nutrition 26: 932-938 (2010) 

  10. Farah A, Donangelo CM. Phenolic compounds in coffee. Braz. J. Plant Physiol. 18: 23-36 (2006) 

  11. Esquivel P, Jimenez VM. Functional properties of coffee and coffee by-products. Food Res. Int. 46: 488-495 (2012) 

  12. Farah A, Monteiro M, Donangelo CM, Lafay S. Chlorogenic acids from green coffee extract are highly bioavailable in human. J. Nutr. 138: 2309-2315 (2008) 

  13. Bell LN, Clinton RW, Grand AN. Caffeine content in coffee as influenced by grinding and brewing techniques. Food Res. Int. 29: 785-789 (1996) 

  14. Folin O, Denis W.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db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912) 

  15. Blois ML.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16. Re R, Pellegrini N, Proteggene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998) 

  17. Cho IS, Hong MS, Lee ES, Kim SJ, Lee YC, Kim SD, Jo HB, Kim JH, Jung K.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roasted coffee bean in Seoul. J. Food Hyg. Saf. 30: 236-241 (2015) 

  18. Park SJ, Moon SW, Lee J, Kim EJ, Kang BS. Optimization of roasting conditions for coffee bean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18: 178-183 (2011) 

  19. Sivetz M, Desrosier NW. Coffee Technology. AVI Publishing Co., Washington, USA. pp. 527-574 (1979) 

  20. Eun JB, Jo MY, Im J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ffee extract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723-728 (2014) 

  21. Clarke RJ. Extraction in Coffee. Elsevier Science Publishers, New York, NY, USA. pp. 109-144 (1987) 

  22. Seo HS, Kim Sh, Hwang IK. Comparis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commonly consumed coffees at coffee shops in Seoul downtown. Korean J. Food Cook. Sci. 19: 624-630 (2003) 

  23. Toci AT, Farah A. Volatile compounds as potential defective coffee beans' markers. Food Chem. 108: 1133-1141 (2008) 

  24. Brainard DH. Color appearance and color difference specification. pp. 192-213. In: The Science of Color. Shevell SK (ed). Elsevier, Kidlington, UK (2003) 

  25. Ludwig IA, Sanchez L, Caemmerer B, Kroh LW, Pena M, de Pena MP, Cid C. Extraction of coffee antioxidants: Impact of brewing time and method. Food Res. Int. 48: 57-64 (2012) 

  26. Liang N, Kitts DD. Antioxidant property of coffee components: Assessment of methods that define mechanisms of action. Molecules 19: 19180-19208 (2014) 

  27. Borrelli RC, Viscounti A, Mennella C, Anese M, Foglian V.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ffee melanoidins. J. Agr. Food Chem. 50: 6527-6533 (2002) 

  28. Rhi JW, Shin HS. Antioxidative effect of brown materials extracted from roasted coffee be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220-224 (1993) 

  29. So YJ, Lee MW, Yoo KM, Kang HJ, Wang IK.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utch coffee depending on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and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671-676 (2014) 

  30. Kim MJ, Park JE, Lee JH, Choi NR, Hong MH, Pyo YH. Antioxidant capacity and bioactive composition of a single serving size of regular coffee varietie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299-304 (2013) 

  31. Crozier TWM, Stalmach A, Lean ME, Crozier A. Espresso coffees, caffeine and chlorogenic acid intake: Potential health implications. Food Funct. 3: 30-33 (2012) 

  32. Lee C. Antioxidant ability of caffeine and its metabolites based on the study of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and inhibition of LDL peroxidation. Clin. Chim. Acta 295: 141-154 (2000) 

  33. Vignoli JA, Bassoli DG, Benassi MT. Antioxidant activity, polyphenols, caffeine and melanoidins in soluble coffee: The influence of processing conditions and raw material. Food Chem. 124: 863-868 (2011) 

  34. Parras PM, Martinez-Tome M, Jimenez AM. Murcia MA. Anitioxidant capacity of coffees of several origins brewed following three different procedures. Food Chem. 102: 582-59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