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간호대학생의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tress on the Happiness Index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Optimism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2, 2017년, pp.381 - 391  

김은영 (광주대학교 간호학과) ,  임경숙 (송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낙관성을 매개로 스트레스가 행복지수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 3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경험이 있는 3, 4학년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362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분석회귀분석과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에 있어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 행복지수, 낙관성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행복지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행복지수를 저하시켰다. 낙관성은 스트레스와 대학생의 행복지수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와 낙관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전략의 하나로 행복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ptimism on stress on happiness index. The subjects were 3 and 4 grade students who had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mong 3 nursing students at G university, and 362 questionnaires were used as research data. The data analysis used regress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모형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경우 심리적 요인이 영향을 주고[24], 이 스트레스는 행복감에 대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는 낮은 행복감을 초래한다[9,10]. 또한 낙관성을 통해서 어떤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인식함으로써 행복을 추구한다는[25]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변인인 낙관성이 스트레스에서 시작하여 행복지수로 가는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개인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 방안의 하나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지수와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행복지수의 증가를 위한 간호중재 및 교육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정도는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대상자의 스트레스 정도가 평균 170.
  • 본 연구는 스트레스가 간호대학생의 행복지수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가 간호대학생의 행복지수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여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간호대학생의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로 인해 긍정적인 낙관성을 감소시키며 행복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특히, 낙관성은 다양한 스트레스 노출에서 개인의 부적응 문제를 완화시켜주는 개인의 긍정적인 성격특성으로 제시되고 있어 대학생활에서 경험하게 되는 과도한 학업, 취업, 선후배와의 관계, 여가활동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행복지수와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낙관성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간호대학생의 행복지수 증진에 적절한 간호전략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간호대학생의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로 인해 긍정적인 낙관성을 감소시키며 행복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특히, 낙관성은 다양한 스트레스 노출에서 개인의 부적응 문제를 완화시켜주는 개인의 긍정적인 성격특성으로 제시되고 있어 대학생활에서 경험하게 되는 과도한 학업, 취업, 선후배와의 관계, 여가활동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행복지수와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낙관성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간호대학생의 행복지수 증진에 적절한 간호전략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이 타 전공 대학생들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이유? 간호대학생은 타 전공 대학생들보다 대학생활 스트레스(학업, 취업, 대인관계 등)뿐만 아니라 엄격한 교과과정과 과도한 학습량, 의료인으로써 갖게 되어야 할 직업관 및 가치관 확립 등으로 강도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1,2]. 또한 간호대학생은 간호사 면허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임상실습교과목 중 임상실습을 1,000시간 이상을 이수해야만 가능하다.
간호대학생이 과도한 스트레스에 오래 지속될 때 유발되는 것은? 이러한 과도한 스트레스가 오래 지속되게 되면 우울을 초래[5]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안녕을 위협하게 되고 질병을 유발하게 되며[6], 궁극적으로 개인의 행복저하를 초래[5,7]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은 간호대학생의 행복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간호대학생의 행복과 관련된 연구들을 보고하였다[8,9,10].
간호대학생들이 겪는 스트레스 요인에는 어떤것이 있는가? 또한 간호대학생은 간호사 면허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임상실습교과목 중 임상실습을 1,000시간 이상을 이수해야만 가능하다. 그렇다보니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지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들(낯선 환경, 실수에 대한 불안감, 과도한 과제물, 역할갈등 및 지식적용의 한계, 위기의 대처능력 및 대인관계 등)로 인해 강도 높은 스트레스와 부정적인 경험에 노출되어 있어[3,4], 간호대학생에서 스트레스는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주위의 환경이나 개인의 입장에서 모두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측면이 일반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J. K. Kim, "A Review Study on Nursing Students Stress for Improvement of Nursing Education", J. of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1, pp. 47-59,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1.47 

  2. R. Watson, E. Gardiner, R. Hogston, H. Gibson, A. Stimpson, R. Wrate et al., "Alongitudinal Study of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 18, No. 2, pp. 270-278, 2009.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8.02555.x 

  3. H. Y. Jung,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Ego Resiliency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7, pp. 259-568,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7.259 

  4. S. J. Park, B. J. Park, "Relationship of Clinical Practice Stress to Clinical Competence among One College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21, No, 4, pp. 313-322, 2013. 

  5. N. H. Jo C. H. Seong, "Effects of Stress and Self-esteem on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and Middle-aged 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6, pp. 89-97, 2016. https://doi.org/10.15207/JKCS.2016.8.7.089 

  6. World Health O.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Mental Disorders in Primary Health Car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7. E. Y. Kim, "A Study on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9, pp. 385-395,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9.385 

  8. J. G. Kim, H. S. Park, "The Factors Related to Happines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1, pp. 545-559, 2015. 

  9. J. H. Kim, H. O. Jeon,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 Nursing Students: Focused on Psycho-social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5 No. 2, pp. 123-132, 2016. https://doi.org/10.12934/jkpmhn.2016.25.2.123 

  10. Y. S. Kim, M. Y. Han, "Factors Influencing Happiness Index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1, No. 5, pp. 501-510, 2015.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5.501 

  11. G. Y. Jo, H. S. Park, "Predictors of Subjective Happiness for Nursing Students",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1, pp. 160-169,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1.160 

  12. W. H. Jun, K. S. Cha, K. L. Le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1, No. 2, pp. 276-284, 2015. 

  13. S. H. Kim, S. H. Lee,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on Nursing Students' Happines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7, No. 1, pp. 63-72, 2015. https://doi.org/10.7475/kjan.2015.27.1.63 

  14. H. S. Park, "Stress, Yangsaeng and Subjective Happiness among Femal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n", J. of the Korea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0, No. 4, pp. 471-481, 2014.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4.471 

  15. D. Ruiz-Aranda, N. Extremera, C. Pineda-Galan, "Emotional Intelligence,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in Female Student Health Professional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1, No. 2, pp. 106-113, 2014. https://doi.org/10.1111/jpm.12052 

  16. B. H. Son, Y. M. Kim, I. G. Jun, "A Study on Nursing Students's Job Esteem, Work Values, and Satisfaction of Their Majo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0, No. 3, pp. 240-249, 2011. 

  17. J. S. Jun, K. H. Shin, W. S. Gim et al., "The Difference of Diabetes Stress on Depress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Variable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2, No. 4, pp. 851-868, 2007. 

  18. M. J. Kim, H. K, Lee,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as a Mediating Variable", Catholic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25, pp. 49-67, 2009. 

  19. M. E. P Seligman, Authentic Happiness ed. Mulpure Publishing(Gyeonggi-do), 2006. 

  20. H. S. Kim, Y. S. Lee, C. S. Kim, "The Effects of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of College Students: Repeated Measure Mediated Effects of Hardiness and Optimism on Subjective-well being", The Korean J. of Health Psychology, Vol. 15, No. 3, pp. 499-514, 2010. 

  21. K. M. Bellizzi, T. O. Blank,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 Health Psychology, Vol. 25, No. 1, pp. 47-56, 2006. 

  22. S. J. Kim, M. S. Kim, S. H. Yeo, "The Relation of Resilie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f Broken Fami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9, pp. 525-535,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6.14.9.525 

  23. H. Y. Jung, J. Y.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The Koran J. of Counseling, Vol. 10, No. 4, pp. 2367-2381, 2009. 

  24. T. Cassidy, M. Giles, M. McLaughlin, "Psychological Capital and Health: A Resource Model of Stres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Current Advances in Psychology Research, Vol. 1, No. 1, pp. 1-7, 2014. 

  25. J. S. Park, T. Y. Jung, "Life-stress and Happiness between Protestants and Non-believers in Middle-age: The Moderating Effects of Optimism, Self-regulation, and Religiosity",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19, No. 1, pp. 31-38, 2011. 

  26. J. S. Yoo, S. J. Chang, E. K. Choi, J. W. Park, "Development of A Stress Scale for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8, No. 3, pp. 410-419, 2008. 

  27. M. F. Scheier, C. S. Carver, M. W. Bridges,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67, No. 6, pp. 1063-1078, 1994. 

  28. S. H. Kim,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alistic and Unrealistic Optimists. Catholic Univer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2003. 

  29. E. K. Suh, J. S. Koo,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SSWB):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25, No. 1, 95-113, 2011. 

  30.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Society f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1986. 

  31. K. J. Preacher, J. P. Selig, "Advantages of Monte Carlo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Communication Methods & Measures", Vol. 6, pp. 67-98, 2012. http://dx.doi.org/10.1080/19312458.2012.679848 

  32. P. E. Shrout,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 7, No, 4, pp. 422-445, 2002. https://doi.org/10.1111/bmsp.12028 

  33. A. F. Hayes, K. J. Preacher,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with a Multi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2012. 

  34. Y. S. Song, "Stressful Life Events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1, pp. 71-80, 201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071 

  35. H. H. Cho, J. M. Kang,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Practice Burnout in Student Nurs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23, No.2, pp. 199-206, 2017. https://doi.org/10.4094/chnr.2017.23.2.199 

  36. B. J. Park1, S. J. Park, H. N. Cho,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the Nursing Prof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7 pp. 220-227,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7.220 

  37. K. H. Lee "Mediation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Powerlessness and Nursing Imag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16, No. 1, pp. 26-34, 2010. 

  38. M. S. Lee, K. S. Kim, M. K. Cho, J. W. Ahn, S. N. Kim, "Study of Stres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Quality of Life",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 21 No. 2, pp. 125-134, 2014. 

  39. G. Y.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Regarding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1, No. 1, pp. 129-139, 2009. 

  40. J. Y. Han, H. S. Park, "Effects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Vol. 18, No. 3, pp. 365-372, 2011. 

  41. D. Keith, M. E. P. "Seligman, Is Optimism Heritable?: A Study of Twins", 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Vol. 31, No. 6, pp. 569-574, 1993. https://doi.org/10.1016/0005-7967(93)90108-7 

  42. J. C. L. Lai, "Dispositional Optimism Buffers the Impact of Daily Hassles on Mental Health in Chinese Adolesc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 47, No. 4, pp. 247-249, 2009. https://doi.org/10.1016/j.paid.2009.03.007 

  43. J. W. Lee, "The Relationship among Daily Stress,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Science, Vol. 19, No. 1, pp. 1-17,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