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환자의 욕창 관련 경계압력 예측요인
Factors Predicting the Interface Pressure Related to Pressure Injury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6, 2017년, pp.794 - 805  

신지선 (경상대학교병원 외과계중환자실) ,  김수진 (경상대학교병원 적정진료지원실) ,  이지현 (경상대학교병원 외과외래) ,  유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terface pressure is a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occurrence of pressure injuri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nterface pressure at common sites of pressure injury (occipital, gluteal and peritrochanteric are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risk factors, skin condition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욕창이 발생하는데 정확한 경계압력의 절댓값이 없고 문헌마다 제시하는 경계압력이 다른 것에 의문점을 가지고 시도되었으며, 욕창 발생과 관련된 경계압력에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고 이에 따른 욕창사정도구 및 욕창예방 간호지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체위에 따라 욕창 발생에 관여하는 욕창위험요인, 피부상태 및 경계압력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특히 경계압력이 높을 경우 욕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환자의 체위에 따라 압력을 받는 부위가 다르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환자의 체위변경에 맞추어 앙와위에서는 후두부와 둔부에서, 측위에서는 좌우 대전자 부위를 선택하여 해당 부위에서 받는 경계압력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환자의 체위에 따른 부위별 욕창발생과 관련된 경계압력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를 대상으로 욕창 호발부위의 경계압력을 측정하고 체위에 따른 부위별 경계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추후 경계압력관련 욕창 예방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효과적인 욕창예방 전략 수립에 필요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를 대상으로 욕창 호발부위의 경계압력을 측정하고 체위에 따른 부위별 경계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추후 경계압력관련 욕창 예방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효과적인 욕창예방 전략 수립에 필요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중환자실 환자의 체위에 따른 부위별 경계압력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욕창 발생과 관련된 경계압력에의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연구결과, 욕창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경계압력 상승을 결정하는 변인은 고령, 낮은 혈청알부민 및 높은 체온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연령, 폐질환 진단 유무, 혈청알부민, Braden scale 점수, 체온과 평균혈압에 따라 경계압력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70세 이상의 고령자, 영양상태가 불량한 저알부민혈증 환자, 체온이 정상 이상인 환자는 동일한 체위에서도 경계압력이 상승될 수 있는 위험 군임을 알 수 있었으므로, 추후 욕창 위험 사정과 욕창예방 간호수행 시 상기 대상자에 대한 주의 깊은 사정과 간호가 필요하다. 또한 임상실무에서 중환자실뿐만 아니라 특히 장기간 침상안정을 해야 하는 경우, 노인, 영양불량, 발열, 호흡기계 기능감소 및 저혈압 환자의 경우, 욕창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로 체위에 따른 피부표면의 경계압력을 측정함으로 압력 상승을 조기에 발견하고 개개인에게 적절한 체위변경 간격과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욕창이란? 욕창이란 같은 자세로 계속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 신체 부위에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거나, 마찰 등에 의해 그 부위에 순환장애가 일어나 피하조직의 손상이나 궤양이 유발된 상태를 말하며[1] 환자안전과 관련하여 병원에 입원하는 환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가장 흔한 잠재적, 실재적 간호문제이다[2].
욕창은 무엇의 원인이 되는가? 욕창은 모든 의료기관 입원환자의 이환율, 사망률과 관련되어 있으며, 입원기간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2,3]. 이와 더불어 욕창 치료를 위해 2015년 국내에서 지출된 의료비는 연간 32,049,845,000원에 달하고[4] 미국의 경우 욕창 한 건당 14,290달러 이상 소요된다고 보고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NPAUP pressure injury stages [Internet]. Washington DC: Author; 2016 [cited 2017 Nov 28]. Avaliable from: https://www.npuap.org/resources/educational-and-clinical-resources/npuap-pressure-injury-stages/. 

  2. Lee JK. The relationship of risk assessment using braden scale and development of pressure sore in neurologic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Adult Nursing. 2003;15(2):267-277. 

  3. Pugliese G, Favero MS. Pressure ulcers: Impact on hospital costs and length of stay.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1999;20(7):472. https://doi.org/10.1017/S0195941700068843 

  4.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 Inpatient benefits by frequency of disease [Internet]. Seoul: Author; c2015 [cited 2017 Feb 28]. Avali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1_A077211&vw_cdMT_ZTITLE&list_id350_35001_6&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5. Padula CA, Osborne E, Williams J.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pressure ulcers in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2008;35(1):65-75; discussion 76-8. https://doi.org/10.1097/01.WON.0000308620.78884.88 

  6. Park KH. Suspected deep tissue injury and managing shearing force. Journal of Korean Wound Management Society. 2014;10(2):489-493. 

  7. Cho KH, Yune SH, Lee H. Effects of mattresses and positioning on interface pressure and skin blood flow.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10;34(2):214-219. 

  8. Park KO. A study on decubitus knowledge and decubitus nursing interventions of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5. p. 1-56. 

  9. Slowikowski GC, Funk M. Factors associated with pressure ulcers in patients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2010;37(6):619-626. https://doi.org/10.1097/WON.0b013e3181f90a34 

  10. Jiricka MK, Ryan P, Carvalho MA, Bukvich J. Pressure ulcer risk factors in an ICU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995;4(5):361-367. 

  11. Lindgren M, Unosson M, Fredrikson M, Ek AC. Immobility: A major risk factor for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s among adult hospitalized patients: A prospective study.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 2004;18(1):57-64. https://doi.org/10.1046/j.0283-9318.2003.00250.x 

  12. Nijs N, Toppets A, Defloor T, Bernaerts K, Milisen K, Van Den Berghe G.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pressure ulcer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9;18(9):1258-1266.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8.02554.x 

  13. Lee H, Cho KH. Changes on blood perfusion and histological structures of sacral skin in rat by externally applied pressure.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2009;6(1):294-299. 

  14. Kim EK. Evaluation of EMR use for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tools in ICU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3. p. 1-65. 

  15. Lee HN, Park JS. Nutrition-related factors predicted pressure ulcer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4):413-422. 

  16. Lee MO. Knowledge level of pressure ulcer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0;12(4):619-628. 

  17. Munro BH. Statistical methods for health care research. 1st Engl. Ed. Lee EH, Jeong YH, Kim JS, Song RY, Whang GY, translators. Seoul: Gunja; c2006. p. 255-275. 

  18. Park CH, Kim YC, Shin JC, Seo HJ, Kim YG. Clinical utility of a special mattress in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97;21(1):209-215. 

  19. Park KH. The supporting surface and its effect in preventing pressure ulcer. Journal of Korean Wound Management Society. 2015;11(2):97-102. 

  20. Hospital Nurses Association.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 [Interne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4. [cited 2017 Nov 28]. Avaliable from: http://khna.or.kr/web/information/data/khna_guide_ebp02.pdf. 

  21. Park K, Park SM, Chun HK. Wound & Ostomy. Seoul: Hyunmoon Publishing; 2005. p. 78-102. 

  22. White L. Viscoelastic foam mattresses: Marketing hype or molecular miracle? Urethanes Technology. 2002;18(6):22-27. 

  23. Moon MK.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The use of 2009 national patient sampl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7):3390-3399. 

  24. Kwak HR, Kang JY. Pressure ulcer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t the time of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5;27(3):347-357. 

  25. Curry K, Kutash M, Chambers T, Evans A, Holt M, Purcell S. A prospective, descriptive study of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kin failure in critically ill adults. Ostomy Wound Management. 2012;58(5):36-38, 40-43. 

  26. Ma JZ, Ebben J, Xia H, Collins AJ. Hematocrit level and associated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1999;10(3):610-619. 

  27. Seiler WO, Stahelin HB. Decubitus ulcers: Treatment through five therapeutic principles. Geriatrics. 1985;40(9):30-44. 

  28. Margolis DJ, Knauss J, Bilker W, Baumgarten M. Medical conditions as risk factors for pressure ulcers in an outpatient setting. Age and Aging. 2003;32(3):259-264. https://doi.org/10.1093/ageing/32.3.259 

  29. Kramer JD, Kearney M. Patient, wound, and treatment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healing in pressure ulcers. Advances in Skin & Wound Care. 2000;13(1):17-24. 

  30. Sung YH, Park KH. Factors affecting the healing of pressure ulcers in a Korean acute care hospital. Journal of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ing. 2011;38(1):38-45. https://doi.org/10.1097/WON.0b013e318202a67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