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한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과 교직 희망 동기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on Cooper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Motivation to Become a Teacher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6, 2017년, pp.87 - 109  

홍우현 (연세대학교 아동 가족학과) ,  김명순 (연세대학교 아동 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on cooperating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motivation to become a teache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99 student teachers studying child care and education at two-year or four-year coll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러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어떠한 점이 예비교사를 교직으로 이끄는가에 대한 이해가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교직선택 이유에 대해선 아직 명확한 원인들을 밝히지 못하고 있다(Thomson, Turner, & Nietfeld, 2012). 그리하여 본 연구는 실습지도교사 전문성에 대한 예비교사 스스로의 인식이 하나의 교직 선택의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그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위에서 언급해 온 바와 같이 실습지도교사가 예비교사의 실습 수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맡음은 물론이며 전문적인 교사는 예비교사의 롤모델으로서 교수 방식, 교수 전략, 전문 지식 등을 모델링 해주고 교사로서의 성장을 돕기 때문이다(Fairbanks & Meritt, 1998).
  • 직접 방문의 경우 담당 교수와의 사전 협의 하에 보육실습 수업 전후 시간에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연구를 설명하고 참여 동의를 구한 뒤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또한 우편 배부의 경우 사전에 동의를 받은 아동 및 보육관련학과 교수나 담당 조교 학생에게 연구 목적과 방식을 설명하여 같은 방식으로 조사가 실시되도록 하였다. 배부된 설문지 총 478부 중 452부를 회수하였는데(회수율 95%), 이 중 일관된 번호로 응답을 하거나 대부분의 설문 문항에 응답이 되어 있지 않는 등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41부, 가정 어린이집의 경우 대학보다는 주로 보육교사양성원의 학생들이 실습을 수행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실습기관이 가정 어린이집이었던 12부를 제외하여 총 39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 따라서 예비보육교사 또한 양성기관에 따라 학습 내용 및 요구도가 달라질 수 있어 수학한 내용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고 교사로서 발전해나가야 할 점을 파악할 수 있는 실습 과정에 대한 그들의 인식 역시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으며 이를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2년제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이며 연구 실시 이전에 보육실습을 마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습을 수행한 보육시설과 학급의 유형, 학제에 따른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 및 2년제 전문대학의 예비보육교사 간에 교직 희망 동기가 다른 점(송주연, 조준오, 2010)을 고려하여 예비보육교사의 교직 희망 동기의 학제별 차이 및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과의 관계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학교의 특성이 학생들의교사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차성현, 2012), 학제에 따라 교직 희망 동기가 다른 점(송주연, 조준오, 2010)을 고려하여 학제별로 두 변인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는 3년제 전문대학보다 4년제 대학 학생들이 영아반 교사의 전문성에 대하여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박영희, 서현아 그리고 최남정(2012)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학제의 특성에 근거한 예비보육교사의 개인적 측면과 대학의 보육실습 체계의 구조적 측면 두 가지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4년제 대학 및 2년제 전문대학의 예비보육교사 간에 교직 희망 동기가 다른 점(송주연, 조준오, 2010)을 고려하여 예비보육교사의 교직 희망 동기의 학제별 차이 및 실습지도교사의 전문성과의 관계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학교의 특성이 학생들의교사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차성현, 2012), 학제에 따라 교직 희망 동기가 다른 점(송주연, 조준오, 2010)을 고려하여 학제별로 두 변인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영유아 보육의 경우 초·중등 교사와는 다른 양성 체제를 가지며(임승렬, 박은혜, 김명순, 김희진, 2003), 양성기관 또한 다양하여 진학 배경 및 동기, 진로 선택이 초·중등 예비교사와는 차별성을 보이기 때문이다(송주연, 조준오, 20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가 영유아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존재인 이유는 무엇인가? 교사는 영유아에게 학습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들의 흥미와 능력을 파악하여 탐색을 돕고 호기심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맡고 있기에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Berns, 2013). 그에따라 현재 영유아 교사의 중요성이 상당히 강조되고 있는데, 2013년부터 만 0∼5세 영유아 무상 보육이 전면 실시됨에 따라 영유아 보육과 교육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논의는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김명순, 2015.
보육교사의 질적 강화를 위한 노력은 어느 단계에서부터 선행되어야 하는가? 보육교사의 질적 강화를 위한 노력은 현직 교사의 전단계인 예비보육교사 단계에서부터 선행되어야 하는데, 예비보육교사의 현장 경험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보육실습이다. 보육실습이란 어린이집 교사가 되고자 준비하는 학생이 필수적으로 현장을 직접 경험해보는 교육과정이며(김명순 등, 2013a), 이러한 과정은 교직 선택과 전문성 발달에 긍정적 효과를 미친다(임승렬, 1995; Howell, 2004).
2013년부터 만 0∼5세 영유아 무상 보육이 전면 실시됨에 따라 영유아 보육과 교육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논의는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5). 이는 어린이집이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속도에 비해 보육의 질적 수준 향상과 우수한 교사 양성, 지속적인 재교육에 대한 의지는 뒤처진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김명순, 2014). 게다가 보육교사 2급 자격증의 2014년도 신규 취득자 수를 살펴보면 약 60% 정도가 학점은행제와 사이버 대학을 통한 것으로 보육교사의 양적 확대에 따른 질적인 강화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김명순,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7)

  1. 권귀염, 방유선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실습지도 역할수행에 관한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32(2), 97-123. 

  2. 김경철, 최인숙, 홍정선 (2007).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115-135. 

  3. 김낙흥, 서영민 (2010). 보육시설 주임교사가 지각한 조직풍토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4(4), 315-337. 

  4. 김명순 (2014). 어린이집 교사 재교육 현황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개선안 모색.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5. 김명순 (2015. 5).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체계의 다각적 고찰 및 현행체계 진단과 개선방안. 보육관련 5개 학회 2015 춘계 통합학술대회 기조강연 논문, 서울. 

  6. 김명순, 이미정, 김영주, 황성원, 안현숙, 이민주 (2013a). 양성교육기관에서의 보육실습 지도.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7. 김명순, 이미정, 김영주, 황성원, 안현숙, 이민주 (2013b). 어린이집에서의 보육실습 지도.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8. 김미경 (2011).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로서의 어려움과 극복요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2), 135-160. 

  9. 김미정, 최혜진 (2011). 직장보육시설 대학위탁 현황 및 위탁운영에 대한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411-434. 

  10. 김병주, 박승태 (2011). 교사의 핵심역량에 근거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수업연한.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1-28. 

  11. 김선영, 서원경 (2010). 보육실습 현장에서 실습생이 들려주는 스트레스와 대처. 아동학회지, 31(2), 135-150. 

  12. 김신영 (2003). 유아교육현장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교사들의 어려움. 유아교육연구, 23(2), 27-44. 

  13. 김옥주 (2013).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사전교육 내용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요구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8(5), 133-149. 

  14. 김은설, 이진화, 김혜진, 배지아 (2014). 유치원.어린이집 운영 실태 비교 및 요구 분석.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5. 김은영, 장혜진, 조혜주 (2013). 영유아 교사 복지 실태와 개선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6. 김의향, 서문희, 성미영, 민미희 (2010a). 우리나라 보육실습의 현황분석: 보육실습 기관 및 지도교사, 보육실습생, 보육실습 지도비를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6), 57-70. doi:10.6115/khea.2010.48.6.057 

  17. 김의향, 서문희, 성미영, 민미희 (2010b). 우리나라 보육실습의 현황분석: 사전교육, 보육실습 운영내용, 순회지도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243-265. 

  18. 김종운, 박성실 (2013).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26(3), 123-141. 

  19. 김주영, 이대균 (2010).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9(3), 187-211. 

  20. 김현주 (2013). 보육교사 양성대학 관련학과 예비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7(3), 549-565. 

  21. 김현지, 나동진 (2006).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2), 111-128. 

  22. 김현진 (2012).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동기 그리고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249-275. 

  23. 민혜영, 윤미정 (2011). 영아반과 유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47-168. 

  24. 박영희, 서현아, 최남정 (2012). 예비유아교사의 영아반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 교육혁신연구, 22(2), 1-23. 

  25. 박윤자, 이대균 (2013). 위탁 어린이집 임용원장의 어려움과 대처하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151-177. 

  26. 석은조, 오성숙 (2007).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보육실습 관련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논총, 16(1), 1-18. 

  27. 성은영 (2008).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 특성 및 교수수행 과정에서의 어려움 탐색: 유치원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137-163. 

  28. 송연숙, 박영옥 (2015).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4(3), 219-242. 

  29. 송주연, 조준오 (2010).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진학과 진로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31(1), 249-265. 

  30. 신희연, 김명순 (2005). 보육시설 영아반 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아동권리연구, 9(2), 297-318. 

  31. 염지숙 (2007).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이야기: 가르치며 배우고, 배우며 가르치기. 유아교육연구, 27(4), 135-159. 

  32. 오수진, 장영숙 (2011). 공립유치원 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 및 직무능력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24. 

  33. 오승은, 유지현, 박주호 (2015). 고등교육 책무성에 대한 대학 기능유형별 차이: 교수의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8, 1-26. 

  34. 유희정, 이연승, 강민정 (2012).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른 운영 및 교사처우 실태에 대한 분석: 부산광역시 보육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2(4), 181-202. 

  35. 윤갑정, 우호정 (2012). 예비보육교사의 개인적 변인, 전문성 발달 목표와 걱정이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3), 161-185. 

  36. 이대균, 박지선 (2009). 유치원에서 학생 보조교사가 담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주는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445-465. 

  37. 이미화, 강은진, 김은영, 김길숙, 엄지원 (2016). 보육교사 양성과정 및 보육실습 매뉴얼 연구. 세종: 보건복지부. 

  38. 이미화, 서문희, 이정원, 이정림, 도남희, 권미경 등 (2012).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 조사 보고. 서울: 보건복지부. 

  39. 이민진, 이완정 (2014). 온라인 교육기관을 통한 보육교사 자격취득 동기와 진로의사결정수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81-94. doi:10.14698/jkcce.2014.10.1.081 

  40. 이선미 (2012).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179-200. 

  41. 이성혜, 김연하 (2013). 어린이집의 교육풍토,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보육과정 운영의 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75-93. 

  42. 이성희, 박영신 (2007).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31-50. 

  43. 이세나 (2007).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2), 1-21. 

  44. 이승미, 이승연 (2009). 만 2 세 영아반 교사로서 맺는 다양한 관계에서 경험하는 정서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97-322. 

  45. 이승은, 김정주 (2017). 유치원 실습지도교사의 사전.사후실습 지도경험 및 실습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교육연구, 34(2), 193-220. doi:10.24211/tjkte.2017.34.2.193 

  46. 이재완 (2004).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의 자존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7, 127-149. 

  47. 이점자, 김형모 (2012).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비교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01-120. 

  48. 이종숙, 서영숙 (2009). 예비 보육교사의 보육실습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방과후아동지도연구, 6(1), 41-60. 

  49. 임승렬 (1995). 발달초기 교사의 교육신념과 실제에 관한 연구.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덕성여대논문집, 24, 221-236. 

  50. 임승렬 (1998). 2년제 유치원교사 양성대학의 교육실습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15(2), 128-149. 

  51. 임승렬, 박은혜, 김명순, 김희진 (2003). 유치원교사의 자격제도와 임용고사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1), 271-297. 

  52. 정혜욱 (2014). 예비 유아교사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진로태도 성숙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31(1), 95-115. 

  53. 제경숙 (2003).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양성의 방향. 교육이론과 실천, 13(2), 25-40. 

  54. 조경자, 이현숙 (2005).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와 유아교사직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289-312. 

  55. 조남근, 양윤종 (1998). 교원양성배경, 교직선택동기와 직무수행에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연구(구 안암교육학연구), 4(2), 1-16. 

  56. 조운주 (2004). 유아교육실습생의 특성 및 지원맥락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교육연구, 21(2), 5-25. 

  57. 차영숙, 강민정, 유희정 (2011).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육실습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긍정적 경험. 유아교육학논집, 15(3), 369-394. 

  58. 차성현 (2012).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사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교사, 학교 특성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30(4), 437-458. 

  59. 최미숙 (2004). 교사경력 및 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육신념 연구. 유아교육연구, 24(1), 29-47. 

  60. 표갑수, 백선희 (1999). 보육인력 (시설장 및 보육교사) 의 자격제도 및 전문성 유지환경에 대한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17, 57-96. 

  61. 현정희, 김연수 (2014). 전문대학 보육학과의 현장교육 관련 교과 운영실태: 경기도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6(2), 37-53. 

  62. Bastick, T. (2000). Why teacher trainees choose the teaching profession: Comparing trainees in metropolitan and developing countries. International Review of Education, 46(3), 343-349. 

  63. Berns, R. (2013). Child, family, school, community: Socialization and support (International edition, 9th ed.). Independence, KY: Cengage Learning. 

  64. Caruso, J. J., & Fawcett, M. T. (2006). Supervi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3rd ed.). NY: Teachers College Press. 

  65. Clark, S. K., Byrnes, D., & Sudweeks, R. R. (2015).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student teacher and intern perceptions of teaching ability at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stag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6(2), 170-183. doi:10.1177/0022487114561659 

  66. Dowson, M., & McInerney, D. M. (2003). What do students say about their motivational goals?: Towards a more complex and dynamic perspective on student motiv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8(1), 91-113. doi:10.1016/s0361-476x(02)00010-3 

  67. Fairbanks, C. M., & Meritt, J. (1998).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s and the role of context in learning to teach. Teacher Education Quarterly, 25(3), 47-68. 

  68. Gerber, E. B., Whitebook, M., & Weinstein, R. S. (2007). At the heart of child care: Predictors of teacher sensitivity in center-based child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3), 327-346. doi:10.1016/j.ecresq.2006.12.003 

  69. Graber, K. C. (1995). The influenc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on the beliefs of student teachers: General pedagogical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course work.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14(2), 157-178. doi:10.1123/jtpe.14.2.157 

  70. Holbert, R. M. G. (2010).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of cooperating teachers as teacher educators: Development of standards based sca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USA. 

  71. Howell, P. B. (2004). Student teachers' reflections about their cooperating teachers' influence after teaching for several yea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ombia University, NY, USA. 

  72. Hoy, A. W., & Spero, R. B. (2005). Changes in teacher efficacy during the early years of teaching: A comparison of four measur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4), 343-356. doi:10.1016/j.tate.2005.01.007 

  73. Hrncir, S. M. (2007). The pre-service teacher/cooperating teacher relationship and its impact on pre-service teacher efficacy percep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w Mexico, Albuquerque, USA. 

  74. Kyriacou, C., Hultgren, A., & Stephens, P. (1999). Student teachers' motivation to become a secondary school teacher in England and Norway. Teacher Development, 3(3), 373-381. doi:10.1080/13664539900200087 

  75. Moore, R. (2003). Reexamining the field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4(1), 31-42. doi:10.1177/0022487102238656 

  76. Morrison, G. S. (2008). Teaching in America (5th ed.). NY: Pearson. 

  77. Nolan, M. (2007). Mentor coaching and leadership in early care and education. Belmont, CA: Wadsworth. 

  78. Rosen, D. B., & Jaruszewicz, C. (2009). Developmentally appropriate technology use and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30(2), 162-171. doi:10.1080/10901020902886511 

  79. Russell, M., Bebell, D., O'Dwyer, L., & O'Connor, K. (2003). Examining teacher technology use: Implication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4(4), 297-310. doi:10.1177/0022487103255985 

  80. Shanker, A. (1996). Quality assurance: What must be done to strengthen the teaching profession. Phi Delta Kappan, 78(3), 220-224. 

  81.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3. doi: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82. Sinclair, C. (2008). Initial and changing student teacher motivation and commitment to teaching. Asia Pacific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6(2), 79-104. doi:10.1080/13598660801971658 

  83. Thomson, M. M., Turner, J. E., & Nietfeld, J. L. (2012). A typological approach to investigate the teaching career decision: Motivations and beliefs about teaching of prospective teacher candidat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8(3), 324-335. doi:10.1016/j.tate.2011.10.007 

  84. Watt, H. M. G., & Richardson, P. W. (2007). Motivational factors influencing teaching as a career choic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FIT-Choice Scal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5(3), 167-202. doi:10.3200/jexe.75.3.167-202 

  85. Weiner, L. (1993. February). Choosing teaching as a career: Comparing motivations of Harvard and Urban College students.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Easter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learwater, FL. 

  86. Whitebook, M., Howes, C., & Phillips, D. (1989). Who cares? Child care teachers and the quality of care in America: Final report, national child care staffing study. Berkeley, CA: Child Care Employee Project. 

  87. Yong, B. C. S. (1995). Teacher trainees' motives for entering into a teaching career in Brunei Darussalam.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1(3), 275-280. doi:10.1016/0742-051x(94)00023-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